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3.039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Analysis for 3 to 5-year-olds Based on Child Welfare Act Safety Education-Based Content  

Nam, Hyunjoo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Lee, Sangehee (아동콘텐츠연구센터)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3, 2019 , pp. 39-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for 3, 4, and 5-year-olds based on the Child Welfare Act. Method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for 195 children's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the Nuri-Program. The analyzed data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s. Results: First, life safe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after looking at the contents category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results in order are as follows: "raffic safety"; "Health and hygiene management, including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diseases and drug abuse"; "Safety measures against disasters"; "Precaution and prevention of disappearance and abduction";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child abuse." Second, there were many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to chronological age (3-to 5-years old). Health and safety by subject, season, and life tools were more frequent. By type of activity, conversation and language activity, fairy tales, and plays were the most common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uggests the need to systematically plan safety education content through a program that links safety-related laws and element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in child care centers.
Keywords
nuri program; safety education; child welfare act; mathematical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교사용 누리과정 해설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구미희, 김소향 (2015).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안전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481-504.
3 국가정보화 기본법 (2018.10.16. 법률 제 15786호) 제30조 제2항
4 국가정보화 기본법 시행령 (2018. 8.28. 대통령령 제 29118호) 제30조 제2항
5 국민안전처 (2016). 생애주기별 안전교육 길잡이 지도서. 서울: 국민안전처 안전문화교육과.
6 권경숙, 박지영 (2010). 어린이집 영아 안전사고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경험 및 영아 안전교육.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4), 5-31.
7 김선옥 (2018). 영유아 보육시설의 안전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도로교통공단 (n.d.). 어린이 교통사고 분석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2015 기준 자료). http://taas.koroad.or.kr/index.jsp에서 2018년 9월 1일 인출
9 머니투데이 (2018.7). 이 폭염에... 통학버스에 방치된 4세 여아 숨져.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71808524691970&outlink=1&ref=http%3A%2F%2Fsearch.daum.net에서 2018년 9월 1일 인출
10 박미정, 서현아 (2014).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간의 차이 누리과정 해설서, 교사용지침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49-272. doi:10.14698/jkcce.2014.10.5.249   DOI
11 박영선, 신동주 (2014). 유아교육기관 유아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4(2), 347-370. doi:10.18023/kjece.2014.34.2.016
12 배지희, 권경숙, 이사임, 이미선 (2015).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실제와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35(4), 223-248. doi:18023/kjece.2015.35.4.010   DOI
13 강민정, 한선아 (2017).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에 대한 연구 -IPA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661-671. doi:10.5392/JKCA.2017.17.06.661   DOI
14 강한라 (2018). 어린이집 안전사고에 관한 보육교사의 경험.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서윤 (2013). 영유아교육시설 유형과 규모에 따른 교사의 안전교육 실태와 인식.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동주, 이상은, 김현경, 박영선 (2015). 영.유아안전관리. 서울: 정민사.
17 심창섭 (2016). 유 초등 안전교육 정책과 안전교육 활성화 방안-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 중심으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7(1), 23-37.
18 아동복지법 (2017. 10. 24. 법률 제 14925호) 제31조 제1항
19 아동복지법 시행령 (2018.4.24. 대통령령 제 28822호) 제28조 제1항
20 어린이집 안전공제회 (2018). 2018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http://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Sl.jsp?BBSGB=49&flag=Sl&BID=65462 에서 2018년 10월 1일 인출
21 오재연 (2018). 아동복지법에 근거한 안전관련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1), 237-258. doi:10.20437/KOAECE23-1-09
22 정재경, 성소영 (2011). 영아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지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2), 125-149.
23 오효선, 홍혜경 (2013).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아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41-69.
24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윤선화 (2014). 영유아 안전교육. 경기: 양서원
25 이은혜 (2014).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일주, 이현중, 정은주 (2017).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학교안전교육 7대표준안' 관련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617-638. doi:10.20437/KOAECE22-1-25
27 정경이 (2016).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현황 및 교사교육 요구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8 정주인, 권귀염 (2018). 유아 안전과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경험 탐색. 아동교육, 27(2), 219-237. doi:10.17643/KJCE.2018.27.2.12
29 조숙영 (2015).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활동의 내용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77-198. doi:10.14698/jkcce.2015.11.177
30 조숙영, 원혜경 (2015).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155-178.
31 최경아 (2018).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방해요인 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원희 (2015).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안전교육실태 및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육아정책연구소 (2014). 영아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보육기반과.
34 최윤정, 안소영, 원윤서 (2018).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안전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열린부모교육연구, 10(2), 205-228.
35 홍초롱 (2015). 영유아교육기관 안전교육실태 및 안전사고에 따른 대처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한남주 (2016).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안전교육 내용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5). 125-146.
37 한민경, 김수향 (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 식 분석: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1), 135-162.
38 함신이 (2018).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방안.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9 허기, 형근혜, 홍혜경 (2015). 아동복지법 안전교육 기준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12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