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eacher-led Group Theraplay on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mong Full-day Kindergarteners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김경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전공) ;
  • 한유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3.08.14
  • Accepted : 2013.10.1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evaulate the effectiveness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teachers than can boost full-day kindergarteners'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 total of 14 children attending a full-day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7 children exposed to 10 sessions of group theraplay for 50 minutes per session, held twice a week.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7 children who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teacher evaluated ego resili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to investigate two group's behavioral changes. Data analysis was done by performing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test after classifying and evaluating pre- and post-examinations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group theraplay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based on the study results of improving ego resilience and peer competence among full-day kindergartners and strengthening teacher-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의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 14명이며 7명은 실험집단, 7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유아에게 매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치료놀이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하고자 자아탄력성 척도, 또래유능감 척도, 교사-유아 관계 척도(STR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를 분류하여 채점한 후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희(2010).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 지도서 13 종일반.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2002). 유치원 종일반 운영지침. 서울 : 교육부
  4. 구희정(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구희정, 강정원(2009).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281-297.
  6. 김미경(2000). 유아의 신념 - 욕구에 관한 이해 발달. 유아 교육학논집, 4(2), 5-25.
  7. 김선희(2005). 자아개념 증진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수정(2002). 집단 치료놀이를 통한 사회성 증진 보육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연진(2005). 정서문제 유아에 대한 집단치료놀이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민성혜(2006). 유아의 사회적 놀이 군집별 또래유능성의 차이.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359-379.
  11. 박영미(2009). 유치원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1(4),463-475.
  12. 박주희, 이은해(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 유능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21-232.
  13. 배지희, 봉진영, 조미영(2010).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종일반 교사들의 인식 및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4(2), 101-124.
  14. 배지희, 이봉선, 탁옥경(2005). 공사립 유치원 종일반 운영의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탐구: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1), 237-259.
  15. 성영혜(2000). 치료놀이(I). 서울 : 형설출판사.
  16. 성영혜, 김현자(2005). 교사를 위한 영아보육과 치료놀이 프로그램. 서울 : 형설출판사.
  17. 성영혜, 유한규, 이상희, 김수정(2002). 치료놀이(II)집단TP활동집. 서울 : 형설출판사.
  18. 성영혜, 윤미원, 이주연(2005). 집단 치료놀이 실제:아동편. 서울 : 한국치료놀이연구소.
  19. 송주 (2006). 집단치료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0(1), 95-115.
  20.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1. 신수정, 성영혜(200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증진 효과. 아동연구, 17(1), 28-59.
  22. 안선희(2002). 유아의 유치원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학회지, 9(1), 201-219.
  23. 원영미(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유한규(2002). 가출 청소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윤미원(2012). Sunshine 프로그램의 발전적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1. 한국치료놀이학회지, 2(1), 1-14.
  26. 이수기(2011). 유아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숙(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 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창미(2012). 누리과정에서의 치료놀이 적용과 실천. 한국치료놀이학회지. 1(2), 17-30.
  29. 정문정(2012). 동화를 통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경서, 남기원(2011). 유아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 교육학논집, 15(4),161-178.
  31. 최미숙, 황윤세(2007).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와 또래유능감의 관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103-123.
  32. 하영례(2009).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하영례, 안정숙(2006). 사례연구 : 분리불안으로 인한 등원거부 아동의 놀이치료. 놀이치료연구, 10(1), 83-99.
  34. 허선윤, 이숙(2010). 사례연구 :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내면화 장애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4(3), 75-92.
  35. Block, J.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 281-295. https://doi.org/10.2307/1128971
  36.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37. Guerney, B., & Andronico, M. P. (1967). The potential application offilial therapy to the school situa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1), 2-7. https://doi.org/10.1016/0022-4405(67)90057-X
  38. Howes, Carollee., & Hamilton, Claire E, Matheson, C. C.(1994).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Child Development, 65, 264-273. https://doi.org/10.2307/1131380
  39. Jernberg, A, M., & Booth, P, B. (1999). The Theraplay Institute Newsletter. 1980-1999.
  40.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1.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NC: Kaplan Press.
  42. White, J., Flynt, M., & Draper, K. (1997). Kinder therapy : Teachers as therapeutic ag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therapy, 6(2), 33-49.
  43. Winnicott, D. W. (1971). Playing and Reality. New York: Basic Books.

Cited by

  1. How a mother’s own growing up family experiences and her attitude toward perfectionism and playfulness influence her child’s ego resiliency vol.34, pp.2,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2.005
  2.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vol.11,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49
  3. The Effects of Programs Using Therapl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ol.18, pp.1, 2013, https://doi.org/10.21075/kacsn.2016.18.1.227
  4.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vol.14, pp.6, 2018,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