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f the Nuri-Curriculum,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nalyzing the subjects,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contents of Nuri-Curriculum studies, and current research trends. For these purposes, 102 Nuri-Curriculum articles in major child care-related journals from 2012-2015 are reviewed. PASW 18.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ra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despite a relatively short implementation period. Second, many research topics dealt with include curriculum-related material. Third, 74.5 percent of the articles used quantitative methods, and content-analysis wa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among them. On the contrary, there was relatively less research which used the experimental method applying the curriculum to real practice, observational or qualitative method. Fourth, most of the research contents focus on the direction of making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research including its application to real practice as the research approaches on the Nuri-Curriculum performed so far have been limited.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실시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과 관련된 연구의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누리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검색사이트에서 "누리과정" 으로 검색된 연구물 중 5세 누리과정이 실시된 2012년 이후부터 2015년 3월까지 발표된 논문 10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누리과정 관련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이 도입되고, 3~4세로 확대되어 실시된 2013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누리과정의 이해와 적용을 돕기 위한 관련 안내서와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의 66.7%로 나타나, 연구가 일부 영역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중 내용분석 방법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방법은 질문지법, 문헌연구였다. 한편 실제 현장에서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실험이나 관찰 연구 및 질적 방법을 통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내용은 "누리과정 구성방향 관련연구"의 내용이 전체의 68.8%였고, 그 중 자연탐구 영역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지금까지의 누리과정 관련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장 중심의 연구가 부족하므로 보완되어 연구될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