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행복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신지혜 (오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06.10
  • Accepted : 2016.10.06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young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Study subjects included 37 children aged 5 (experimental group 20, comparative group 17) enrolled in A day care center and D day care center located in K district, Seoul.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48 times in 18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linked with the Nuri curriculum. In contrast,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general activities focusing on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st 9 sub-domains related to young children's happiness (health, emotion, immersion, recognition and achieve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spirituality, life satisfaction) and 3 sub-domains related to self-esteem (start and spirit of independence, sociality emotionality,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children's happiness program in rela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happiness and self-esteem, and could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ossibility of a happiness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happiness education in the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가영희, 조민자, 임성우 (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청소년시설환경, 6(4), 31-42.
  2. 고현, 김성미 (2013). 유아 정서지능.유치원 적응.유아행복감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15-136.
  3. 고희숙 (2013). 행복 증진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윤진 (2015).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6. 권기남, 성미영 (2010). 유아의 행복감이 행동문제 및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9(2), 257-270. https://doi.org/10.5934/KJHE.2010.19.2.257
  7. 김민진, 김창복 (2015). 관계지향 유아 행복교육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51-81.
  8. 김성숙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473-393.
  9.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10. 김세희, 강순미 (2008). 그림책 읽기 및 관련 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9(2), 119-139.
  11. 김은숙 (2010). 한국 최초 숲 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숲 유치원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의철, 박영신 (2008). 한국사회와 교육성취.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1-31.
  13. 김정원, 방승연 (2014).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93-114.
  14. 김지은 (2003).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희진, 김민진 (2015). 다문화가정 유아가 인식한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9(2), 143-167.
  16. 도남희, 배윤진, 김지예 (2014).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7. 류칠선, 조인경 (2014).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아동보육연구, 10(1), 5-22.
  18. 모용희 (2014).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도덕적 판단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문남정 (2014). 협동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주도적 집단게임 활동에서의 유아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태영 (2013). 협력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적 표현 능력과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미진(2013).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행복 요소.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성현 (201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시전 (2003). 행복한 기억. 서울: 베스트 베이비.
  24. 박점희 (2015). 자연산책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찬옥, 서동미, 엄은나 (2010). 유아사회교육. 파주: 정민사.
  26. 배지아 (2014). 모-자녀 애착 및 공유시간과 자아존중감이 학령후기 아동의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2011). 행복교과서. 서울: 월드김영사.
  28. 서진영 (2015). 아버지의 양육 및 놀이참여와 유아 행복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서현, 김한희, 박미자 (2014). 나눔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 교육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또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2), 1-31.
  30. 서혜림 (2015). 교사용 유아행복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도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석은조 (2005). 저널쓰기가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 자기조절 학습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송순옥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 중심의 유아 정서능력함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송지연 (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 유머감각 및 감사성향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송현미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신민하 (2011). 예술 활동에 기초한 유아 과학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신지혜, 최혜순 (2014). 유아행복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4(1), 5-28.
  37. 신지혜 (2016).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안영진, 이숙정 (2008). 유아사회교육. 서울: 양서원.
  39. 양여행 (2013). 한국과 대만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유선혜 (201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유설희 (2013). 학령후기 아동의 또래관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경민 (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43. 이명희 (2009).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적용한 또래 중재가 중도뇌성마비장애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3), 307-326.
  44. 이미애 (2004).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간의 상관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보은 (2009). 놀이를 활용한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이봉주, 유민상 (2013, 5). 아동의 삶의 질 국제 비교연구: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세이브더칠드런,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서울.
  47. 이승미 (2015). 부모-자녀 놀이 및 사교육 현황과 유아의 인식이 유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이영미 (2013). 명화감상을 통한 협동 조형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심미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은주 (2010).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이향미 (2011).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1. 이혜민 (2015).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임지윤 (2015). 유아 우정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3. 전고은 (2014). 유아의 기질과 유아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전효정, 고호경 (2015). 유아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1), 149-164.
  55. 정가영 (2014). 불행한 한국 어린이 행복지수 밑바닥. 베이비뉴스. http://ibabynews.com/News/NewsView.aspx?CategoryCode=201401101021463600669508&categorycode=0010#z에서 2015년 12월 1일 인출
  56. 정미애 (2011). 가정과 연계한 유아 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7. 정영희, 김윤미 (2011). 자연친화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275-290.
  58. 정진숙 (2016). 긍정심리동화를 활용한 유아행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정진혜 (2014). 감각 경험에 기초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현서, 전경원 (2014).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창의력 교육연구, 14(2), 75-92.
  61. 조희연 (2009). 통합적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심미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주경희 (2010).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의사소통 유형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진봉희 (2013).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차영숙 (2011). 유아들의 웃음발생과 그 양상. 어린이미디어연구, 10(1), 185-212.
  65. 차인수 (2001).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와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채정아 (2007). 웃음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유머감각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최경희 (1996). 욕구충족과 주관적 안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최내리, 조혜진 (2014).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131-153.
  69. 최민수, 정영희, 김정옥 (2012). 유치원에서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2, 281-309.
  70. 최수경, 석주영 ,박인전 (2013).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181-198.
  71. 최은지 (2015).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행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최현미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3. 최현미, 신동주 (2011). 유아 자아존중감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6), 167-187.
  74. 한국교육개발원 (2013). 21세기 글로벌 교육개혁 동향 분석 연구 (I): 행복교육을 중심으로(연구 보고 PR 2013-17).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5. 허승연 (2008).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6. 홍애순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 생활적응이 학교행복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7. 홍용희, 김혜전, 전우용 (2014). 유아들의 그림에 나타난 행복한 경험에 대한 인식. 육아지원연구, 9(4), 131-158.
  78. 홍지명 (2014).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29-50.
  79. 황미숙 (2015). 유아행복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0.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59
  81.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82.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Y: McGraw Hill.
  83. Csikszentmihalyi, M. (2005).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최인수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0).
  84. Goossens, F. A., & Van Ijzendoorn, M. H. (1990). Quality of infant's attachment to professional care givers: Relation to infant-parent attachment and day-care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61(3), 832-837. https://doi.org/10.2307/1130967
  85. Harter, S. (2003). The development of self-representation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M. R. Leary & J. P. Tangney (Eds.), Hand book of self and identity (pp. 610-641). NY: Guilford Press.
  86.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3. https://doi.org/10.2307/1129772
  87. Haltiwanger, J. (1989, April). Behavioral referents of presented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MO.
  88. Huppertz, N. (2004). Handbuch Waldkindergarten. Konzeption, Methodik, Erfahrungen. Oberried bei Freiburg: PAIS-Verlag.
  89.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09).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learning (6th ed). NY: Delmar.
  90. Kostelnik, M., Whiren, A., Soderman, A., Stein, L., & Gregory, K. (2002).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eory to practice (4th ed). NY: Delmar Publishers, adivision of Thomson Learning Inc.
  91. Leary, M. R., & Baumeister, R. F. (2000). The nature and function of self-esteem; Sociometer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6(4), 328-335.
  92.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https://doi.org/10.1037/1089-2680.9.2.111
  93. Myers. D. G. (1992). The persuit of happiness. NY: Avon Books.
  94. Noddings, N. (2008). Happiness and education, 행복과 교육(김선, 김희봉, 장정훈 옮김). 서울: 학이당(원판 2003).
  95.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3(5), 603-619.
  96.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우문식, 윤상운 옮김). 경기: 물푸레(원판 2011).
  97. Thoilliez, B. (2011). How to grow up happy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aning of happiness from children's voices. Child Indicators Research, 4(2), 323-351. https://doi.org/10.1007/s12187-011-9107-5
  98. Vaillant, G. (2010). Aging well, 행복의 조건(이덕남 옮김). 서울: 프런티어(원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