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pository Writ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 정다운;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5-455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수준 변화와 특징을 중점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설명식 쓰기 활동의 수학 수업을 14차시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설명식 쓰기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과 문제해결 설명식 쓰기 유형을 적용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을 위해 수학적 의사소통을 수학적 언어의 정확성, 과정과 결과의 논리성, 내용 전개의 구체성, 독자 지향의 전달성의 네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설명식 수업이 진행될수록 네 가지 의사소통 범주 각각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에 대한 수학적 의사소통은 크게 향상된 반면에 문제해결 과정 설명식 쓰기에 대한 의사소통의 수준은 중기에 낮아졌다가 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으로 수학적 언어를 통한 지식의 견고화, 쓰기에 근거한 논리의 정교화, 결과에 도달하는 사고 과정의 가치화, 자기 자신과 독자에게 전달하는 내용의 명료화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 및 수학적 사고의 과정에 유의미한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orycrafting Program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 이혜원;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77-694
    • /
    • 2016
  • 스토리크래프팅은 핀란드 교육에서의 창의 기법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학 수업에 스토리크래프팅의 도입 가능성 및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2015년 2학기에 총 33차시의 수업 적용 전 후에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분석을 위해 i-STATistics를 활용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은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접근 방법인 스토리텔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의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이 1학년 어린이의 수,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1st grade Children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 최창우;이중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419-4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the effects on number and operation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t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we have stud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1. We divis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rough communication and applied in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2.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applie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to the 1st grade of 40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about six months(September 1, 1999 ~ February 20, 2000). In process of applying this model, we collected all sorts of cases in the children's learning activity and investigated children's response on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terview with children and researcher's observation. We applied the model through communication in class an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1. In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children could solve the problem in themselve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2. It was impossible to find out the degree of children's comprehension in the explanatory learning. But in the learning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a great help to individualize and plan the learning because children express their ideas clearly. It has conclusion as follows. The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has effected on forming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mportantly. 1. Children have improved in the abilities through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own ideas. 2. Children have studied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not in the teacher-oriented learning bu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3. Children could find out th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mselves - correcting false concepts, reguiding concepts by errors, finding invisible errors, solving problems variously and knowing the easy method. 4. The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was a base of children's individual learning and important data of next learning plan. 5. The mathematical concepts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had a high transfer of learning. 6. Children have taken pleasure of discovery and had affirmative attitude about mathematics learning. We can make sure that number and operations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are formed by apply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However, help and control of teacher have to be with it.

  • PDF

Multi-communication layered HPL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GPU clusters

  • Kim, Young Woo;Oh, Myeong-Hoon;Park, Chan Yeol
    • ETRI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524-537
    • /
    • 2021
  • High-performance Linpack (HPL) is among the most popular benchmarks for evaluating the capabilities of computing systems and has been used as a standar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computing systems since the early 1980s. In the initial system-design stage, it is critical to estimate the capabilities of a system quickly and accurately. However, the original HPL mathematical model based on a single core and single communication layer yields varying accuracy for modern processors and accelerators comprising large numbers of cores. To reduce the performance-estimation gap between the HPL model and an actual system, we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for multi-communication layered HPL.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is evaluated by applying it to a GPU cluster and well-known systems. The results reveal performance differences of 1.1% on a single GPU. The GPU cluster and well-known large system show 5.5% and 4.1% differences on average,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riginal HPL model, the proposed multi-communication layered HPL model provides performance estimates within a few seconds and a smaller error range from the processor/accelerator level to the large system level.

2학년 쌓기나무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Building-Block Lessons for 2nd Graders)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23-239
    • /
    • 2015
  • 본 연구는 내용요소인 쌓기나무와 과정요소인 수학적 의사소통의 연계 활동을 통해 구현되는, 공간 정보를 의사소통하기 위한 교실 언어에 초점이 있다. 초등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에는 쌓기나무의 쌓인 모양을 상대방이 듣고 똑같이 쌓을 수 있도록 설명하는 활동이 있지만, 교사-학생, 학생 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의사소통 하는지,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거의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쌓기나무 수업을 관찰하고, 그 때 교사의 지도 과정상 나타나는 특징, 학생의 쌓기나무 모양 설명시 드러나는 특성, 교사와 학생간 의사소통 유형 등을 분석함으로써 쌓기 나무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양방향인 설명과 이해를 저해하는 요인을 추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의 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수학수업에 적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Digital Storytell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6th graders' Mathematics Instruction)

  • 최병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41-56
    • /
    • 2014
  • 본 연구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가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각각 10주에 걸쳐 적용한 후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사전 사후 의사소통불안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학급은 의사소통불안 요소의 소집단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일반 스토리텔링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두 학급간의 사후 의사소통불안 검사결과에서는 수학시간과 소집단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시간의 발표, 소집단에 대한 의사소통불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대학생의 NCS기초능력군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능력과 수리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NCS Basic Capability Grou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Mathematical Capability)

  • 성행남;조동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85
    • /
    • 2019
  • The importance of the NCS(National Competitiveness Standards) is growing as the job market shrinks and more institutions require hiring based on NCS. Of the ten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the performance of all tasks is basic capability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communication capability, mathematical cap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But, mathematical capability don't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Nex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 each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Also, interest in the major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Career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major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terest in the major was explained through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elf-efficac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dministrative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care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수학 교육에서 '이해'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고찰 (Meaning and Structure of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정인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1-18
    • /
    • 2003
  • One of the terms that are most often used in mathematics classrooms by either teachers or students might be about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lthough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highly emphasized by many people, there is no exact and undebatable definition of 'understanding' as of yet. This paper tries to contribute to unfolding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education along with various literature and finall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PDF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 학습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Using Internet in Pattern)

  • 류성림;박신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459-476
    • /
    • 2003
  • 본 연구는 수학 교실에서의 시·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수학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인터넷을 도입하였다. 인터넷을 활용한 수학 교육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의 형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수학적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은 학생들마다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은 다른 학생들의 표현 방법을 통해 자신의 표현 방법을 보다 논리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수학적 의사소통 참여 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패턴 학습이 수학 교실의 문제해결에 있어서 이유 및 검증의 습관화와 과제 집착력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