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Nursing Skill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1초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ntoring Seni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 이영란;강현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41-44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전후 설계로, 간호대학생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총 6시간으로 활력징후 측정, 단순도뇨, 피하주사 3개의 핵심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의 지도하에 선배 멘토가 라포 형성 및 교육, 자율실습, 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조사로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ired t-tes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선배멘토링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간호실습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대조군을 포함하여 처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On-line-Based Education by COVID-19)

  • 차혜경;김한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59-46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C시에 소재한 N대학 간호학과 14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 test를 활용한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자기 주도 학습준비(r=.368, p<.001), 학습 동기의 하위영역인 내재적 동기(r=.232, p=.005), 외재적 동기(r=.344, p<.001), 과제 가치(r=.237, p=<.001), 학습통제신념(r=.262, p=<.001), 자기효능감(r=.4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 요인으로는, 4학년(β=0.413, p<.001),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 중 외재적 동기(β=0.307, p<.001), 자기효능감(β=0.316, p=.005)이었으며, 설명력은 35.8%였다(F=8.354,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증진을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외재적 동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이는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중심의 간호교육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Effect of Peer Tutoring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for Nursing Students)

  • 김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41-249
    • /
    • 2018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에서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의 활용이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력, 수행자신감,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C대학 간호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생 148명(실험군 75명, 대조군 73명)이 참여하였다.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만족도, 유치도뇨 및 단순도뇨의 수행력과 수행자신감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경구투약의 수행력 및 수행자신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또래교수법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급변하는 국내 간호교육 현장에서 간호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 능력을 향상시키기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실기역량강화교육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re Practical Capacity Enhancement Training on the Key Compet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신화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79-287
    • /
    • 202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을 위하여 실습위주의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과목 학습이 간호학생의 핵심역량과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2주간 1일 8시간씩 네 영역의 핵심간호수기영역 교육을 실시한 그룹과 전통적인 강의중심 교육을 받은 그룹으로 나누고 15주간 임상실습 후 설문지를 작성하여 자가 보고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 부문의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부문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핵심실기역량강화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교육에서 효과적인 실습교육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호동료 교수학습 기반의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on Confidence in Performance, Core Nursing Skills, and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는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학생 83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수술전간호, 개인위생, 수술후간호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수술전간호, 수술후간호의 숙련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실험군의 실습만족도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은 난이도 '중' 정도의 핵심간호술의 수행자신감과 숙련도에 효과가 있으며 실습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학습법을 다양한 실습교과에 확대 적용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의 난이도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핵심기본간호술 VR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Research for Development of VR Education Contents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 김정기;유혜연;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14-72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VR 기본간호술 교육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20가지 중 간이혈당검사와 인슐린피하주사 항목은 간호술 항목에서 빈번히 수행하는 기본간호술 중 하나이며, 당뇨환자들에게 자가관리 교육을 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항목이다. 본 연구는 이 항목을 가지고 학습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가이드, 미션, 피드백의 3단계로 나누어 몰입형 VR기반 핵심기본간호술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이 콘텐츠에서는 실제 간호술처럼 콘트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 관절인식을 통해 손의 움직임을 트랙킹하여 몰입하며 훈련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임상 수행 능력 향상을 도울 수 있는 VR 간호술 교육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에 대한 다면평가 연구 (A Study on Multiple Sources Evaluation for Practical Education in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송효숙;임소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ssential resources on various evalu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or-evaluation, peer-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of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Forty third-year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were given the same checklist that was used for assessment by the examiners. Then, the scores of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SPSS/WIN 18.0. Results: The scores of the student peer (178.54) and student self-evaluation(177.7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professor-evaluation (172.05),(F=5.03, p=.008).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or-evaluation and the student-peer-evaluation in skill-scores(r=.47, p=.002) and attitude-scores(r=.52, p<.001). In addition, the professor-evaluation and the self-evaluation each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kill-scores(r=.61, p<.001) and attitude-scores(r=.36, p=.023). Conclusion: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in order to expand the evaluation method, the professor evaluation, as well as the student self and the peer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arner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신규간호사 대상 핵심기본간호술기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for New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 최은영;안금희;오인옥;박애희;박민현;손재이;홍나숙;윤호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9-42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ew nurses' core skill program on the clinical skill, confide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ew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on 46 new nurses with 3 to 6 months work experience in a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5 to August 2016. A training program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was applied on 23 new nurses from 2016 in the experiment group, and an existing training method was applied on 23 new nurses from 2015 in the comparison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89{\pm}4.29$) showed higher score in practical skill assess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85.09{\pm}3.99$)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Conclusion: A training program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for new nurses proved effective in improving practical skills.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ic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clinical nursing knowledge and work ability for new nurses according to the extended enforcement of a Nursing Care Integrated Service ward is needed.

자율실습에서의 상호동료 교수법 적용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핵심기본간호술 투약간호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self-directed practice reciprocal peer tutoring: Focusing on medication nursing of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 김경화;임종미;장양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29-2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투약단원을 중심으로)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참여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 1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유발', '자기주도 학습', '성취도 향상', '학습요구 불충족'의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은 참여자들에게 편안한 환경과 자신감 향상으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주도적인 사전학습 및 학습자의 언어로 학습할 기회를 얻는 긍정적인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추가적인 지식확장이 어렵고 충분하지 않은 학습요구로 불안감을 느끼는 경험도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법을 자율실습에 적용할 때,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방안을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vergence-Based 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the Self-efficacy, Confidence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Lower-Class Nursing Students)

  • 현일선;배윤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63-171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연구이다.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80명이었다. 실험처치 및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2일부터 4월 15일까지 시행되었다. 교육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교육 후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자기효능감(p=.045), 수행자신감(p<.001) 및 전공만족도(p=.018)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어, 융복합기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이 저학년 간호학생의 자기효능감, 수행자신감 및 전공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