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teachers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2초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손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66-5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Green Based Growth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Preservati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 이미진;김지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3-174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생태계', '에너지', '자원', '녹색시민의식'으로 크게 4가지 내용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각 내용 영역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구체적인 활동을 20회기로 계획하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 환경보전 행동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녹색성장교육에 기초한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습득과 환경보전태도 및 행동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녹색성장교육을 실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녹색성장교육을 실행하고자 하는 유아 교사에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Focus on their Playfulnes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 박근주;서소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89-511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자율성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자아존중감, 놀이성 및 자기조절력으로 구성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4,5세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기조절력은 교사가 관찰한 경험을 근거로 설문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담임교사가 유아에게 직접 질문하여 평정하였고,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에 의해 현장 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자기조절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 김영숙;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9-249
    • /
    • 2013
  •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100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관계 및 긍정적 감정의 경우 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의 애착이 불안정하더라도 교사에 대한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관계 적응 및 긍정적 감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격적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교사와의 안정애착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서의 공격적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led Group Theraplay on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mong Full-day Kindergarteners)

  • 김경은;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99-32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의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 14명이며 7명은 실험집단, 7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유아에게 매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치료놀이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하고자 자아탄력성 척도, 또래유능감 척도, 교사-유아 관계 척도(STR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를 분류하여 채점한 후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수줍음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Young Children's Shyness on Social Withdrawal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조우리;신나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419-43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shynes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 in regards to social withdrawal. Two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and teachers of 242 three to five-year-olds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in Sejong city. SPSS 18.0 was used to implement descriptive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effects of lack of sociability and assertiveness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assertiveness and intimate relationship on social withdraw were found whe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intimate.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djusted to lack of assertiveness in the child. Meanwhil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sociability and lack of assertiveness and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 were found in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n alleviating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hyness was limited despite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However, the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became more intense if they we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a teacher; this tendency was also shown more significantly in shier children.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unamicabl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may function as a risk factor to cause social withdrawal behavi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a teacher has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ticularly shyness, and encourage their sociability of children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s.

스마트폰을 활용한 로봇 교육 콘텐츠 게임 활용 연구 (Educational Insect Robot Content use of play(Game) for the Nuri Process Education of Creative in Smartphone)

  • 박영숙;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134
    • /
    • 2013
  • 2012년부터 만5세 유아를 위한 교육과 보육의 공통과정인 누리과정이 시행 되고 있다. 누리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교육 로봇은 교사가 현장에서 활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유아의 심리적 안정, 신체적 안정, 연령에 따른 발달적 적합성,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사고력, 창의력, 과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 로봇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아들이 좋아하는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연구한다. 영유아들이 환경 친화적인 교육 환경을 가지는 교육용 곤충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의 개발하는 연구를 한다. 스마트폰으로 게임 활용은 15단계로 진전되며, 도중에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질문과 답변을 배치하여 교육과 로봇의 창의적 효과를 높인다. 본 논문을 통해 창의적 누리교육을 위한 콘텐츠 발달에 기여할 것 이다.

  • PDF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me and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s on the Reading Interests of Young Children)

  • 천화영;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49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52곳을 선정하고,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5세 유아 104명과 그들의 어머니 104명, 담임교사 5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가정의 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 흥미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실의 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 흥미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셋째, 가정문해환경과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가 책을 읽어줄 때 확장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고, 가정과 교실에서 문해자료를 많이 활용하며, 가정에서 책을 정해진 시간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읽어주고, 가정에 구비된 도서의 양이 많으며, 교사가 책을 읽어줄때 분위기 조성을 위한 상호작용을 많이 하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아짐을 나타냈다. 따라서 가정과 교실에서 우수한 문해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읽기 흥미를 향상 시키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A Study about How Child Care Directors Make Decisions during their Operating Hours)

  • 한현지;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7-16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원장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별적인 심층면접을 사용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의사결정 기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원장 외부와 내부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외부에서 찾아보면, 법적기준 준수, 부모요구 수용, 교사와 협력, 외부의 조언 수용, 현실적 여건 수용으로 나타났다. 내부에서 찾아보면, 원장의 운영철학, 원장 개인의 신앙, 원장의 개인적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이 우수한 보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정책의 수립과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2-3학년 시기 양육역량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자기체계역량, 학교생활 파악수준, 담임교사 상담횟수 및 사회관계망 변화를 중심으로 (The Types of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uring Their Children's 2nd to 3rd Grades of Primary School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Focusing on the Changes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and Social Networking)

  • 최지혜;조혜령;김영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3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and predictive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ies during their children's second to third grades in primary school.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We classified 373 mothers into three groups, 'reduced' parenting competency, 'maintained' parenting competency, and 'increased' parenting competency, and conducted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decreased between their children's 2nd year and 3rd year in primary school. Second, the 'reduced', 'maintained', and 'increased'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with homeroom teachers, and social networking. Third,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social networking predicted the increas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The degree of change in self-system competen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predicted the maintenance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has revealed the change in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and its predictive factors after the second year in primary school. How to support the growth of mothers' parenting competency was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