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5.299

The Effect of Teacher-led Group Theraplay on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mong Full-day Kindergarteners  

Kim, Kyung Eun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전공)
Han, You Jin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5, 2013 , pp. 299-3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evaulate the effectiveness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teachers than can boost full-day kindergarteners'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 total of 14 children attending a full-day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7 children exposed to 10 sessions of group theraplay for 50 minutes per session, held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7 children who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teacher evaluated ego resili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o investigate two group's behavioral changes. Data analysis was done by perform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test after classifying and evaluating pre- and post-examinations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group theraplay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based on the study results of improving ego resilience and peer competence among full-day kindergartners and strengthening teacher-child relationships.
Keywords
group theraplay; ego resilience; peer compet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s; full-day kindergarten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 13 종일반.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2002). 유치원 종일반 운영지침. 서울 : 교육부
3 구희정(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구희정, 강정원(2009).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281-297.
5 김미경(2000). 유아의 신념 - 욕구에 관한 이해 발달. 유아 교육학논집, 4(2), 5-25.
6 김선희(2005).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연진(2005). 정서문제 유아에 대한 집단치료놀이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민성혜(2006). 유아의 사회적 놀이 군집별 또래유능성의 차이.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359-379.
9 박영미(2009).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1(4),463-475.
10 박주희, 이은해(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21-232.
11 배지희, 봉진영, 조미영(2010).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종일반 교사들의 인식 및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4(2), 101-124.
12 배지희, 이봉선, 탁옥경(2005). 공사립 유치원 종일반 운영의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1), 237-259.
13 성영혜(2000). 치료놀이(I). 서울 : 형설출판사.
14 성영혜, 김현자(2005). 교사를 위한 영아보육과 치료놀이 프로그램. 서울 : 형설출판사.
15 성영혜, 유한규, 이상희, 김수정(2002). 치료놀이(II)집단TP활동집. 서울 : 형설출판사.
16 성영혜, 윤미원, 이주연(2005). 집단 치료놀이 실제:아동편. 서울 : 한국치료놀이연구소.
17 안선희(2002). 유아의 유치원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학회지, 9(1), 201-219.
18 송주 (2006). 집단치료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0(1), 95-115.
19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0 신수정, 성영혜(200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증진 효과. 아동연구, 17(1), 28-59.
21 원영미(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유한규(2002). 가출 청소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3 윤미원(2012). Sunshine 프로그램의 발전적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1. 한국치료놀이학회지, 2(1), 1-14.
24 이수기(2011).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창미(2012). 누리과정에서의 치료놀이 적용과 실천. 한국치료놀이학회지. 1(2), 17-30.
27 정문정(2012). 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경서, 남기원(2011).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 교육학논집, 15(4),161-178.
29 최미숙, 황윤세(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와 또래유능감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30 하영례(2009).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Block, J.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 281-295.   DOI   ScienceOn
32 하영례, 안정숙(2006). 사례연구 :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원거부 아동의 놀이치료. 놀이치료연구, 10(1), 83-99.
33 허선윤, 이숙(2010). 사례연구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내면화 장애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4(3), 75-92.
34 고영희(2010).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36 Guerney, B., & Andronico, M. P. (1967). The potential application offilial therapy to the school situ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2-7.   DOI   ScienceOn
37 Howes, Carollee., & Hamilton, Claire E, Matheson, C. C.(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 264-273.   DOI   ScienceOn
38 Jernberg, A, M., & Booth, P, B. (1999). The Theraplay Institute Newsletter. 1980-1999.
39 White, J., Flynt, M., & Draper, K. (1997). Kinder therapy : Teachers as therapeutic ag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therapy, 6(2), 33-49.
40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NC: Kaplan Press.
41 Winnicott, D. W. (1971). Playing and Reality. New York: Basic Books.
42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3 김수정(2002). 집단 치료놀이를 통한 사회성 증진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