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Semi Annual
Domain
- Materials > Ceramic Materials
2009.05a
-
교량접속부의 도로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교대일체식 접속슬래브를 제안하였으며, 교대일체식 접속슬래브와 일반적인 교량의 접속슬래브 거동을 비교함으로서 교대일체식 접속슬래브의 적용가능성을 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단보강 철근 및 콘크리트 강도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적 거동 파악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단보강 철근의 강도 제한을 평가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에서, 실제 설계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적용되는 전단보강 철근은 항복강도가 400 MPa 이하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항복강도가 너무 큰 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에 과도한 균열이나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연성능력, 피로 저항성능, 전단 및 비틀림 저항성능, 정착 성능, 내진 저항성능 등에 대하여 검증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고강도의 전단보강 철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었을 때 나타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거동 및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총 PVA 섬유 혼입률을 2%로 하고, 장섬유와 단섬유를 혼합해서 사용한 ECC의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재료 실험결과 1.6%의 REC15 섬유와 0.4%의 RF4000 섬유를 혼입한 하이브리드 ECC의 성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 실험은 160
${\times}$ 290${\times}$ 2300mm 치수의 부재를 섬유변수에 따라 6개로 제작하여 정하중과 동하중에서의 휨 실험을 실시하였고, ECC의 전단 강도의 증가와 부분 타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횡방향 심부구속철근량 산정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보다 합리적인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설계를 위한 횡방향 심부구속철근량 산정식을 수정 제안하였으며 국내 외에서 수행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제안식의 안전율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이력거동 모델을 규명하고자 한다. 부재의 이력거동은 지진과 같은 과도한 하중에 의한 부재의 안전성을 규명하는데 필수적이다. 질량에 따른 이력거동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
전단 경간비가 작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주 인장근이 항복 한 후 전단에 지배를 받게 되고 축력의 영향으로 인해 에너지 소산 능력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이러한 과정은 소성힌지 영역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전 구간에 걸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에너지가 집중되는 곳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서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소성힌지 길이 변화를 파악하고자한다.
-
정하중뿐만 아니라 충격하중에 대해서도 높은 저항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분절 복합체를 이용, 이에 대한 정하중과 충격하중을 실험 및 해석이 수행되었다. 동시에 분절체의 접합을 위한 최적 모르타르 개발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분절복합체의 충격저항성능은 계면간의 상호 거동과 분절체의 배열에 따른 거동을 하는 것을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실린더에 대한 고강도 횡보강근의 구속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 횡보강근의 항복강도 및 간격을 변수로 하여 고강도 횡보강근이 콘크리트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균열이 안정화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 특성과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미끄럼 함수를 제안하고, 이로부터 부착응력-미끄럼 관계 모델을 정의하였다.
-
본 논문은 철근의 이형과 유사한 표면성형을 갖는 GFRP 보강근의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실험과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이형을 갖는 GFRP 보강근의 경우 표면성형의 낮은 전단강성 및 강도로 인해 표면이형의 전 높이가 부착에 기여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보강근의 유효이형높이를 실험과 해석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HCC로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 보가 동결융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그 휨 보강 및 균열제어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SHCC는 PVA 및 PE 섬유를 각각 0.75% 보강한 것이며 물결합재 비를 주요변수로 한다. 실험결과 SHCC로 휨 인장측이 단면 복구된 콘크리트의 휨내력은 동결융해의 노출 유무에 따라 각각 2.42 및 3.31배 증가되었다. 또한 휨 인장측의 균열제어 성능도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성능은 동결융해에 노출됨에 따라 저하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시멘트 복합체와 섬유계면이 반복 동결융해에 의해 손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휨 재의 균열손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팽창형 SHCC의 구조적인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총 4개의 단순 지지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실험결과를 근거로 하며 본 실험에서 고려된 변수는 SHCC 종류와 SHCC 두께이다. 이러한 실험변수에 따른 최대 휨 강도, 초기균열하중, 균열폭 및 간격 그리고 하중-변위 관계곡선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각 실험변수 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합성보의 부착슬립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유한요소 수치해석모델을 제안하고, 기존의 수치해석결과 및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부착슬립거동이 적절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건축물의 지진모의실험을 수행할 경우, 부재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축력의 계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축 전단, 1축 압축을 측정할 수 있는 Load Cell의 제작 및 Calibration법을 제시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말뚝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석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역학성능이 우수한 PHC 말뚝머리 보강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보강법과 기존 방법의 역학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대형 실험체 11개를 만들어 인발, 압축, 휨인발 및 전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역학성능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식 보다 우수하였으며 시공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Pre-Stressed Concrete 일체식 교대교량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매개변수 연구로써,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거동 특성을 단경간 및 다경간 PSC 교량의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모멘트 변화 경향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순환굵은골재와 잔골재의 치환율을 변수로 하여 5개의 실물모형 기둥 실험체를 제작하여 축하중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KCI2007에서 규정하고 있는 압축 응력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KCI 규준식은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에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이 논문은 전단저항 연결체를 갖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 교각의 현장 적용을 위한 설계 및 시공법을 기술하였다.
-
이 논문은 한국형 PS정착구의 하중전달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1860MPa 강연선과 포스코, 고려제강등을 통해 새로 개발되는 2200MPa급 강연선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하중전달성능은 ETAG 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실험결과 1860MPa 강연선이 적용되는 구조물의 경우 모든 시험체가 실험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2200MPa급 강연선이 적용될 경우 일부 정착구의 경우 허용기준을 만족하였지만 대부분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200MPa급 이상의 강연선에 대해서는 전용 정착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
본 연구는 교량의 장경간화와 시공단축을 위하여 전구간이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중공이 있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분절 거더를 개발하고 실용화하기 위한 정착장치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
이 연구에서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량과 부재 크기가 다른 두 타입의 강합성형 벽체파일 시험체에 대한 정적 휨시험을 수행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시험체 모두 균열하중의 1.8배의 하중에서 파괴되었고, 하중 증가에 따른 중립축의 이동을 확인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3차원 교량정보모델을 콘크리트 박스교량에 대해서 구축하고 그 활용의 대표적인 예로 3차원 모델에 연동되는 견적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콘크리트 박스 교량에 대해 물량을 산출할 시에는 2D 도면을 활용하여 PBS(Product Breakdown Structure)에 따른 표준분류체계를 활용한 3D 형상모델 객체를 형성하였으며, 분류에 따른 객체의 물량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견적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콘크리트 물량 및 철근 물량을 산출하는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시범체계를 구축하여 적용하였다. 철근의 최적화 등이 부가적인 기능으로 물량 절감 및 제작 상세 표준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
본 연구는 CFFT(Concrete Filled FRP Tube)구조의 FRP관의 적용으로 인한 콘크리트구속효과와 PS 긴장재 도입에 따른 역학적 거동 특성을 반영하는 단면설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연구팀이 FRP로 구속된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기초로 실험 결과를 통하여 검증한 기 제안식을 바탕으로 실 CFFT구조의 단면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이는 CFFT구조의 단면설계에 잘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파형복부 PSC 거더의 사용성 개선과 프리스트레싱 효율성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좌굴 특성을 고려한 부분 파형강판을 복부에 설치한 PSC 거더를 제안하고 정적재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부분파형 PSC 거더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FRP 패널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여 교량 거더와 합성시킬 때 바닥판의 지점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보강하기 위한 설계법을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적합성을 평가했다.
-
사장교와 같이 바닥판 지간이 장지간이면서, 중량 절감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교량 형식에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FRP-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을 개발하고, 이의 정적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강재매입형 합성교각은 단면 자체의 설계 변수의 다양성을 통해 요구하는 성능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급속시공을 위한 합성교각의 설계를 위해서 작은 규모에서는 볼트 연결을 통한 조립식 구조물이 가능하고 큰 규모에서는 세그먼트를 분리하여 시공하고 포스트 텐션을 도입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합성교각의 실험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강재 매입형 조립식 합성교각의 설계 변수가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교각의 설계 여건에 따른 적합한 설계 단면 설정 및 일체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조립식 시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중량 규모에 따른 단면 분할이 필요하고 제작 및 시공 오차 보정을 위한 별도의 상세가 요구된다. 또한, 코핑부를 포함한 경우에는 교각 세그먼트와 코핑부와의 연결 상세를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연결상세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시공성을 고려한 이음부 압축특성 및 시공 시 발생 가능한 압축력에 따른 이음부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기존연구 결과에 의하면 순환굵은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와 순환잔골재 콘크리트를 사용했을 경우 모두에서 구조부재의 내력저하는 나타나지 않고 천연골재와 동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순환굵은골재와 순환잔골재를 혼합 사용한 실물부재 콘크리트보에서 역학적 성능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강섬유는 콘크리트에 비해 연성적인 거동, 우수한 균열제어 성능 및 전단보강 성능 때문에 최근 보강재 또는 합성재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강섬유 혼입에 따른 전단강도의 증진 효과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한 상당한 실험적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복잡한 전단거동은 여전히 명확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며, 실험 데이터도 아직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휨 부재 4개를 제작하여 전단실험을 수행하여 강섬유의 전단보강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강섬유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부재의 전단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에 대한 다양한 이론모델들과 제안식이 존재한다. 하지만 전단거동에 대한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제안식들은 경험식이며 그 예측 정확도도 매우 다르다. 이런 결점의 대안으로 인공신경망이 제안되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지만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의 양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전단실험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전단 보강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ACI 규준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신경망은 전단강도에 대한 주요 인자들의 영향을 적절히 반영하여 매우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여 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의 치환율에 따른 실물모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물모형 철근콘크리트 보를 실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진시스템을 이용한 내진보강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위 증폭형 제진시스템에 적용될 slit hole을 갖는 강재이력댐퍼를 대상으로 점증적 변위 제어를 통한 탄소성이력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강재 슬릿댐퍼는 탄소성거동에 의해 안정적 이력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실험 방법과 다른 근단층 지반 운동하에서의 진동대 시험을 통해 심부구속 철근비에 따른 내진성능 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비선형 해석프로그램 SARCF(Seismic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Frames)로 교각의 손상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해석을 통한 FFT 값과 시험에 의한 FFT 값을 비교 분석하여 진동대 시험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급속시공을 위하여 분절하여 기 제작된 합성기둥을 현장에서 연결하여 완성하는 조립식 합성교각의 내진거동을 조사하였다. 정적반복가력실험 결과, 조립식 합성교각의 내진성능은 내진설계가 된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를 구조부재에 활용하기 위해선 이형철근과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부착성능 규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 굵은 골재 및 잔골재 치환율과 철근 위치를 변수로 이형 철근과 순환 잔골재 콘크리트의 부착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기존 건축물에는 용도상 복잡한 형상의 기둥에 벽이 붙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날개벽이 있다. 날개벽이 붙는 기둥 및 비내력벽체가 날개벽화가 되면 강성이 크나 연성이 줄어드는 등 부재의 전반적인 거동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이런 부재 모두는 대변형시 전단파괴의 가능성이 있으며 내력열화가 발생하기 쉽다. 기존 건축물의 내진 성능평가 시 연직부재의 전단내력과 휨 내력의 산정은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간주하여 설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날개벽이 있는 기둥이 구조물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날개벽 있는 기둥의 기초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구조적 거동특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
최근 시공의 합리화 및 공기단축을 위하여 많은 PC공법이 개발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PC공법은 접합부의 보강 및 현장 조립시에 많은 노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위험요소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PC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PC의 장점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중공 PC기둥을 제안하여 본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와 중공 PC기둥 접합부의 연성능력에 대해서 기존의 RC기둥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공간 건축구조물로서 2002년 건축된 6개의 월드컵경기장을 대상으로 케이블을 모델링하고 실험을 통하여 기존 제안 이론식들의 적용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휨강성의 크기에 따라 약 10
${\sim}$ 60% 이상의 오차로 장력의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도입장력의 크기에 따라 장력추정 결과의 신뢰도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Compression stress distribution used to concrete structure design substitutes equivalent rectangle, trapezoid and parabola-rectangle stress block for actual concrete stress distribution. Presently, rectangular stress block of Korea Concrete Design Code is equal to it of ACI code that doesn't reflect the material featur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The study does an experiment on concrete compression stress distribution to know the material feature of the concrete used in korea.
-
본 연구는 띠철근 형상이 철근 콘크리트 사각형 기둥의 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대해 띠철근의 형상 및 배근에 관한 기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부 시공현장에서 사용되어지는 띠철근은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 설계와 다른 형상으로 시공되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띠철근의 형상변경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거동에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였다.
-
본 연구는 비내진상세를 갖는 구조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끼움벽을 개발하고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사용에 따른 손상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자기보상 주파수 응답 함수 기법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재료의 감쇠계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상대적인 감쇠량이 아닌, 재료 고유의 감쇠 계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감쇠계수 측정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재현성 및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CI-01에 제시되지 않은 앵커볼트 직경(
$d_0$ ) 50mm($2^''$ ) 이상, 유효매입깊이($h_{ef}$ ) 635mm($25^''$ ) 이상의 대형콘크리트앵커의 전단성능 및 거동특성에 대한 24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전단강도와 거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실제 옹벽 건설현장에서 FBG온도센서와 변형률센서를 이용하여 타설초기의 수축률과 온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실험결과, FBG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법은 극초기재령의 콘크리트를 모니터링 하기에 매우 실용적인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모니터링 기술은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률과 온도 모니터링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FRP를 거푸집 및 횡보강 철근 대용으로 사용한 현장타설식 CFFT 교각을 개발하는데 있어 축소모형실험을 통해CFFT 교각에 대한 거동분석 및 내진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에서의 강연선 활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강연선과 초고성능 콘크리트와의 부착특성을 고찰하였다. 실험은 UHPC 타설방향, 긴장재의 위치, 긴장재의 크기를 변수로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각 변수들은 모두 강연선의 초기 부착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에서의 강연선 활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험을 통해 프리텐션 부재로 제작되는 UHPC 부재의 응력전달길이를 고찰하였다. 실험 변수는 UHPC의 피복두께와 도입되는 긴장력의 크기로 설정하였으며, 실험 결과 프리텐션 UHPC의 응력전달길이는 피복두께가 작아질수록 도입 긴장력이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비균열 콘크리트에 설치되는 후설치 앵커의 인장 및 전단 시험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검증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앵커의 설계강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였다.
-
우리나라 학교건물의 상당수는 내진기준이 제정되기 전에 건립되었으며, 간막이벽으로 채광 및 환기 등을 고려하여 조적허리벽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조적허리벽은 지진 발생시 기둥의 유효높이를 줄여주게 되어 단주효과로 인한 취성파괴를 유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단강도와 연성능력 향상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라미드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한 기둥 및 조적 허리벽의 내진성능향상 검증을 위한 실험을 수행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SC 거더, Perfobond rib 전단연결재로 이루어진 연결부, 그리고 강 거더로 이루어진 혼합구조 보의 휨 거동에 대한 연구로써, 휨 실험을 통해 혼합구조 보의 휨 거동 특성과 파괴특성, 그리고 연결부 거동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하중을 받은 철근콘크리트보의 처짐 특성을 파악하고 하중이 제거된 후의 변형 회복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잔존강도를 파악하기위해 정적 재하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지속하중을 받지 않은 RC보와 비교를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 보강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휨부재실험을 통하여 부재의 균열발생양상, 초기균열강도, 극한강도 등의 구조적 거동 특성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얇은 육각 기둥의 패턴을 이루고 있는 스틸제 하니컴형 보강재와 방청성 내진 모르타르 및 불연성 마감 코팅제를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조적허리벽의 전단강도와 연성능력을 향상시켜 내진보강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리모델링을 통한 슬래브 확장 시, 기존슬래브와 신설슬래브의 접합부에 작용하는 전단성능을 알아보았다. 실험체의 변수는 강관콧타, 전단철근, H형강, 스터드볼트, 원형전단키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실험의 결과, 충분한 전단강도를 보인다면 이를 접합부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
두꺼운 기초는 응력교란 구역으로 보 이론에 근거한 설계가 적용될 수 없다. 실제 힘의 흐름을 분산 절점영역과 팬을 이용한 스트럿-타이 이론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부재 높이와 철근량 그리고 정착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
아파트 구조물의 효율적인 기초설계를 위해서는 상부구조와 연계된 기초구조의 거동을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부구조강성을 합리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초 설계방법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제안된 방법이 기존 설계방법에 비해 허용지반력, 콘크리트량 및 철근량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스트럿-타이 모델의 압축요소의 설계압축강도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검토하여 역학적인 이해가 가능한 모형에 근거한 모형을 제시한다. 기존 모형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설계자 입장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
PSC 거더의 장경간화 기법들이 경간 증가에 미치는 기여도를 일목요연하고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허용응력설계법에 근거한 PSC 거더의 단계별 안전성 평가식을 프리스트레싱 텐던의 개수와 경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치환하여 설계 가능 영역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
I 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에서 사용되는 활하중 분배계수는 대부분 외국의 설계기준이 반영된 것들이다. 따라서 교량단면과 부재의 설계 기준강도 등을 고려한 우리나라의 설계여건에 적합한 활하중 분배계수식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배계수를 결정하는 주된 변수들을 선택하고 활하중 분배계수식을 개발하였다.
-
이 연구는 현 콘크리트교각 코핑부 설계의 과도한 철근배근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외 코드를 비교 분석하고 유한요소해석 및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코핑부 비선형 해석을 통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콘크리트교각 코핑부 철근배근량 저감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단부거더(Edge girder) 형식의 하이브리드 사장교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최적의 초고성능콘크리트(Ui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스템 개발의 일부이다. 고성능 재료인 UHPC의 성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효율 구조형식으로서 교축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리브를 가지는 단면형식이 제안되었고, 최소요구단면 도출을 위한 설계개념을 정립하였다.
-
유효보폭 모델은 횡하중하의 포스트 텐션(PT) 플랫 플레이트 골조 해석에 사용된다. PT 플랫 플레이트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 슬래브의 강성감소는 정확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 연구자들의 PT 플랫 플레이트 실험체를 수집하였으며. 반복적인 작업으로 실험체 강성에 수렴하는 유효보폭모델의 강성을 찾기 위하여 슬래브 폭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하여 PT 플랫 플레이트의 강성 감소 계수식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PSCP: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의 종방향 긴장설계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5층 빌딩 구조물을 설계한 후, 개선된 능력스펙트럼법을 이용하여 구조물 전체 및 부재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한계값을 초과한 부재에 대한 보강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성능기반설계 절차를 확립한다.
-
본 논고는 2008년 전라북도에서 발주된 계곡
${\sim}$ 신덕간 국지도 확 포장공사 대안설계중 하천 병행 및 횡단교량의 친환경 건설계획을 위한 최적 교량형식 및 시공공법 선정의 설계과정을 소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PSC 공사에서 쉬스는 전체 구조물의 품질확보와 사용수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PSC 쉬스에 대한 시험방법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쉬스에 대한 해외 시험규격을 검증 및 수정하여 국내의 현장에서 쉽고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개선된 시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국내에서 처음으로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의 시험시공이 2008년 10월 13일 수행되었다. 슬래브의 길이가 120m이며, 두께는 15cm의 폭 8.2m로 시공되었다. 본 시험시공을 통하여 포스트텐션 콘크리트포장(PTCP) 공법의 설계와 해석, 시공 등을 경험하였고 많은 실험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였다.
-
본 연구는 포스트텐션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PTCP: Post-Tensioned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공법의 국내 적용을 위해 수행한 시험 시공 시에 현장 실험을 통해 PTCP의 긴장 시 구조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논문은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에 긴장력을 도입할 때, 부재의 단부에서 발생하는 동적 거동을 실험적으로 고찰한 논문으로 용접 절단에 의해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와 유압잭을 사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동적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용접 절단을 사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할 때보다 유압잭을 사용할 때 긴장력 도입 시간이 더 짧게 소요되었지만, 단부에서의 긴장력 손실은 오히려 용접 절단을 사용할 때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
본 논문은 외부긴장재의 고유진동수를 사용한 유효긴장력의 추정결과를 기술하였다. 외부긴장재는 PSC 교량의 중요부재인 긴장재에 대한 높은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1개 경간에 위치한 6개의 외부긴장재를 임팩트 햄머를 사용하여 가진하였으며, 이에 따른 진동을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효긴장력은 측정된 고유진동수를 이상화된 stiff string model에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PSC 교량 형식들이 지닌 단점을 극복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 그리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모두 갖춘 새로운 거더를 개발함에 있다. HWPC 거더는 중공과 다단계 긴장을 통해 전 단면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사하중의 감소, 지간의 장경간화를 이루는데 목적이 있다.
-
이 논문은 2200MPa급 PS강연선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로 현재 국내외에서 1860MPa 강연선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착구에 대한 실험을 통해 그 적용성을 검토해보았다. 이 연구는 강연선을 고강도화 함으로써 하나의 텐던이 작용하는 하중은 동일하게 하되 텐던 내 강연선의 개수를 줄여 콘크리트 거더 복부의 두께 감소 또는 시공성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착시스템에 있어서 쐐기와 앵커헤드 위주로 검토가 이루어졌다. PS 강연선의 적용성 검증은 유럽 ETAG 기준에서 제시되어 있는 정적실험 및 피로실험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실험 결과 기존 1860MPa 강연선에 사용되고 있는 정착구가 약간의 개선 또는 개선 없이도 2200MPa급 강연선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휨부재에 효율적인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강봉과 강연선이 일체화된 정착구의 양쪽 연결구의 이동량과 도입긴장력의 관계를 규명하고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
고정식 콘크리트 펌프의 성능을 파악하는 데 있어 콘크리트 딜리버리 실린더의 효율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대부분의 실험이나 시험에서 콘크리트 딜리버리 실린더의 효율을 단순히 90
${\sim}$ 95% 수준으로 가정하고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정식 콘크리트 펌프의 성능을 잘못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당 토출량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콘크리트 딜리버리 실린더의 실효율을 정확히 계측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 기존 추정치보다 낮은 70${\sim}$ 75%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잔류변형이나 초기 미끄러짐(slip)이 발생하지 않는 나사산 밀착방식의 철근 이음장치(커플러)를 개발하였다. 철근 단부에 형성된 사다리꼴 전조나사와 커플러 내부의 암나사는 나사골 끝단이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산과 나사골 양옆의 경사면이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였다. 커플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폐식 렌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체결력의 확인은 육안 검사로 간단히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는 해안가 매립지 지하구조물의 염해저항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된 고내구성 콘크리트인 PHDC(Promoted High Durability Concrete)에 대한 현장적용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PHDC는 기존해안가 매립지 지하구조물 용 콘크리트가 요구하는 수밀성 확보, 균열저항성 및 염소이온 침투 방지효과가 기존의 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 보다 우수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현장 적용시 시공성 및 품질관리가 용이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HDC 의 강도발현, 균열저항성 및 내염해성을 조사하였고 해안매립지 지하구조물을 Life 365 프로그램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수명평가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사에서 실시 된 관련 연구의 조강콘크리트 시험결과를 근거로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공기단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공정 및 장비 변경, 공사에 소요되는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휨-압축을 받는 교각 기둥 부재의 구조 요소별 철근과 콘트리트 강도 및 하중조건에 따른 구조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교각 기둥에 대한 매개변수 해석(Parameter Study)을 실시하여 콘크리트 강도별 및 높이별 기둥의 최적단면 및 공사비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기존의 27MPa 콘크리트 대신 40MPa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할 경우, 기둥 단면이 축소되고 공사비도 평균 8%정도 감소되어 교각의 미관 및 경제성 측면에서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성
${\sim}$ 충주간 고속도로 건설공사내의 신효교 교각에 대하여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실용적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교량 구조물 적용의 일환으로 현재 27MPa로 적용되고 있는 교각구조물에, 단면축소와 내구성 향상을 목적으로 40MPa 고강도 콘크리트를 시험적용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적용에 따라 교각의 단면을 재설계한 결과, 기둥단면은 0.6m, 코핑높이는 0.4m 감소되었고, 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공한 결과, 철저한 품질관리와 양생관리를 통해 당초 우려되었던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고품질의 콘크리트 시공이 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바리 강성 및 슬래브 균열의 영향을 고려한 시공하중 산정법을 제안하였다. 동바리 하중 계측결과에 대해 제안법과 기존 시공하중 산정법들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건설현장에서 쓰이는 부속공정으로 많은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공법과 접합부의 보강문제에 있어서 많은 노력을 요구하는 PC공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공PC공법의 도입을 제안하며, 본 공법의 현장 적용성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하고자 한다.
-
이 논문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적용한 국내 최장 개구제형 강박스 거더교 시공에 관한 연구이다. 개구제형 강박스 거더 교량은 기존 폐합형 강박스 교량에 비해 강재량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며,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함으로서 교량의 공사기간을 6개월 이상 단축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최장 개구제형 교량인 영덕-오산간 광역화 도로공사 구간의 서천교의 시공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CFT 구조는 강재내부와 심부콘크리트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성능, 강성, 내력의 증가때문에 새로 개발된 CFTA 거더에 적용되었다. CFTA 거더는 아치형상과 긴장력을 이용하여 외부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을 감소시키는 구조물이다. 본 논문은 CFTA 거더교의 제작중 및 공용중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시공절차를 제안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공단계해석을 수행하였다.
-
CFT 구조는 강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일반 구조용 부재와 비교해서 많은 이점을 가진다. 강재 박스와 콘크리트의 구속효과에 의한 전체구조물의 연성도, 강성 및 하중지지능력의 증가 때문에 CFT 구조는 기둥 부재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CFT 구조의 장점들 때문에 최근들어 CFT 부재는 거더부재로 교량구조물에 확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FT 구조, 아치형상 및 긴장재로 이루어진 CFTA 거더교의 해석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설계법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포장체의 상부를 보수함에 있어 기존 포장층과 일체화 시켜 구조적 기능과 성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키는 보수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VES-LMC를 이용한 접착식 콘크리트 덧씌우기공법에 대한 현장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초고층 건축물의 등장으로 인하여 기존의 토목 구조물에서만 사용되었던 축소량에 대하여 검토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수직부재에 대한 축소량의 검토는 기본적으로 콘크리트가 받는 하중, 재료특성 등으로 발생되는 변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가 받는 작용 인자나 특성을 가지고 계수 산정을 통한 축소량 해석을 하고 있지만, 각각의 재료시험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을 다소 미미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직부재 즉 기둥축소량 보정을 위한 기본적인 재료시험항목에 대하여 각각을 분석하여 축소량 보정을 위한 계수산정전 재료시험의 신뢰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성능적인 검토를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설계단계에서 부등축소에 의해 수평부재에 발생하는 추가 내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EMM, AEMM을 활용하여 구한 유효탄성계수 및 재령보정 유효탄성계수를 수평부재에 적용하는 방법은 수평부재의 내력(모멘트)에 있어 정밀해석결과와 유사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최근 교량 건설 분야의 핵심 분야로 떠오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에 대한 연구로, 교각구체와 기초부의 연결기술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해, 교각의 구체와 기초부를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로 구성한 실험체에 대하여, 비선형해석 결과를 통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
최근 3차원 공간 및 설계 정보를 기반으로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주기에 걸쳐 참여주체들이 효과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업환경 내에서 토목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와 구조해석 프로그램과의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PSC박스 구조물에 대하여 3차원 모델링 데이터와 해석프로그램간의 연계방안 및 그 해석기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축력과 2축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장주의 장기 저항능력을 산정할 수 있는 비선형 해석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서는 콘크리트의 장기 거동에 의해 발생하는 비역학적 변형 및 P-
$\Delta$ 효과로 인한 기하 비선형 뿐 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균열 및 철근의 항복 등 재료 비선형성이 고려되었다. 다른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모델을 검증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초고강도 강섬유보강 철근콘크리트의 인장강화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비선형해석에 적용하여 초고강도 강섬유보강 철근콘크리트(Ultra High Str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UHSFRC) 보의 거동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휨항복 이후 주기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보와 전단벽)에서는 길이방향의 인장변형이 누적 된다. 이러한 길이방향 인장변형은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강도 및 변형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트러스 모델해석을 통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발생되는 길이방향 인장변형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길이방향 인장변형은 소성힌지의 길이방향 철근에 발생되는 잔류인장 소성변형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대각 콘크리트 스트럿의 전단력 전달 메커니즘이 길이방향 인장변형의 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기거동 동안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누적되는 길이방향 인장변형을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평가식을 제안하고, 다양한 재하이력을 갖는 보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
본 연구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I-슬래브의 내력 및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개의 실험체를 선정하고 해석을 위한 3차원 모델을 작성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의 비교를 통해 해석모델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RC 기둥의 횡방향 거동을 해석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해석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해석 시 RC 기둥과 탄소섬유시트 사이의 부착거동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경계면 요소를 고려하였으며, 경계면 거동에 따른 RC 기둥 전체의 거동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경계면 요소를 고려한 해석의 필요성과 해석 기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 수평 증축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입체 복합 공간 구조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메가 요소를 이용한 효율적인 횡력 저항 구조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프리텐션 콘크리트 깊은 보의 강도 및 거동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강도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행 설계기준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을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깊은 보의 강도해석에 합리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수직 트러스 메커니즘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 즉 부정정 스트럿 타이 모델의 하중 분배율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터널별 표준시간-온도곡선에 따른 내부온도 특성을 평가하고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은 Hydro Carbon, Hydro Carbon Modified, RABT 및 RWS 표준시간-온도곡선에 따랐다.
-
본 연구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대표적인 변위-기반 설계법인 Chopra&Goel이 제안한 직접변위-기반 설계법의 기본개념을 적용하여 최대 설계지반 가속도에 대한 보강 Steel Jacket의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강 두께를 적용하여 보강전 후 성능설계기법에 의한 비선형 해석 및 보강 설계법에 의한 보다 개선된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균열이 발생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에서 공용중 철근 부식과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의 영향을 고려한 장기 균열폭을 예측할 수 있도록 부착특성에 기반한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
본 연구는 화이버요소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부재에서 실제 발생 가능한 대부분의 효과들을 고려 할 수 있는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의 개발이 목적이다. 프로그램은 연성도법을 기반으로 하여 베르누이 빔 요소 해석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그리고 화이버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철근콘크리트의 횡구속과 같은 3 차원효과를 화이버의 일축 거동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추가적으로 철근 부착, 전단력과 같은 효과들을 적용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형태의 모델링 기법을 도입하였다.
-
자기부상열차 궤도 시스템은 자기부상열차의 활하중을 직접적으로 받아, 거더에 전달시키는 구조로 가이드웨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한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 거더 개발의 한 과정으로 프리캐스트 바닥판-궤도 레일의 연결 시스템의 정적 및 피로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바닥판-궤도 레일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을 상세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수치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진장치에 유도되는 변위응답을 증폭함으로써 기존 점탄성댐퍼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변위증폭형 제진시스템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변위증폭시스템은 지진응답에 의한 층간 횡변위를 약 2
$\sim$ 4배 정도 증폭할 수 있어 기존 가새형태의 댐퍼보강에 비해 지진응답을 제어 하는데 능력이 매우 탁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해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 별 변위증폭비$\beta$ 의 일반식을 제안하였으며, 각 시스템의 시간이력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변위증폭비$\beta$ 의 사용가능여부를 검토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철도 및 선하역사의 소음 진동저감을 위해 플로팅 슬래브 궤도시스템(floating slab track system)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플로팅 슬래브의 받침부 형상을 개선하여 방진장치교체의 용이성, 슬래브 응력조절을 위한 시스템의 기초적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다.
-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Early Strength with the Kind and Replacement Ratio of Mineral Admixture건축공사에서 측면 거푸집의 탈형시기와 관련하여 압축강도를 조기에 발현하는 것은 공기단축 및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발현에 미치는 광물질 흔 화재료의 종류 및 혼입률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배처플랜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SHCC의 굳지않은 성질 및 압축강도를 평가하고, 이를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배처플랜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SHCC의 휨 및 인장특성을 평가하고, 이를 실내실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최근 품질관리, 소음저감 등의 이유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를 활용하여 지하박스구조물에 일반강도에서의 저발열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타설하였으며 이에 대한 배합설계 방법과 현장 적용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존에 개발되었던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거푸집 예측 모델에 대해 실험을 통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실험실에서 거푸집 압력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 장비를 제작하였으며, 자기충전 콘크리트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각각의 재료에 대해 모델 교정(Calibration)을 수행하였고, 일반적인 타설 조건을 고려한 거푸집 압력 측정 실험과 교정된 모델로 부터 얻은 해석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모델을 구성하는 파라미터는 재하시간에 따라 특정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해석 값이 측정된 거푸집 압력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확히 모사하였다.
-
본 연구는 순환잔골재가 갖는 미분말이 자기충전 콘크리트(SCC)특성인 고강도와 높은 유동성을 발현하기에 적당하여 폐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순환잔골재를 천연잔골재 대비 혼입률을 25% 씩 증가시켜, 총 5수준으로 자기충전 콘크리트(SCC)에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리적특성, 경화한 콘크리트의 역학적 및 내구특성을 검토하여 순환잔골재를 자기충전 콘크리트(SCC)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지연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점도 상승에 의한
$Ca^{2+}$ 이온의 확산 지연에 의한 영향도 있지만 폴리머의 보호 콜로이드인 폴리 비닐 알코올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아세테이트 기가$Ca^{2+}$ 이온과 반응하여 칼슘 아세테이트를 생성함으로 인한$Ca^{2+}$ 이온의 소모에 의해 수화지연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부산롯데타운의 코어부분에 적용할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부산지역의 원재료를 활용 하여 8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 Mock-up Test 를 실시한 결과이다. 3개 배합을 바탕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유동 특성은 목표 요구 성능을 모두 만족하였다. 수화열은 혼화재 치환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75
$\sim$ 85$\circ$ C 의 범위로 나타났고 압축강도의 경우 현장 양생 공시체는 목표 시간에 요구강도를 만족하였다. -
Day by day,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 became high-rising and magnificently vast scheduled, as contributed from the development of improved equipments that suitable to specific construction works and high qualitied Material,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was highly improved. The temporary elastic reduction occur at vertical members such as walls and columns under vertical loads. Specially, inelastic reduction such as creep and shrinkage occur long termly with elastic one in cas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Generally, creep and shrinkage depend on time and this is affected by concrete strength, concrete type, member size, steel ratio, and relative humidity. And elastic reduction rely on time, too because concrete is loaded before revelation of perfect strength in terms of construction conditions. So, test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certainly need in order to apply to construction by forecasting an amount of reduction caused by the complex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sts on creep, shrinkage are carried out to offer basic data for predicting an amount of long-term Properties at the concrete columns of an object structure, and results of the tests are described.
-
Fire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Canonical Analysis Standard for Optimal Response Condition본 연구는 80MPa급 고강도콘크리트를 적용한 건축물의 화재시 성능확보를 위한 보강인자 배합사용에 있어 효율적인 내화성능 및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배합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인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과정을 통하여 내화보강인자간의 최적공정조건 도출시 각 물성의 한계 값 설정에 따른 최적배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은 매립형 FBG 스트레인 센서를 이용하여 고성능콘크리트 시험체의 초기재령시 자기수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Thermocouple 에 의한 FBG 스트레인 센서의 온도보정도 이 논문에서 수행했다. HPC 자기수축량에 대한 배근영향, 크기효과, 온도효과 역시 분석했다.
-
본 연구에서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 특성에 대한 배합설계의 영향을 검토한 것으로서, 특히 혼화재의 종류 및 사용량에 따른 조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특성을 검토하여, 고성능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현장 시공조건에 따른 효율적인 배합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부재의 폭렬방지 대책에서 종래의 내화피복 방법의 문제점윤 개선하고 내화재료의 내화성능향상을 위한 합성내화보드 개발에 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고온양생방법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UHPC의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reen SHCC 제조시 사용되는 규사를 대체하기 위하여 순환잔골재 치환율을 변수로 하여 직잡인장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콘크리트 판넬 부재의 폭발실험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발에 대한 저항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 보강재료를 변수로 총 8 가지 종류의 시편에 대하여 폭발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높은 연성을 얻기 위하여 Steel Fiber을 혼입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Steel Fiber 와 Liquid Metal Fiber를 혼합한 초고강도 모르타르 시험체를 휨강도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ASTM C 1018 방법, JSCE- SF4방법으로 인성지수 평가를 통해 Liquid Metal Fiber은 기존의 Bundrex Steel Fiber 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콘크리트가 가지는 취성적인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강섬유가 제안되고 있다. 강섬유의 혼입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혼입전의 취성적인 특성에 벗어나 상당한 연성을 지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렇듯 강섬유가 혼입된 콘크리트는 시공성의 저하 및 fiber ball 현상으로 인한 성능발휘에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가 가지는 취약한 유동성과 fiber ball 현상이라는 약점들을 개선하고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위에 언급된 두 가지 콘크리트가 접목된 섬유 보강 자기충전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재기된다.
-
일반적으로 경량콘크리트는 구조물의 자중을 줄일 수 있는 장점 때문에 부재단변의 축소 및 시공 의 간편화를 이룰 수 있어 장경간 교량 및 초고층 건물 등에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경량골재는 골재자체의 특성상 콘크리트 제조시 굳지 않은 상태에서 재료분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를 자기충전콘크리트 배합설계에 적용하였으며, 역학적 특성과 탄산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고유동 콘크리트는 국내 외 시험성능 규정을 통하여 고유동 콘크리트의 슬럼프 플로 및 500mm 도달시간에 대한 실험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고유동 콘크리트의 유동성능 측정 방법인 슬럼프 플로 시험방법은 사람 개개인 마다 인식 하는 능력이 상이함에 따라 오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방법에 대한 오차를 보다 정밀화하기 위하여 레이져 다이오드를 통한 실험값의 오차를 없애고자 한다.
-
최근 고강도의 프리캐스트 부재 사용이 증가하고 프리캐스트 부재 품질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별도의 다짐 작업이 필요 없는 자기충전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강도 60MPa 고강도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7m 길이의 프리캐스트 보 부재를 제작하였으며, 그 결과 시공성, 강도, 품질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
국내에서 생산되는 시멘트, 골재 및 SP 혼화제를 대상으로 하여 배합조건에 따른 유동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물시멘트비와 SP제의 영향을 고려 한 유동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정수 추정에 관한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은 노후화된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열화 원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코어 시편을 사용하여 ASTM C 457 에 의거한 화상분석(Image Analysis)실험을 실시하였다. 정화시편의 공기량, 공극구조분포 및 간격계수(Spacing Factor) 정보를 수집하고 공극구조와 관계한 내구성지수(Durability Factor)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부분 시험편의 간격계수가 250
$\mu$ m 이상으로 평가되어 동결융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광물성 혼화재를 이용하여 알칼리-골재 반응성 저감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국내 골재를 대상으로 KS F 2545(화학적 방법), KS F 2546(모르타르 봉 시험 방법), ASTM C 1260(촉진 모르타르 봉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알칼리-골재 반응성 저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해 저항성 평가방법인 KS F 2711과 NT Build 492와의 상관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결합재 종류별 염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화자극제 사용시의 효과도 평가하여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탄산화 및 염소이온의 침투에 의하여 철근부식을 겪고 있으나, 대다수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염소이온과 탄산화로 인한 복합열화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연구들은 단일열화만을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탄산화로 인하여 탈착된 염소이온의 재확산을 추정하기 위한 접근방법을 개발하고 하였다. 이는 탄산화와 염소이온의 복합열화에 대한 성공적인 모델을 정립하는데 핵심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복합열화 모델식에 반영되어 염소이온의 탈락으로 인해 탄산화 경계영역에서 염소이온의 농축 및 재확산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알칼리-골재 반응에 의한 파손이 보고된 후,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대책 방안 수립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알칼리-골재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리믹스 방식으로 플라이애시를 전체 바인더 증량(시멘트 + 플라이애시)의 20%를 치환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동결-융해 실험에서 공기량 3% 이하의 시편을 제외하고 모두 시편의 3사이클 후 상대동탄성계수는 90 %이상이었고, 스케일링 실험에서 50 사이클 후 무게 손실량이 1kg/
$m^3$ 이하가 측정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해양환경에 노출된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내구수명을 검증하고, 열화속도가 예상보다 빠른 경우 사용수명 100년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 대책을 적기에 수립하기 위한 철근부식 모니터링 센서와 관련하여 현장 적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콘크리트의 내구성, 즉 염해, 증성화, 동해, 화학적 침식 등의 열화현상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우선 콘크리트 내부의 온습도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수분 이동을 고려 한 복합 물리적 모델 구축 및 실측을 통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콘크리트 내부의 온습도 변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Precast Concrete 모의부재를 제조할 때 사용시멘트 및 가열양생조건이 각각 다른 콘크리트부재의 온도이력특성을 총괄적으로 검토했다.
-
Precast Concrete 모의부재를 제조할 때 사용시멘트 및 가열양생조건이 각각 다른 콘크리트부재의 강도특성을 총괄적으로 검토했다.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쉬가 다량 치환된 콘크리트를 현장 적용한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구조물은 설계강도 40MPa인 두께 3m, 2m의 기초이며, 플라이애쉬 치환량은 50%로서 프리믹스 형태의 결합재를 사용하였다. 적용결과로서, 두께 3m 인 기초에서는 약
$39^{\circ}$ C, 두께 2m 인 기초에서는$34^{\circ}$ C 의 온도 상승량을 나타내었다. -
현재 국내의 관련 규정에서는 공사기간 증 구조물의 압축강도를 확인하는 양생방법으로 표준수중양생(20
${\pm}$ %$2^{\circ}$ C)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장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우 일반 대기환경에 노출되어 사계절 온도변화의 환경하에서 양생되고 있어 실 구조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체의 내부환경 조건을 양생조건으로 적용한 양생방법을 적용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특성을 파악하여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에 가장 근접하는 공시체 양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중성화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불의 내구성을 예측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이 예측 방법은, 새로운 계측 데이터 있을 때 베이스 이론에 근거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팅 을 할 수 있다. 모델 매개변수의 확률론적인 특성이 고려된다. 염해 해석 모델의 절차는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 추출법으로 간단하게 정리되고 이를 통해 얻는 표본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은 중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하기에 아주 유용하고 모니터링을 통한 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예측 할 수 있다.
-
The building that supply tidal and splash zone was constructed near Seamangeum Gate Bridge. The specimens that will be tested for maintenance of gate bridge were exposed on the tidal and splash zone, totally about 650(Fig. 1).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salt penetration profile, field application of surface repair material and section recover material will be acquired by periodical test.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obtain optimal maintenance strategy of gate bridge as a marine concrete structure and to deposit experimental data, lab. test result, field test result, on its D/B. On this paper, we hope to introduce two years exposure data as compressive strength, the modulus of elasticity, the modulus of dynamic elasticity, field adoption of repair and recover materials. As briefly speaking the results, possion's ratio, elasticity, strength was general, but the recover materials have some problems. There was crack between concrete and recover material and delamination figures.
-
본 연구는 장기간(공용년수 31년) 해안환경에 노출된 해안구조물의 염해에 대한 내구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해 총 6 개의 Core를 사용하였다. 각 Core내의 콘크리트 총염화물을 1.5cm간격으로 측정하고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철근의 부식 계시시기를 예측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 및 황산염 저항성에 미치는 광물질 혼화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결합재비 32% 및 43%에 대해서 광물질 혼화재 종류에 따라 이들을 혼입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재령 182일 동안의 침지실험 결과로부터, 콘크리트의 산 및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은 광물질 혼화재를 혼입한 콘크리트가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3 시간 내화실험 후 PP 섬유를 혼입한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 저항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도 100MPa 와 150MPa 콘크리트에 PP 섬유 혼입량을 조절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충분한 양의 PP 섬유를 혼입하였을 때 폭렬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사용한 도로포장용 초속정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성능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재료개발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축조되었던 노후터널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통하여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에 발생한 균열과 누수에 대하여 열화정도를 평가하였다.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에 대하여 외관조사, 비파괴시험, 코어를 채취하여 압축강도 및 투수성 평가와 시편에 대한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알루미나 시멘트 콘크리트(CAC)를 이용하여 염화물의 대한 철근 부식의 저항성을 압축 강도, 염분 침투, 부식을 각각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알루미나 시멘트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보다 철근 부식 저항성이 뛰어난 결과가 나왔다.
-
본 연구에서는 염해환경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및 피복콘크리트의 탈락에 대한 내구성 한계상태를 설정하여 내구 수명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부식개시이후의 수명해석 방법은 부식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과 그에 따른 사용성 저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업용 저수지에서 구득한 초음파법과 슈미트헤머에 의한 반발경도를 이용하여 실험한 데이터와 동일 구조물에서 채취한 코어의 압축강도를 비교하여 비파괴 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과 적용방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내구성 설계에서 확산계수를 실측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NT BUILD 443으로 측정한 기준확산계수는 침지기간 동안 일정한 확산계수를 가정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기준재령에서의 확산계수를 과소평가하는 것임을 밝혔다.
-
해양환경하에 건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방지를 위하여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그시멘트 및 3성분계 혼합시멘트에 염해방지제를 타 입별로 치환 적용하여 모르타르 압축강도 및 염화물 확산계수를 검토한 결과, 염해방지제를 치환한 모든 배합에서 압축강도는 다소 증가하고 염화물 확산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함수 상태에 따라 표면으로부터 내부로의 수분거동인 물흡수량, 물흡수속도 및 침투깊이 특성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 현상 증의 하나인 탄산화에 의한 내구성능 저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각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윤 고려하기 위하여 MCS(Monte Carlo 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여 탄산화의 영향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경우 50년 경과시 부식확률 10%에 이르는 필요피복두께는 탄산화 속도계수가 4mm/
$year^{0.5}$ 일 경우 최소 53mm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설계변수의 통계적인 성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탄산화 과정의 불확실성윤 합리적으로 고려함 수 있는 내구성 해석방법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최근 초고층건불 및 초장대교량 건설을 위한 초고강도 콘크리트(UHS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의 주요 요인인 자기수축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하며,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거동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손쉽게 비폭렬 콘크리트내 섬유의 혼입량을 확인하기 위한 기본적인 시험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결과 시료 희석용 불의 용량은 15
$\ell$ , 도구는 드라이비트용 흙손을 사용하여 전자렌지를 이용 건조하면 효과적으로 배합 섬유 혼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부산 롯데타운용 80MPa급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낮은 W/B와 높은 결합재량에 기인하여 수화생성 물이 증가하고, FA 및 BS의 포졸란 및 잠재수경성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C-S-H겔이 공극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조직이 밀실하게 형성되어 탄산가스, 염화물 및 염소이온의 침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내구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잠실제2롯데월드 초고층 건축 프로젝트의 기둥축소량에 필요한 첫 번째 단계인 재료연구(일명 콘크리트 테스트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18개월간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측정결과가 확보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강도와 하중재령별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회기분석을 실시하여 예측모델식에 따른 유도식을 제안하였다. 비교분석 시 사용된 예측 모델식은 ACI209R Model, Bazant-Baweja B3 Model, CEB MC99 Model, 및 GL2000 Model 등과 같이 네 가지 의 모델식을 활용하였다. 결과분석항목은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체 건조수축 변형과 단위 응력당 전체 크리프 변형(Compliance)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Concrete File with the High Powder Slag Cement using Vibration Mill콘크리트 파일에 진동밀로 개질한 슬래그 시멘트를 적용하여 기존의 제품과 압축 강도 비교시 분체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압축 강도가 측정되었다. 이는 SEM 이미지 관찰시 기공의 크기 및 개체수 감소와 시멘트 수화물이 치밀한 구조로 성장하여 강도가 증진되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저감을 목적으로 식물성유지류의 종류별로 모르터 상태에서의 자기수축저감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식불성유지류를 사용하였을 경우 플레인 배합에 비해 양호한 수축저감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콩기름에서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 수화발열 특성과 자기수축 특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수화발열상승속도 저감에 따른 고강도 매스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수화발열 상승속도 저감을 위한 재료로서 잠열재를 사용하였으며, 잠열재 사용에 따른 초기재령 수화열 및 자기 수축 특성과 서로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건축물의 공기단축을 위하여 조기 거푸집 탈형으로 인한 과대 처짐이 예측될 경우를 고려한 조강형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발현특성을 실험실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조강형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처짐에 대하여 유리함 것으로 평가되었다.
-
알칼리 활성 반응에 의한 고로 슬래그와 플라이 애시의 반응생성물에 대하여 강도실험 및 방사광 X선 회절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올라이트 계열로 추정되어 왔던 지오폴리머의 실제 결정 구조가 무경절질형태의 ABC-6 family 제올라이트에 속해 있음을 제안한다.
-
산화마그네숨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 시멘트 고화로 문제가 되는 육가 크롬을 포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멘트, 석회류와 마찬가지로 내구성이 있는 경화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불용화 처리 효과의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며 인산염 시멘트의 압축강도는
$21^\sim$ 28MPa로서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할만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산염 마그네시아의 특성을 이용하여 중금속인 Cr과 Pb의 고용화 적용 가능성을 실험하였으며, 중금속 이온과 마그네시아 시멘트에 의한 고용체의 생성 및 고정화 된 고용체에 서의 중금속 이온의 용출특성을 검토 하였다. -
본 연구는 혼합시멘트를 제조함에 있어 경제성, 우수한 강도특성을 갖는 활성화제의 개발이 주가되며, 특유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혼합시멘트의 혼합재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물-시멘트 비에 따른 시멘트계 재료인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터 및 콘크리트의 pH 저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시멘트 페이스트에 대해 물-시멘트 비 30%, 40%, 50% 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페이스트의 산 증가에 따른 pH를 측정하였다. 또한, 페이스트의 pH 저하 저항성에 대한 골재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콘크리트, 모르터, 페이스트의 pH 저하 저항성 측정 실험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산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pH 10 정도에서 급격한 pH 저하가 발생되었다. 산 증가에 따른 pH 감소정도는 산중화능력으로 나타내었으며 시멘트 수화물에 의해 특정 pH에서 산중화능력이 물-시멘트비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시멘트 제조공정 중 입도분급을 통하여 채취한 미세입자의 시멘트를 치환한 모르터의 품질향상을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석고 자극제를 치환한 경우의 실험으로써, 유동성 및 조기강도는 저 하하였으나 28일 일부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을 위한 연구로써,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제조공정 중 입도분급을 통한 굵은 입자 시멘트와 플라이 애시를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치환 사용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현장 조건에서의 수화 발열 및 강도 발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로 슬래그와 잔사회를 사용한 3성분계 시멘트를 제조하여,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기본 특성을 검토하였다. 시험은 잔사회20%, 정제회20%, 고로슬래그50, 55%를 사용하였고, 특히 시멘트의 미소수화열측정, 콘크리트의 단열온도상승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급냉 전기로 산화 슬래그를 일반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대체가능성에 대한 검토로 잔골재 대체율에 따른 유동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하중을 감소시켜 경제적 및 기술적으로 유리한 인공경량골재콘크리트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공경량골재콘크리트의 기본물성 검토를 위하여 일반콘크리트, 경량골재콘크리트 1종 2종을 제작하여 단위증량,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공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도 압축강도가 설계기준강도 21MPa 이상으로 측정되었고, 실리카흄 첨가시 다소 강도 증진을 보였다. 향후 구조용 토목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구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마이크로파 가열기술 및 마찰 마쇄 작용에 의한 순환잔골재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를 효율적으로 분리, 제거함으로써 구조체 콘크리트용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생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습식비중분리시스템에서 생산된 순환모래의 생산단계별 모르타르의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습식비중분리시스템을 거친 후 단계의 고품질 순환모래(RS-IV)가 품질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 미립분 대체율 및 입도변화에 따른 응결시간, 플로우, 휨강도 그리고 압축강도의 물리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
3성분계 시멘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실험을 통하여 저발열 콘크리트의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고성능 저발열 콘크리트 재료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TG/DTA, MIP 장비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미세정량분석시, Ca(OH)
$_2$ 량 및 미세공극구조 분석 결과값의 편차가 큰 것에 주목하여, 시료의 채취 위치가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여 시료의 채취 위치에 따른 미세정량분석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료의 채취 위치에 따라 외부(P-1)에서 내부(P-3)일수록 Ca(OH)$_2$ 이 증가하며 공극량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CO
$_2$ 저감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으로 제철공장에서 부산되는 용융 고로슬래그를 시멘트 주원료의 하나로 이용하여 제조한 클링커를 석고와 혼합하여 페이스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물성을 확인하였다. -
자극제를 이용한 플라이애쉬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결과 자극제를 이용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 변동 없이 압축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광물성 혼화재를 혼입한 혼합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물성 혼화재의 종류 및 치환율 그리고 양생온도 및 조건에 따른 공기량, 슬럼프, 공기구조, 정적강도를 측정하였다.
-
시멘트 결합재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로 수쇄 슬래그 분말을 각종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도별로 분쇄하고, 이를 혼합하여 충전률과 유동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입도분포 또한 비교분석 하였다. 충전률과 유동특성은 비례의 경향이 크게 나타났고, 입도분포가 넓을수록 유동특성은 높았다.
-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순환골재에는 모르타르나 시멘트페이스트가 많이 부착되어 있어 밀도가 낮고 흡수율이 높아 구조용 골재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산된 순생골재 내에는 많은 양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을 비중선별을 통해 선별하여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경량성, 단열성이 좋은 팽창질석을 혼합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제작하였으며 Al분말을 첨가하여 경량화에 따른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단열성능의 상승을 확인함으로서 친환경적인 건축용 단열 내장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는 실제 현장 적용 타설고를 고려한 Mock-up 시험을 통해 슬래그 시멘트와 저발열 시멘트 및 유로폼과 리브라스 거푸집 적용에 따른 매스콘크라트의 거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시험체의 수화열 계측을 실시하여 각각의 수화발열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르타르 유출량 시험, 코어 및 표준수중양생 공시체의 압축강도, 염소이온침투저항생시험을 통한 내구성을 비교하여 해양 환정에 노출된 매스콘크리트 타설 시 공기단축 및 수화열 저감, 내구성 확보와 같은 안정적 품질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콘크리트의 사전재하 및 고온가열 후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보통골재 와 경량골재를 사용하여 골재 종류와 재하수준에 따른 압축강도와 탄성계수를 비교 검토하였다.
-
매스 콘크리트의 균열저항성능의 개선효과를 기대함 수 있는 850
$\sim$ 1,000${^\circ}C$ 의 온도로 저온 조성한 MgO 의 반응성 확인을 위하여 활성지표 실험과 안정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수화생성물을 재령에 따라 고찰하기 위하여 10%의 MgO 를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를 대상으로 재령 1일, 3일, 7일, 28일, 56일, 90일, 180일에 SEM을 사용하여 3000배와 10000배로 확대하였을 때의 수화생성물을 촬영하였으며, XRD 를 사용하여 MgO 의 변화량을 정성적으로 측정하였고, DSC를 사용하여 Ca(OH)$_2$ 와 Mg(OH)$_2$ 의 열분석 곡선을 구하여 재령에 따라 수화생성물의 증감을 확인하였다. -
콘크리트 타설후의 습윤양생은 구조체 콘크리트의 균열 저항성, 강도, 내구성 등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 등의 콘크리트 상부면의 습윤양생으로서 살수양생 및 시트 양생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생방법의 종류가 시멘트 모르타르의 습기유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 하고자 한다.
-
현대사회 건축물들의 고층화로 인하여 구조물의 중량부담 경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구조용 재료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공성 세라믹스(ALC)는 가장 대표적인 경량기포콘크리트로서 경량블록 등의 건축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료의 입도 및 함량 제어를 통하여 저 고비중 ALC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구지보재로서 적용될 폐석탄회를 사용한 고성능 숏콘크리트의 적정배합비를 도출 하는데 있다. 플라이애시의 다양한 함량에 따른 압축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정량 모르타르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경량 잔골재를 사용한 경량 모르타르에 석고를 혼입하여 내화 피복용 바름재로서 사용가능한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온도의존적 장기팽창성을 갖는 MgO콘크리트 특성을 재령에 따라 온도 및 체적 변화를 고려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응력해석에 적용하기 위한 팽창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교토의정서 발효로 인하여 시멘트 제조시 발생되는 CO
$_2$ 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대체재로 전통건축재료인 비소성 황토를 치환한 콘크리트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산업부산물인 황산철을 이용하여 컬러 모르터의 기초적인 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굳지않은 모르터의 특성으로 황산철을 첨가할수록 플로우, 공기량 및 단위용적절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압축강도는 황산철 6%치환에서 가장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세서는 MgO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자기팽창량을 측정하였으며 MgO를 혼입하지 않은 콘크리트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MgO 치환량과 양생온도가 압축강도가 12 MPa인 댐 콘크리트의 자기팽창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되는 석탄회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분야로 타 선행 연구과제 및 숏크리트 연구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보령화력발전소의 정재된 플라이애쉬와 숏크리트의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흄을 혼합한 것으로 활용방안을 높이고자 기초적인 실험 및 연구 수행을 하였다.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는 노출환경, 물성치 및 하중조건 등의 여러 변수에 따라 결정되어 그 예측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8개 FCM 교량 적용 고성능 콘크리트의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5개 건조수축 및 크리프 제안식의 신뢰성를 평가하였다. 예측 모델과 실측 데이터의 합리적인 평가를 위해 5가지 통계학적 평가방법이 이용되었다.
-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도균열은 타설 초기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 및 강하에 따라 생기는 체적변화가 내부 또는 외부적으로 구속을 받아 발생하는 것으로, 댐과 같은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일수록 온도균열 발생가능성은 높아진다. 이 연구는 성덕 다목적 댐의 수화열 해석을 통해 콘크리트 댐의 시공단계에서 타설 간격에 따른 수화열 발생의 비교 및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 발생 유무를 댐의 내외부 온도차가 수렴하는 장기간 동안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
콘크리트 사장교는 콘크리트의 시간의존 효과를 고려하여 케이블 장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시간의존효과 중 크리프를 오차요인으로 고려하여 콘크리트 사장교에서 처짐과 케이블 장력의 측정값들로부터 크리프 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크리프 계수 오차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
최근 폭탄테러 등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피해 및 2차적인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 비상체의 충격시험에 의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내충격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내충격 성능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영동지역에 위치한 영동화력발전소와 동해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플라이애쉬, 바텀애쉬)를 이용하여 숏크리트용 혼합형 혼화재로서의 구조용 재료로서의 활용방안을 높이고자 내구성에 관련된 여러가지 실험 및 연구 수행을 하였다.
-
최근 결합재로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결합재로서 고로슬래그의 분말도가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유동성 및 압축강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 100% 사용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에 대하여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합비율이 유동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
최근 알칼리 활성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알칼리 활성화제가 플라이애시 기반 시멘트 ZERO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화물 이온을 효율적으로 침투방지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나노실리카를 이용한 해양콘크리트 방식공법의 현장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적용결과,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는 슬럼프 및 공기량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화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특성에서는 초기 및 후기에서 공히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나노실리카가 염소이온의 침투 및 확산을 방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물-결합재비가 아주 낮은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실험배합을 통하여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수축억제 대책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수축저감제를 사용, 초고강도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기초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CLSM(Controled Low-Strength Materials)의 고유동화에 필요한 분체량과 경제적을 고려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Reject Ash의 사용량 변화와 순환모래(고품질, 저품질)와 부순모래, 공기량 변화에 따른 CLSM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고유동 CLSM에서의 Reject Ash와 순환모래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 관리 하기 위해 구조체 콘크리트와 접합분리 시험체의 수화특성 및 강도특성을 평가 분석하여 타당성을 검토하고 구조체 콘크리트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건조수축을 예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델들이 실험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강도와 양생조건에 따른 건조수축을 측정하여 대표적인 모델코드와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물-시멘트비가 작아질수록 건조수축량은 감소하였고, 4주간 습윤 양생한 경우 전체수축이 크게 저하하였다. 예측 모델과 실험결과를 비교할 때 EC2 모델과 가장 잘 일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에코시멘트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발현 증진 대책으로 플라이 애쉬를 혼입한 에코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작하였으며, 압축강도 특성, 건조수축 특성, 균열저항 특성, 부착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건조수축에 의한 에코시멘트 콘크리트의 균열저항 성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구조체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 관리 하는 기법이 건설현장에서 많은 문제점과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어 이에 본 연구는 접합분리 시험체를 이용 구조체 콘크리트를 강도평가 하여 구조성능평가 및 현장 적용성 검증에 목적이 있다.
-
국내 레디믹스트콘크리트 제품의 최적화된 콘크리트 재료모델을 개발 구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통 및 고강도 영역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국내 및 국외의 조기강도 발현에 대한 수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
Concrete with Self-healing Admixture provides waterproof protection by using a organic-inorganic chemical compound throughout the concrete. Using cement chemicals eliminate the need to use additional waterproofing, If crack is occurred, this system enhance self-healing ability to increase the structural saf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material properties to conclude mixture rate of concrete to apply a construction site.
-
해안 및 매립지 구조물은 염화물의 침투로 인해 매입된 철근의 피막파괴로 철근부식이 일어나 콘크리트 구조체에 열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앞으로의 해안 구조물의 수밀성, 내염해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염해성 개선에 효과적인 액상형태의 Si/Al 복합 무기염을 모르타르에 적용하여 시간경과(7, 14, 28, 56일)에 따른 내염해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산업화의 발전과 환경에 대한 관심 급증으로 전력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신설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원전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한 검증자료가 국내에 많이 부족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원전구조물 콘크리트에 대한 물성평가를 통하여 원전구조물 콘크리트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산 CFRP 긴장재 및 정착구의 피로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반복하중을 재하하여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압착형 및 부착형 정착구는 피로성능을 만족하였고, 부착형 정착구를 사용하여 CFRP 긴장재의 피로거동을 수행한 결과, 100만, 200만 피로강도는 각각 992, 871MPa로 나타났다.
-
최근 자원의 재활용 및 알칼리-골재반응의 대책으로 F/a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F/a 치환량 증가에 따른 미연소탄소의 AE제 흡착으로 인하여 공기연행성능이 저하되어, 동결융해 작용에 의한 내구성 저하의 위험성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a 치환량 및 AE제 종류변화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연행성능을 분석함으로써 F/a를 다량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포안정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새로운 터널 공법인 Composite 라이닝 공법의 터널 배수재로 적용될 최적경량기포모르타르 배합을 선정하고자, 기포율 변화에 따른 경량기포모르타르의 공극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0MPa이상의 소요강도 확보와 더불어 투수성에 우수한 연속기포의 형성 및 분포가 가장 잘 이루어진 것으로 예상되는 FCR배합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산업부산물인 플라이애쉬와 실리카퓸을 숏크리트에 재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금속 용출시험을 통해 환경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시험 결과, 국내외 기준에 만족하여 환경적으로 무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저항특성은 철근의 인장강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저항강도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위해 철근의 역학적 특성에 내재된 불확실성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재료기본특성의 불확실성 평가연구의 하나로 진행된 철근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확률 모델도출과정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콘크리트용 골재 대체재로서 석탄재의 혼입률을 변화시켜 제작한 콘크리트 공시체의 충격저항성(내충격성, 내마모성 등)을 분석한 결과, 석탄재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섬유신소재(GF, HPSF)를 혼입한 경우 내충격성이 증진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항균제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우수 침투 정도를 염분침투확산 계수로 평가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균제가 첨가된 경우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염분침투확산계수가 감소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결론지었다.
-
본 논문의 목적은 PTCP포장공법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리카흄과 플라이애시가 혼합된 고성능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실리카흄 혼입에 따라 조기재령 압축강도가 증진되었고, 투수저항성이 ASTM C 1202 기준 "Low"에서 "Very Low" 등급으로 향상되었다.
-
본 연구는 감온성 안료 혼입에 따른 온도반응 색변환 모르타르의 기초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는 감온안료 및 혼화제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온도변화에 따른 색변환은 혼화제를 치환하였을 경우에도 색변환 및 발현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수화 반응에 의한 체적의 감소나 자기건조에 의한 수축이 큰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고계 팽창재를 사용하여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자기수축 제어에 관한 기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
Concrete has some self-healing ability if the crack is occurred. Concrete with a inorganic-organic chemical compound, self-healing ability is increased at the surface of the crack.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self-healing performance of concrete using admixutre by performing permeability test.
-
본 연구는 고내구성 혼화재를 모르타르에 적용하여 기초물성과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비교 검토 후 최종적으로 해양환경하의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국내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생산 산지별 제품에 대한 품질 성능에 대한 연구와 각 고로슬래그미분말이 바닥용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제품에 적용될 경우의 성능 발현 특징에 대하여, 기초 물성 시험과 길이변화 특성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과산화수소(
$H_2O_2$ ) 분해 반응을 이용, 이산화망간($MnO_2$ ) 및 탄산수소나트륨($NaHCO_3$ )을 촉매제로 사용하여 콘크리트 기포발생 유도를 극대화 하였다. 또한 기포콘크리트 초경량화를 이루기 위한 최적배합 도출 및 소요강도 확보 등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전반적으로 KS F 4039 및 KS F 2459규정에 있는 품질기준에 충분히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형상비, 단면의 중공비, 복부면적, 하중패턴을 변수로 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중공단면 기둥의 초기 전단강도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는 기존의 다양한 전단평가식과 비교 검토하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역학적 특성과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합리적인 초기 전단평가식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기초부를 갖는 조립식 PSC 교각의 내진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프리캐스트 기초부를 갖는 조립식 PSC 교각 실험체에 일정 축하중 하에서 횡방향 반복하중을 가하는 준정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 고층 철근콘크리트 주상복합형 건축물에서 지진하중과 같은 반복하중이 작용할 때 단차형 내부 보-기둥 접합부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차 유무에 따른 내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단차가 있는 내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는 단차가 없는 표준실험체(FJ-0D)와 비교하여 단차 수준(1.0D, 2.0D)이 증가함에 따라 수평내력과 에너지소산능력이 증가하였고 내부 보-기둥 접합부 영역을 중심으로 균열진전 상황이 상이하였다. 또한 에너지소산능력은 내부 보-기둥 접합부 단차가 높을수록 1.1
${\sim}$ 1.35배 증가하였다. -
최근 국내에서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실험 시 구조물의 크기, 실험장비의 성능 등 여러 가지 제약 여건을 극복하고자 축소모형을 통하여 유사동적실험과 진동대실험을 수행하고 있지만 상사법칙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경제성과 신뢰성을 갖는 적절한 상사법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
12개의 프리케스트 RC 교각을 제작하여 내진성능을 검토하였다. 실험변수는 횡방향 철근량 외에 주철근비(1.15%, 3.07%), 형상비(4.5, 2.5), 프리케스트 세그먼트 접합 시공법(주철근 긴장, 축방향 강봉 긴장, 외부 접합 장치 사용)을 채택하였다. 본 시스템은 국내에 소개된 타 조립식 교각과 달리 기본적 으로 주철근을 긴장하지 않는 RC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재료 및 공법상의 경제성을 극대화 하였다.
-
PC(Precast Concrete)구조시스템은 건식화 조립식 공법으로 구조물 건설에 있어 공기, 노동력 절감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구조벽체의 경우 PC화할 경우 접합부의 내진성능이 부족하여 구조벽체를 PC화하여 적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접합부 성능을 개선하여 횡력저항요소로 사용가능한 PC구조벽체를 고안하였다. 제안된 PC구조벽체는 지진발생 시 충분한 강도와 변형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PC구조벽체의 실험결과, 제안된 PC구조벽체는 충분한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02년 Chopra에 의해서 Modal Pushover Analysis가 소개된 이후로, 성능기반내진설계법은 믿을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내진설계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방법은 건축물 설계에 적용하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교량구조물의 경우, 1차모드가 지배적이지 않은 구조물의 특성상 이용에 제약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런상황을 고려하여, 사장교에 성능기반내진설계법을 제안, 사용성에 대하여 작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단 및 휨파괴형 부재가 혼합된 저층 철근콘크리트 거물의 내진성능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간이 내진성능 평가법을 제안함과 동시에 단시간 내에 약산적으로 내진성능이 우수한 건물을 우선적으로 선별이 가능하도록 피해도 판정식과 내진성능 평가식을 제안하여 정략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내진성능 평가표를 개발하였다. 상기 평가법을 이용하면, 내진성능 평가점수와 그에 대응하는 지진손상도가 추정가능하여 간편 효율적으로 내진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
Part 1에서 제안한 평가표를 이용하여 순수 골조로만 이루어진 철근콘크리트 건물과 골조와 전단벽이 혼합된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성능을 각각 평가하였다. 본 평가법은 효율적이며 비교적 간단하게 건물의 내진성능평가가 가능하며, 내진성능 평가점수를 토대로 어떤 특정 지진강도에 대한 건물의 구조손상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
철근콘크리트 학교건물(Part 2의 대상건물)을 대상으로 일본내진진단법(2차 및 3차) 및 비선형 정적 및 동적해석을 실시하여 상세하게 대상건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한 결과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진성능평가표를 이용하여 평가한 내진성능(Part-2)을 각각 비교 검토하여 본 연구의 간이 내진성능 평가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초고층 건물의 고강도콘크리트 화재시 내화성능 확보와 관련하여 복합섬유공법을 제안하고, 초고층 건물의 시공을 위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유동성과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유기질섬유와 폴리머분말을 복합화한 복합섬유공법 적용 고내화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시 폭렬방지 대책으로서 피복재에 의한 구조체로의 온도전달을 억제하는 방법을 검토하고자 시멘트계 고밀도 내화뿜칠재와 석고보드를 이용한 내화공법을 검토하였다.
-
Jung, Hong-Keun;Pei, Chang-Chun;Lee, Seong-Yeun;Han, Chang-Peng;Han, Min-Cheol;Han, Cheon-Goo 473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축물에 석고보드류 정도로 마감되어 있는 기둥부재를 가정하여, 마감재 종류 및 두께에 따른 내화특성을 검토하였다. 내화시험 후 폭렬현상으로 모든 시험체에서 주근부까지 폭렬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이력 특성으로는 35${\sim}$ 60분에서 9.5 T, 3.5 T(2ruq), 12.5 T, 15 T, 내화 12.5 T의 순으로 100${\sim}$ 200$^{\circ}C$ 부근에서 급격한 온도상승을 나타내므로서 보다 내화성능이 우수한 마감재의 시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roperties of Fire Resist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Diameter and Fiber Content of PET Fiber본 연구는 W/B 28%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PET섬유의 직경 및 혼입률을 변화시켜 콘크리트 기초특성 및 폭렬방지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유동성 및 압축강도는 0.05vol.%이하 범위의 혼입률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내화시험후 폭렬방지 특성으로는 40
${\mu}m$ 의 경우는 0.05vol.%에서 폭렬이 방지되었고, 20${\mu}m$ 의 경우 0.03vol.%에서도 폭렬이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승되는 온도하에서 섬유를 보강한 고강도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특히, 잔존강도, 하중-변형곡선에 관한 섬유의 혼입과 하중조건의 영향에 관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재하조건을 고려한 섬유혼입 콘크리트의 화재시험을 통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거동예측을 위한 변형특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양생방법 및 PP섬유 혼입율 변화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폭렬성상으로 표준양생의 경우는 PP섬유 혼입률 0.05%이상에서 폭렬이 방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토클레이브 및 증기양생의 경우는 혼입률 0.1 %이상에서 폭렬이 방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존압축강도 특성으로는 Plain의 경우 폭렬현상으로 인하여 측정이 불가하였고 PP섬유 혼입율 증가에 따라서는 30 MPa 전후의 잔존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하저감을 위해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에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실험체를 제작하여 압축거동의 특성을 평가하고자한다.
-
항만구조물의 안전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슈미트 해머법과 초음파 속도법의 현장 계측결과와 실내에서의 파괴실험결과를 비교하여 현장비파괴 검사법들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
본 연구는 일반 포러스 콘크리트의 흡음 특성을 개선 하고자, 특수한 방법으로 섬유를 혼입 하는 방법을 개발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가능한 한 섬유가 시멘트 페이스트 내에 함침 되지 않도록 하는 Fuzzy 형태의 포러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흡음성능을 평가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에 요구되는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의 단계로 메타카올린 치환에 따른 경량골재기포콘크리트의 강도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카올린을 중량비 0%, 5%, 10%, 15%, 20% 로 치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이용하여 ECC 배합에 따라 섬유 분산성, 단위 면적당 섬유 개수, 섬유 방향성을 평가하고, 이 결과로 섬유 가교 응력을 예측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와이어로프 유닛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T형 강판 정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심축하중과 횡하중을 동시에 받는 3개의 기둥 시험체가 휨 실험되었다. 주요변수는 T형 강판의 정착 유무이다. 실험된 기둥의 연성비는 기존 연구자들의 띠철근의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실험결과 T형 강판의 정착으로 횡하중 내력 및 연성비는 각각 무보강 기둥에 비해 40%와 130% 향상되었다. 특히, 동일한 유효횡보강지수에서 T형 강판이 정착된 보강기둥의 연성비는 띠철근 기둥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
콘크리트는 항온에서보다 온도의 편차가 클수록 열화가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열화된 콘크리트의 물성을 복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면복구재는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한 단면복구재의 품질 변화가 적거나 단면복구재에 의해 복구된 열화 콘크리트의 안정화를 유지할 수 있는 품질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단면복구 mortar에 단열성능을 부여하여 열화 콘크리트 보수용 재료로서의 내구성능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
저온경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모노머를 각각 10, 20, 30%를 혼입하여 제작한 수지의 점도, 가사 및 경화시간, 강도 등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수관거 전체보수용 라이닝 수지로서 적합한지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장 부착강도시험을 통해 콘크리트의 단면복구재로 사용되는 국내 폴리머시멘트 모르타르 제품에 대한 부착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부착강도시험에는 직접 인발시험기를 적용했으며, 시험결과는 단면복구재에 대한 국내 산업규격의 품질기준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노후된 콘크리트 전신주를 위한 경제적인 보강기법으로서 화학적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하기 위해 팽창재가 사용되었다. 이 보강기법은 콘크리트 실험체의 내하력과 연성을 증가 시켰을뿐만 아니라 FRP 재료의 제한성 및 활용도가 증대 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보강된 실험체의 화학적 프리스트레싱력과 내력을 실험적으로 수행하여 측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팽창재의 사용 양을 조절함으로써 화학적 프리스트레싱의 적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내력은 기준 실험체와 비교하여 3배 이상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오늘날 증축된 건축물의 기존 SRC 기둥과 신설 철골보로 연결된 구간에 대한 접합부의 안전성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RC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손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건물의 붕괴 방지 및 수명연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
이 논문은 보수 보강 공법으로 쓰이고 있는 FRP bar와 GSP 매입공법의 피로거동에 대한 연구이다. 실험에서 응력비 R는 0.1이고 피로하중 주파수는 1.5Hz이다. 피로실험 결과, S-N 곡선에서 GFRP bar와 GSP 보강보의 피로강도는 각각 정적강도의 58%, 52% 수준임을 얻었다.
-
본 연구는 최근 토목구조물의 장대화로 인해 고성능-고강도 콘크리트 사용이 급증하면서, 초고층 구조물이나 장스팬 교량 등의 위험요소에 대비하기 위해 고성능-고강도 콘크리트의 타설시부터 장기 재령까지의 특성을 계측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FRP 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강은 섬유의 선형 응력-변형률 거동으로 인한 취성파괴 가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섬유를 사용하여 하이브리드 FRP 시트를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그라우트가 필요 없는 구속력을 활용한 강판 보강 기법을 개발하고 보강기법 및 기존 연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위해 제작한 시편들의 시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거동차이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를 위한 표면강화제로서 리튬실리케이트가 콘크리트 표층부의 강도와 단면복구를 위한 모르타르와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적용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
산업의 발전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많은 도로 및 철도 터널이 축조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터널 구조물의 지하수와 토양의 오염 물질 등으로 인한 손상에 의하여 많은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후터널의 보수 보강에 있어 유해이온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보수 보강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광물질 혼화재료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급결제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최적 배합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재료의 품질변동 요인을 줄이고 엄격한 품질관리를 확보하기 위해 분말형 혼화재료를 이용하여 프리믹스 형태의 숏크리트를 개발하고자 우선 분말형 혼화재료 변화에 따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초속경 건식 숏크리트의 조기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방형 시험편 압축강도시험, 코아 압축강도시험, 인발시험, 성숙도시험을 실시하여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콘크리트구조물 외관의 손상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미세기공을 완전하게 메우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본래의 호흡성을 손상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 알칼리 실리케이트계 침투성 표면보호제를 사용하여 탄산화된 부위에의 침투깊이 및 도포에 따른 공극특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부각되고 있는 지속가능성능 평가를 내구성 설계에 도입하여 염해를 입은 RC구조 물의 목표 내용연수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 보수 내구성 설계기법의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Sporosarcina pasteurii라는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작용을 이용하여 Calcite(
$CaCO_3$ ) 석출을 유도하고, 이를 Mortar에 적용하여 요구 성능 향상을 평가하였다.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input)한 Mortar 시험체(C3S-S.p)와 일반 Mortar 시험체(C3S-W)의 중성화 반응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C3S-S.p가 C3S-W에 비해 중성화가 지연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8日간 Urea-CaCl2 수용액(Medium)에서 양생한 C3S-S.p와 C3S-W의 내구성을 실험을 통해 비교한 결과 Sporosarcina pasteurii를 혼입한 Mortar 시험체(C3S-S.p)가 일반 Mortar 시험체(C3S-W) 비해 내구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콘크리트 균열보수부의 내피로성능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대한 실험적으로 검토한 것으로서 먼저 실제 구조물의 균열보수부의 미세한 거동을 재현시킬 수 있는 피로시험기를 개발하였다. 실험결과, 온도의 상승에 따라 파괴모드가 변하고 내피로성능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
이 논문에서는 ECC를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배합, 제조과정, 그리고 양생방법을 제시하고, 배합에 따른 휨 성능과 섬유 분포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배합에 따라 섬유 분포특성이 달라지며, 이러한 섬유 분포 특성에 따라 휨거동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섬유 분포 특성을 반영하여 균열 간격을 계산할 수 있는 수식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ECC의 1축 인장 거동을 예측하였다. 예측 결과와 실험 결과는 약 10% 오차가 발생하였다.
-
연구에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섬유 형상에 따라 휨거동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결과 섬유 형상에 따라 휨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균열강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물결타입의 강섬유 사용으로 최대 휨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역학적으로 휨, 인장 및 압축파괴 시에 인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됨은 물론, 휨응력 하에서도 다수의 균열 분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DFRCC의 내구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따라서 DFRCC의 내구성능을 평가하기위해 염화물 촉진시험 및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하였다.
-
The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on First Cracking Strength and Flexural Tensile Strength of UHPC본 연구에서는 UHPC에서 섬유혼입률의 변화에 따른 휨실험체에서의 초기균열강도 및 휨인장강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섬유혼입률 5% 범위 내에서 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UHPC에서 초기균열강도 및 휨인장강도는 섬유혼입률이 늘어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이 연구에서는 레올로지 제어를 이용하여 자기충전용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레올로지 제어를 위하여 시멘트 페이스트에 대한 시멘트와 혼화제(감수제, 증점제)의 흡착정도를 평가하였고, 모르타르에 대하여 자기충전성과 유동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각종섬유(Cellulose(UF), Cellulose(CC), PP, PVA)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및 경화 콘크리트의 성상을 확인하고 섬유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된 액상화 섬유 누름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섬유(NY, PP)는 섬유의 길이조합과 혼입율에 따라 유동성에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의 길이조합과 혼입율이 고강도콘크리트의 유동성과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몰탈시험체를 대상으로 미니 슬럼프 플로우(Mini slump-flow), 간이 V-lot 및 회전점도계에 의한 점도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섬유의 길이 조합에 따른 유동특성은 큰 차이가 없으나 섬유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 (RPET)로 만든 플라스틱 단섬유의 구조재료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균열제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구속건조수축균열 시험을 평가하였다.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가장 널리 상용되는 합성섬유인 poly propylene (PP) 섬유와 비교하였으며, 섬유의 혼입률을 0%, 0.5%, 0.75%, 1.0%로 변화시켜 혼입률에 따른 영향을 함께 검토하였다.
-
분산제 코팅 및 단일형상을 가진 폴리아미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기술을 적용하여 160MPa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평가한 결과, 콘크리트의 압송성능을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관리기준을 만족하였다.
-
최근 공기단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 따라 공기단축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공기단축기술이 개발되어도 실제로 현장에 적용되기가 어려운 실정인데 이는 총체적인 공기단축 저해요인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공사현장의 공기단축을 위한 저해요인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오늘날 건축시공에 있어 하자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실공사 방지를 위해 건설 안전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하자 관련 규정이 추상적이고 불확실하게 규정되어 있어 하자와 관련 된 분쟁은 나날이 증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자의 유형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하자책임 및 하자담보 책임기간에 대한 분쟁의 합리적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관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광섬유센서 등과 같은 정밀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온, 수온 및 수중 지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각각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교량 세굴 및 수위를 파악할 수 있는 계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소개한다. 온도계측을 통한 교량 세굴 및 수위 측정 방법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수중 지표면을 기준으로 일정깊이와 높이로 설치하여 각각의 위치에 따른 온도 변화량을 분석하여 세굴량을 추정하는 시스템이며, 센서를 교각 상부까지 연장할 경우 수심 측정까지도 가능한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대신하여 고로슬래그를 원재료로 사용한 무시멘트 알칼리 활성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콘크리트의 강도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알칼리 활성화제로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수산화바륨을 첨가하였고, 내수성 증진을 위해 수산화칼슘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
새만금 간척지의 배수갑문 트러니언 구조물에 대한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배수갑문 트러니언은 배수갑문과 교각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써 갑문에서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해석결과, 하중의 방향이 일정한 구조물과 다소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
본 연구는 2차 긴장재를 비부착시킨 PSC거더 교량의 거더높이가 일반 PSC거더 교량보다 낮음에 따라 정 동적 차량재하시험과 구조검토를 수행하여 내하력을 평가함으로서 대상교량의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SC Box 교량을 대상으로 현재 교량 점검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지 관리 담당자의 편의를 제공하며, Box 내부 점검작업을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점검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compared to normal concrete is exhibiting extremely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with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reaching 200MPa and 15MPa, respectively.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UHPC can be thus exploited advantageously in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and fabrication of slim and light-weight of the structural members. In the case where the structural member is made of UHPC, the occurrence of crack can be prevented by releasing the restraint provided by the form in due time. This research performs parametric study of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uch as failure energy and softening curve suggested by the viscous crack model approximating the failure of concrete. The scope of this research contains the results of test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ength of UHPC during early elapsed time.
-
Supplementary cementing materials (SCM), such as silica fume, slag, and low-calcium fly ash, have been widely used as mineral admixtures in high strength and high performance concrete. Due to the chemical and physical effect of SCM on hydration, compared with Portland cement, hydration process of cement incorporating SCM is much more complex.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hydration model which is based on multi-component concept and can simulate hydration of cement incorporating SCM. The proposed model starts with mixture proportion of concrete and considers both chemical and physical effect of SCM on hydration. Using this proposed model, this paper predicts the following properties of hydrating cement-SCM blends as a function of hydration time: reaction ratio of SCM, calcium hydroxide content, heat evolution, porosity, chemically bound wat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The prediction results agree well with experiment results.
-
The CAMUS 2000-1 experimental program were performed in France to investigate of the 1/3-scaled reinforced concrete bearing walls behavior on the shaking table under biaxial earthquake loading. The nonlinear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push over test and linear dynamic analysis under biaxial earthquake loading are investigated with the concrete damaged plasticity model using ABAQUS.
-
An improvement of the test method is proposed to more accurately measure early-age autogenous shrinkage in concrete particularly within first 24 hours after cast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considering existing and improved method. In improved method, hydration temperature was artificially controlled to prevent thermal deformations.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autogenous shrinkage calculated by existing approach is underestimated which might be due to the wrong assumption of considering the thermal dilation coefficient to be constant (equal to 10
${\times}$ $10^{-6}/^{\circ}C$ ) at early-age. We recommend that the proposed method should be adopted to better assess precise value of autogenous shrinkage or an appropriate method of determining the time-evolution of thermal dilation coefficient be considered. -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에 따라 철근 압축이음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행 설계 기준에서 콘크리트강도와 횡보강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압축이음길이가 인장이음길이보다 길어지는 기현상(奇現象)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51개 실험체의 결과를 바탕으로 40MPa부터 70MPa까지 콘크리트에 대한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을 이용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압축이음길이가 인장이음길이보다 길어지는 이상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더불어 제안된 압축이음길이 설계식은 통계적 기법에 기반을 두어 재료강도와 동일한 수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
The feasibility of electro-mechanical impedance (EMI) sensing technique, utilizing piezo-ceramic (PZT) patches, for online strength gain monitoring of early age concrete is investigated. An experimental study is conducted on PZT patch instrumented concrete specimens. The applicability of the EMI sensing technique for strength gain monitoring is discussed.
-
From the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existing precast prestressed concrete pavement (PPCP) systems, an innovative PPCP system has been developed. After the analysis and design, the sample system has been built and experimented under service loads and the defects of the system has been noted. Further study has been don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efects. The appeared cracks around post-tensioning pockets was a crucial problem which needed to be solved in order to satisfy the service life of the system without any doubt. In this paper, different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ost-tensioning pockets in the joint panel has been designed and analysed in order to find best performance for the system.
-
For cases where the column concrete strength exceeds 1.4 times the slab concrete strength, the KCI Code requires that either: puddled high-strength concrete(HSC) be used in the slab, or the use of vertical dowels and spirals through the joint, or the use of an effective concrete strength in the joint. This paper studies on the third strategy. A prediction model of the effective concrete strength for interior columns was proposed using an analogy of brick and mortar in brick masonry. The proposed prediction model i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various design equations.
-
이 논문은 초고강도 I 형보의 quasi-brittle 파괴역학적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Non-holonomic rate 형태로 변형경로에 의존하는 경화-연화거동 관계 방정식을 구성하기 위해 linear Complementarity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PATH solver 를 사용하여 LCP 방법의 해를 구하였다.
-
Continuous deep girders which transmit the gravity load from the upper wall to lower columns have frequently long end shear spans between the boundary of the upper wall and the face of the lower colum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ests and analyses performed on three 1:2.5 scale specimens with long end shear spans, (the ratios of shear-span/height : 2.0본 연구는 프리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부재의 전달길이를 예측함에 있어 기존의 연구들이 다루지 않았거나 미흡하였던 변수들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그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