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2.115

Contents Analysis o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Teachers' 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Choi, Yoonkyung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Yun, Eunju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2, 2017 , pp. 115-1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South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viewing Nuri curriculum develop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thod: Literature review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s'manuals under the areas and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Results: Unification education has been designed to accelerate unification, to promote the values and attitudes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to prepare for the post-unification period. This edu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specific areas: democratic community, democratic citizenship, peacekeeping and multiculturalism. These areas account for 24.24% of the total contents in the Teachers'Manual of the Nuri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helpful to underst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however, is merely 0.25% of the total contents, and the elements are not fairly balanced. Such content coverage of the teacher's manuals for kindergartens is 2.83% higher than that for preschools. Conclusion/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include that the el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take a more balanced approach with more integrated and broader coverage. The elements also need to be revised so that both kindergarteners and preschoolers can get access to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same quality.
Keywords
unification of two Koreas;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Nuri curriculum; teachers' manua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명희 (2000).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361-390.
2 이상용 (2015). 초등 도덕과의 다문화교육 내용분석: 2011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영문 (2005).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 단원 내용 개선 방안 연구. 도덕교육연구, 17(1), 199-222.
4 이원영, 이태영, 이경민, 정혜원, 강희정 (2001). 통일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이윤진, 구자현 (2013). 통일에 대비한 육아지원분야 통합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6 이윤진, 양미선, 조아라 (2015). 유아교사의 통일인식 실태와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7 이정화 (2002). 평화교육적 접근을 통한 초등 도덕과 통일 교육의 개선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정대현, 곽연미 (2012).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19-835.   DOI
9 정영수 (1993). 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 교육학연구, 31(5), 173-193.
10 정용민 (2001). 평화교육적 접근에 의한 통일교육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광업 (2003). 국제이해교육을 통한 통일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휘제 (2011). 통일교육이론과 실제 방법론. 서울: 선인.
13 지성애, 김숙자, 최민수 (2003).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29-259.
14 차우규 (2005). 윤리와 사상 교과서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도덕윤리과교육연구, 20, 213-240.
15 추병완, 김옥기, 김진선, 김혜영, 백장현, 조은숙 등 (2002). 통일교육. 서울: 하우.
16 최민수, 김숙자, 지성애 (2002).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 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63-290.
17 통일교육원 (2014). 2014 통일교육지침서: 학교용. 서울: 통일교육원.
18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19 강봉수 (2007). 통일교육의 사회문화 접근모색. 윤리교육연구, 14, 1-24.
20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1 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유치원 (2014).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활용으로 건전한 통일관 확립. 2014학년도 교육부지정 상설연구유치원 연구보고서. http://www.edunet.net/nedu/stdysvc/stdySchlForm.do?clss_id=CLSS0000000059&menu_id=443에서 2016년 3월 6일 인출
22 권태현 (2007). 유아 통일교육 활동자료의 내용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명화 (2001).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북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숙자 (2001). 통일한국에 대비한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육학연구, 39(3), 51-72.
25 김숙자, 지성애, 최민수, 서성미 (2003). 유치원의 통일교육 실천 내용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41-268.
26 김숙자, 홍희주, 김현정, 한미선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서의 교육내용 분석: 만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론집, 18(5), 527-540.
27 김신희, 이우영 (2014). 초등 사회.도덕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북한 및 통일 관련 내용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과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7(1), 31-52.
28 김용찬 (2005). 민주화.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과 정치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9 함규진, 이신애, 장세영 (2015). 북한 관련 보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와 통일교육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 50, 335-375.
30 하현정, 손유진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151-170.   DOI
31 헌법 (1987). 대한민국헌법 제10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61603&efYd=19880225#0000에서 2016년 3월 3일 인출
32 홍순옥, 서현아, 김경미, 이해정, 김유정 (2012).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3 SBS (2017). 김일성 생일 맞아 대규모 열병식... 신무기 공개 가능성. http://news.sbs.co.kr/news/end Page.do?news_id= N1004148057&plink=ORI&cooper=NAVER에서 2016년 4월 16일 인출
34 Heater, D. (2007). A history of education for citizenship, 시민교육의 역사 (김해성 옮김). 경기: 도서출판 한울(원판 2004).
35 박문갑, 김호성, 김항인 (2000). 통일을 대비한 통일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11(2), 1-21.
36 통일교육지원법 (2013). 통일교육 지원법 법률 제12040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2938&efYd=20140214#0000에서 2016년 3월 3일 인출
37 김중균 (2012).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교과서의 통일교육 내용 분석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김진선 (2003).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통일교육 내용분석: 제6․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독일연수단 (2008). 독일정치교육의 현장을 가다.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40 박광기 (2012). 한반도 통일비전과 통일교육의 재인식. 정치정보연구, 15(1), 187-214.
41 박선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놀이 관련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박찬석 (2003). 7차 초등 도덕과 반성과 8차 도덕과 교육과정 탐색: 통일교육 기초 연구. 초등도덕교육, 11, 205-233.
43 박찬석, 추병완, 차우규, 박병충, 황인표, 정창우 등 (2000). 통일교육론. 서울: 백의.
44 박혜숙 (2001).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변종현 (2012).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초등도덕교육, 29, 63-94.
46 서규선, 조경희 (1995). 한국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유치원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 교육발전, 14, 131-153.
47 송인섭, 강갑원, 이경화, 장미경 (2007). 아동연구. 서울: 상조사.
48 신승재 (2014). 초등학교 통일교육 내용 분석: 수준별 교육과정 중심으로. 북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유영옥 (2002). 남북교육론. 서울: 학문사.
50 유영태 (2004).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의 모색: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윤기영 (2006).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통일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319-338.
52 윤기영, 서규선, 김지영, 조경희, 이미숙 (1997). 유아 교육 기관의 통일 교육. 서울: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