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marker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18초

땅콩에서 고 올레인산 형질관련 분자마커의 선발 (Development of Selectable Marker of High Oleate Trait in Peanut (Arachis hypogaea L.))

  • 양기웅;배석복;박장환;이명희;정찬식;손정희;박금룡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7-514
    • /
    • 2010
  • 땅콩의 delta 12 fatty acid desaturase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고 올레인산을 함유하는 F435를 선발할 수 있는 PCR 기초 분자표지마커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포인트 뮤테이션(point mutation)의 결과로 나타나는 고 올레인산을 SNP 마커를 이용하여 하나의 염기서열차이(아데닌 삽입)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이다. 제작한 마커가 고 올레인산 관련 특이 마커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 땅콩 9 품종과 F435를 PCR 후 아가로스 겔 상에서 확인하여 고 올레인산 특이 분자마커임을 확인하였고, 조평 ${\times}$ F435의 $F_2$ 교배조합 41 계통을 이용하여 분리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방산 분석을 하지 않고도 고 올레인산 함유 계통을 손쉽게 선발할수 있었다. 특히, 헤테로 형질을 나타내는 계통도 선발 가능하였다. 분자마커의 결과가 지방산 수준에서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NIR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를 알아보았데 고 올레인산 관련 분자표지마커가 NIR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고 올레인산 땅콩의 유전적 차이를 이용하여 분자표지마커를 개발 함으로서 고 올레인산 땅콩의 정확한 선발과 품종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세대단축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콩 불마름병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을 이용한 rxp 유전자 근접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Conferring Bacterial Leaf Pustule Resistance Gene, rxp, using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s in Soybean)

  • 양기웅;이영훈;고종민;전명기;이병원;김현태;윤홍태;정찬식;백인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2-287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콩 재배에서 심각한 병으로 대두된 콩 불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인 rxp 근접분자표지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콩 불마름병은 국내에서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세균병으로 이에 관련하여 세균병 접종을 이용한 저항성 품종과 감수성 품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확한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져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콩 불마름병에 저항성 품종 8개체와 감수성 품종 8개체를 이용하여 rxp 유전자 근접분자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콩 불마름병 저항성 유전자로 알려진 rxp 유전자는 chromosome 17의 Satt486과 Satt372 사이에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로 chromosome 17의 7.27-7.30 Mbp 사이에 있다. 연구진은 chromosome 17의 6.6-7.3 Mbp 사이에 random으로 분자표지를 제작하여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서 다형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로 콩 불마름병관련 근접분자표지 3점을 개발하였고, Rxp17-700 분자표지는 흥미로운 rxp 근접분자표지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콩 불마름병 저항성관련 근접분자표지는 앞으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노니 지표성분 6종과 발효노니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Fermented Morinda citrifolia L. (Noni) and Six Marker Compounds)

  • 최선일;한웅호;문효;이세정;김용덕;나임정;성금수;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3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발효노니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 6종을 처리하여 XTT 세포독성평가, Nitric Oxide 생성 측정, Cyokine 생성 측정, immune marker genes 발현분석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성대조군으로 LPS와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모든 처리 농도 및 처리군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지표성분 6종 중 SCP 및 ASE에서 NO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ASE 처리군에서는 IL-6 및 IL-1β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iNOS 및 TNF-α의 immune marker genes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발효노니 추출물 효능 평가에서는 발효시 NO 생성 및 IL-6, IL-1β의 생성, COX2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효노니 추출물 및 지표성분의 선천면역 활성증가를 타나내며 노니 및 발효노니 표준화 연구에서 지표성분으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발효노니는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제품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지표성분은 유용성분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 numerical method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in skin marker-based motion analysis

  • Wang, Hongsheng;Zheng, Nigel
    • Advances in biomechanics and applications
    • /
    • 제1권4호
    • /
    • pp.269-277
    • /
    • 2014
  • In skin-marker based motion analysis,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is highly dependent on a pre-selected reference point (functional center) on each segment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anatomical landmarks. However, the placement of skin markers on palpable anatomical landmarks (i.e., femoral epicondyles) has limited reproducibility. Thus, it produces large variances in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among different subjects, as well as across studies. In order improve the repeatability of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in this study an optimization method was introduced, by which the femoral functional center was numerically determined. At that point the knee anteroposterior translation during the stance phase of walking was minimized. This new method was tested on 30 healthy subjects during walking in gait lab with motion capture system. Using this new method, the impact of skin marker position (at anatomical landmarks) on the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has been minimized. In addition, the ranges of anteroposterior knee translations during stance phase were significantly (p<0.001) smaller than those measured by conventional method which relies on a pre-selected functional center ($11.1{\pm}3.5mm$ vs. $19.9{\pm}5.5mm$). The results of anteroposterior translation using this new method were very close to a previously reported knee translation (12.4 mm) from dual fluoroscopic imaging technique. Moreover, this new method increased the reproducibility of knee translation measurement by 50%.

통일형 벼에서 메소트리온계 제초제 저항성 연관 DNA marker 탐색 (Identification of DNA Markers Related to Resistance to Herbicide Containing Mesotrione in Tongil Type Rice)

  • 이지윤;조준현;이종희;조수민;권영호;박동수;송유천;고종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7-395
    • /
    • 2018
  • 다산 등 15개의 통일형 벼 품종을 이용하여 mesotrione을 처리한 후 5일부터 다산 등 13개 품종들은 신엽에서 백화현상이 발생하였으나, 밀양154호와 수원382호는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저항성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Mesotrione 처리 후 다산 등 13개 품종들의 초장 및 건물중 억제율은 밀양154호와 수원382호보다 더 높았으며 약량에 따른 억제율이 증가하였다. 한아름2호/밀양154호의 $F_2$ 집단을 이용한 유전분석 결과 저항성이 149개체, 감수성이 41개체로 이론적 분리비 3:1($X^2=1.19$, P=0.31)에 적합하여,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는 1개의 우성유전자에 지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SA방법을 이용하여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탐색한 결과, 2번 염색체의 10.2 Mb에 위치한 SSR marker RM1358과 RM3501을 선발하였다. Fine mapping을 위해 선발된 5개의 저항성 개체 중에서 $F_2-137$은 RM12921부터 RM3501까지 재조환이 일어났고, $F_2-76$은 RM324부터 RM5101까지 재조환이 일어났다. 따라서, mesotrione 저항성 관련 유전자는 RM3501과 RM324 사이인 10.2 Mb~11.4 Mb에 존재하며, RM3501과 RM324의 조환률이 각각 0.53%과 2.65%이므로, RM3501을 mesotrione저항성 유전자 DNA 연관 marker로 선발하였다. 다산 등 20개 통일형 품종 및 mesotrione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자포니카 품종인 운광과 감수성인 통일형 한아름의 $BC_2F_2$ 집단을 이용하여 RM3501의 MAS 이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mesotrione 저항성 선발 marker로 활용은 가능하나, 정확한 선발 maker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SCAR Marker for Identification of the Perilla Species

  • Lee, Myoung-Hee;Yang, Ki-Woong;Ha, Tae Joung;Jung, Chan-Sik;Pae, Suk-Bok;Hwang, Chung-Dong;Park, Chang-Hwan;Baek, In-Youl;Kim, Hyeon-Kyeong;Park, Soon-Ki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65-272
    • /
    • 2011
  • This study is to generate SCARs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Perilla species. A SCAR is a genomic DNA fragment at a single genetically defined locus that is identified by PCR amplification using a pair of 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We derived SCARs by sequencing and cloning the both ends of the amplified products of RAPD markers. Sixteen sequence-specific primers were synthesized from eight RAPD markers, which were completely sequenced. We developed the species-specific SCAR markers which could be used successfully in detecting genetic variation in four Perilla species. These markers could be used to verify species-origins of various forms of Perilla germplasms.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 길초근 주정 추출물의 지표성분 분석법 검증 (HPLC Validation of Valerian Ethanol Extract as a Functional Food)

  • 조경애;한성희;배송환;신중철;서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4-10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valere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ethanol extract of Valerinan officinalis (valerian) root as a functional health food. We established valerenic acid as a marker compound using HPLC. HPLC was used to quantify the marker compound in the valerian extract after validation of methods with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The specificity for retention time was met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lerian extract and standard compound using HPLC. The method showed high linearity of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10{\mu}g/mL$. The accuracy of measurement was 99.88~00.68%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 was 0.59%. In addition, our analytical method yielded a 29% mean content of valerenic acid in the valerian 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HPLC method facilitated the determination of marker compounds in the valerian extract for the standardiz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 Statistical Model for Marker Position in Biomechanics

  • Kim, Jinu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74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general linear model in statistics to marker position vectors used to study human joint rotational motion in biomechanics. Method: For this purpose, a linear model that represents the effect of the center of hip joint rotation and the rotation of the marker position on the response was formulated. Five male subjects performed hip joint functional motions, and the positions of nine markers attached on the thigh with respect to the pelvic coordinate system were acquired at the same time. With the nine marker positions, the center of hip joint rotation and marker positions on the thigh were estimated as parameters in the general linear model. Results: After examining the fitted model, this model did not fit the data appropriately. Conclusion: A refined model is required to take into account specific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data and other covariates such as soft tissue artefacts.

콩 P34 단백질 결핍 유전자를 이용한 SSLP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SSLP Marker Targeted to P34 Null Gene in Soybean)

  • 양기웅;고종민;이영훈;전명기;정찬식;백인열;김현태;박금룡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2-506
    • /
    • 2010
  • 콩 알레르기에 민감한 사람들은 15가지가 넘는 콩 알레르기 단백질을 인지한다. 이러한 알레르기 단백질 때문에 콩의 광범위한 사용이 제한적이다. 시스테인 프로테아제에 속하는 P34 단백질은 콩의 주된 알러젠이다. 미국 국무부에서 16,226개의 유전자원에서 P34 단백질이 결핍된 PI567476 유전자원을 찾아냈다. P34 유전자 염기서열과 P34 유전자가 결실된 염기서열을 NCBI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한 결과 P34 유전자가 결실된 염기서열에서 4 bp 가 삽입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부위에서 SSLP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광콩과 PI567476을 이용한 교배조합 $F_2$ 339개체를 개발한 분자표지마커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태광콩 유형과 heterozygous 유형 및 PI567476 유형의 분리비는 85: 187: 67로 $X^2{_{0.05}}=5.99$, df=2에서 1:2:1의 분리비로 하나의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P34 단백질 관련 분자마커가 단백질 수준에서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 할 것이다.

Novel target gen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dentified by chip-based functional genomic approaches

  • Kim Dong-Min;Min Sang-Hyun;Lee Dong-Chul;Park Mee-Hee;Lim Soo-Jin;Kim Mi-Na;Han Sang-Mi;Jang Ye-Jin;Yang Suk-Jin;Jung Hai-Yong;Byun Sang-Soon;Lee Jeong-Ju;Oh Jung-Hwa
    • 한국생물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정보시스템생물학회 2006년도 Principles and Practice of Microarray for Biomedical Researchers
    • /
    • pp.83-89
    • /
    • 2006
  • Cellular functions are carried out by a concerted action of biochemical pathways whose components have genetic interactions. Abnormalities in the activity of the genes that constitute or modulate these pathways frequently have oncogenic implications. Therefore, identifying the upstream regulatory genes for major biochemical pathways and defining their roles in carcinogenesis can have important consequences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target-oriented antitumor strategy We have analyzed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human liver cancer samples using cDNA microarray chips enriched in liver and/or stomach-expressed cDNA elements, and identified groups of genes that can tell tumors from non-tumors or normal liver, or classify tumors according to clinical parameters such as tumor grade, age, and inflammation grade. We also set up a high-throughput cell-based assay system (cell chip) that can monitor the activity of major biochemical pathways through a reporter assay. Then, we applied the cell chip platform for the analysis of the HCC-associated genes discovered from transcriptome profiling, and found a number of cancer marker genes having a potential of modulating the activity of cancer-related biochemical pathways such as E2F, TCF, p53, Stat, Smad, AP-1, c-Myc, HIF and NF-kB. Some of these marker genes were previously blown to modulate these pathways, while most of the others not. Upon a fast-track phenotype analysis, a subset of the genes showed increased colony forming abilities in soft agar and altered cell morphology or adherence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ce of purified matrix proteins. We are currently analyzing these selected marker genes in more detail for their effects o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and for Possible clinical roles in liver cancer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