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i Curriculu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8초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as an Emergent Curriculum)

  • 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43-351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고, 적합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써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의 역할은 지원자임을 명확히 하고 있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구를 통한 발현적 교육과정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교사가 유아의 근접발달지대를 적극 활용하여 구성주의적 실천을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발현적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비계설정을 활용하는 연구자 교사, 교육과정 운영에서 융통성 있는 교사, 자율성을 갖고 유아에 대한 믿음을 가진 교사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으로 첫째, 교사는 개별 유아, 다수의 유아에게 최적의 놀이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적합한 비계설정을 할 수 있도록 관찰과 기록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유아의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달에 적합한 발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넷째, 교사는 발현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행복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 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7-4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Study subjects included 37 children aged 5 (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17) enrolled in A day care center and D day care center located in K district, Seoul.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48 times in 18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the Nuri curriculum. In contrast,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gener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9 sub-domai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happiness (health, emotion, immersion, recognition and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pirituality, life satisfaction) and 3 sub-domains related to self-esteem (start and spirit of independence, sociality emotionality,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and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ossibility of a happiness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happ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통일교육 내용분석 (Contents Analysis o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Teachers'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 최윤경;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5-13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South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viewing Nuri curriculum develop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thod: Literature review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s'manuals under the areas and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Results: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designed to accelerate unification, to promote the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to prepare for the post-unification period. This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specific areas: democratic community, democratic citizenship, peacekeeping and multiculturalism. These areas account for 24.24% of the total contents in the Teachers'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helpful to underst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owever, is merely 0.25% of the total contents, and the elements are not fairly balanced. Such content coverage of the teacher's manuals for kindergartens is 2.83% higher than that for preschools.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include that the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more balanced approach with more integrated and broader coverage. The elements also need to be revised so that both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can get access to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same quality.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조유진;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06-813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누리교육과정 기반 인공지능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Based on Nuri Curriculum)

  • 변영신;한정수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1-76
    • /
    • 2022
  • 4차 산업의 혁신적인 발달과 코로나 팬데믹은 교육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켜 급기야는 유치원을 비롯한 초중고교에 인공지능(AI)교육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미처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유아 AI 교육은 결과 중심적, 특별활동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유아 AI 교육이란 무엇이며, AI 교육내용 규명과 이를 어떻게 누리교육과정에 접목하는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유아 AI 교육을 정의하고 AI 교육내용을 규명하여 이를 누리교육과정에 편성하여 운영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 AI 교육은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컴퓨터, 인터넷, 프로그램을 AI 교육의 하위요소로 추출하였다. 이를 누리교육과정에 접목시키기 위해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설정된 세 개의 AI 교육내용을 각각 생활주제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하위요인을 선정하고 각각의 하위요인에 적합한 활동을 계획하여 시행하는 것이다. 둘째는 기존 누리 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적합하게 AI 교육내용을 하위 교육활동 차원으로 전개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유아교육의 특성을 고려하고 누리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진정한 의미의 유아 AI 교육이 실현되기를 희망하며, 누리과정 5개 영역에 따른 AI 놀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수학 내용,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tinuity between Math-Related Activities of Nuri Manuals for Teachers and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Mathematical Contents, Terms and Symbols, and Mathematical Processes -)

  • 장혜원;임미인;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2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의 중점 중 하나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강화와 관련된다. 교육현장의 교사들이 교육과정보다 교과서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 1, 2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내용, 수학 용어와 기호, 수학적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와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수학 교과서이며, 본 연구와 동일선상에서 이루어진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양자 간의 연계성 확보 방안과 교육과정 개정 및 수학 교과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누리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on Nuri-Curriculum)

  • 김민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9-167
    • /
    • 2015
  •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실시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과 관련된 연구의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누리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검색사이트에서 "누리과정" 으로 검색된 연구물 중 5세 누리과정이 실시된 2012년 이후부터 2015년 3월까지 발표된 논문 10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누리과정 관련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이 도입되고, 3~4세로 확대되어 실시된 2013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누리과정의 이해와 적용을 돕기 위한 관련 안내서와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의 66.7%로 나타나, 연구가 일부 영역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중 내용분석 방법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방법은 질문지법, 문헌연구였다. 한편 실제 현장에서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실험이나 관찰 연구 및 질적 방법을 통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내용은 "누리과정 구성방향 관련연구"의 내용이 전체의 68.8%였고, 그 중 자연탐구 영역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지금까지의 누리과정 관련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장 중심의 연구가 부족하므로 보완되어 연구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아동복지법을 기준으로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Analysis for 3 to 5-year-olds Based on Child Welfare Act Safety Education-Based Content)

  • 남현주;이상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60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for 3, 4, and 5-year-olds based on the Child Welfare Act. Method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for 195 children's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the Nuri-Program. The analyzed data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s. Results: First, life safe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after looking at the contents category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results in order are as follows: "raffic safety"; "Health and hygiene management, including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diseases and drug abuse"; "Safety measures against disasters"; "Precaution and prevention of disappearance and abduction";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child abuse." Second, there were many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to chronological age (3-to 5-years old). Health and safety by subject, season, and life tools were more frequent. By type of activity, conversation and language activity, fairy tales, and plays were the most common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uggests the need to systematically plan safety education content through a program that links safety-related laws and element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in child care centers.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활동 분석 (An Analysis of Activities and Contents in Nuri Curriculum Teaching Guidebooks for Mathematical Education for Three to Five)

  • 조부월
    • 아동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5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tendencies and general distributive features of mathematical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are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Guidebooks. This was done by analysis of 628 mathematical activities suggested in those guidebooks, the total number of which was thirty-tw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ctivities for mathematical education was 204 for the age of three, 223 for the age of four, and 201 for the age of five. Second, these mathematical educational activities are aimed mainly for develop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rather than the delivery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skills. Third, the number of activities for developing mathematical inquiry skills was greater than that of activities for developing of inquiry attitudes.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s of space and figures can be found most frequently in five kinds of activities for mathematical inquiry. Last, the activities for mathematical education are more frequently found in free choice activities rather than group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checking the current status of mathemat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Guidebooks can be utilized for creating teachers' man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