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1.806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ho, Yu-Jin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Bae, Jee-Hyun (성결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able operation. 12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child evaluation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method the most. Some of the items on perce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eachers. Teachers recognized 'autonomy' as the focu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d that it was the biggest factor that made child evaluation difficult. The interactive peer-to-peer workshop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early childhood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finding ways to support teachers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Keywords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Evalu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2019.
2 이강훈, "황해익, 빅데이터에 기초한 ''2019 개정 누리 과정 평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열린유아교육, 제25권, 제4호, pp.79-109, 2020.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2019.
4 김상수, 김영학,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e-포트폴리오 설계 및 활용 교육,"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 pp.260-267, 2008   DOI
5 S. L. Schwartz, Copeland, 박은혜, 신은수, 김희진, 이지현(공역), 발현적 유아교육과정과 표준의 연계: 교육 내용과 교수실제 강화하기, 2013.
6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해설서, 2013.
7 손미경,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8 이상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심미영, 보육시설에서의 영,유아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조성경,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1 남궁지영, 유아교육기관의 평가방법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2 양수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7호, pp.425-448, 2020.
13 원지선,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환시기에서의 보육교사들의 수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4 이경란, 이경화, "초록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유아의 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천의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253-277, 2015.
15 방춘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비형식적 유아평가방법의 운영실태 및 요구 조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6 심성경, 변길희, 류경희,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449-460, 2012.   DOI
17 방현실,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67-98, 2020.
18 채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19 노성희,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운영 개선 방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전혜미,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1 한석실, 신주영, "유아평가 환류 모형의 현장 적용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5권, 제2호, pp.211-234, 2018.
22 서은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