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fficacy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25초

회계정보시스템 교육이 학문적 자기효능감과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IS Educ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ntextual Performance)

  • 이신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44-6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정보시스템 교육과 맥락적 성과의 관계에서 학문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8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정보시스템 교육이 맥락적 성과에 정(+)의 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문적 자기효능감은 맥락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문적 자기효능감은 회계정보시스템 교육과 맥락적 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회계정보시스템 교육은 맥락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문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맥락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학문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를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표본 확대와 다양한 변수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사적/공적 자의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on Vocational Identity in Convergence er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 윤준현;손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9-3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 이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036-6043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1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 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감성지능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성지능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셀프리더십을 40.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passionate Compet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조정화;백경화;조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57-26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능력(r=.42, p<.001)과 공감역량(r=.47, p<.001)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입학동기, 전공에 대한 적응도, 실습 참여도, 공감역량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47.4%설명하였다(F=8.10,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실습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공감역량을 활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 수업의 질, 셀프리더십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nline lecture quality, Self-Leadership 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고영심;한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27-336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의 질, 셀프리더십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15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셀프리더십(β=.431, p=<.001)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하위요인인 수업환경(β=.314, p=.004)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총 37.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을 받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 함양과 온라인 수업 환경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과제가치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Task Value on Class Participation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진혜경;윤미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43-55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과제가치가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K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61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5일~10월 14일이었다. 과제가치와 수업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과제가치와 수업참여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은 수업참여도를 55% 설명하였다. 학습자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에 관한 종단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math self-efficacy, and math class engagement : Using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5년(중1)부터 2017년(중3)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 적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와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 상·하위집단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수업참여를 매개하여 수학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교사는 이와 같은 특성을 교수·학습전략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수학자기효능감 향상 및 수학수업참여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self-efficacy and English accomplishments by two types of level-based collaborative groupworks)

  • 이남숙;임병빈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211-234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ill affect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English achievement in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Experimental class A was done by similar-level groupwork, experimental class B by differential-level groupwork, and controlled class C by whole classwork.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o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lso English achievement tests were done during the experiment. The analy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English achievement tests were lik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ere more effective on improving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whole classwork. Second,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ere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wo levels' (higher and medium) academic self-efficacy. Third, among three types of classworks, differential-level groupwork was the most effective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achievement. Fourth, in case of medium-level learners, differential-level groupwork was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heir English achievement than similar-level groupwork.

  • PDF

무상급식 수혜 대상인 빈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비빈곤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verty and Comparative Groups)

  • 박시혜자;송승민;이유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7-416
    • /
    • 2011
  • The study examined and compared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poverty and the comparativ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benefited from the free meal project and 97 students as the comparative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benefit.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in the poverty group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ology. Also, self-esteem of children in the poverty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s in terms of leadership and popularity. The poverty group also showed lower self-efficacy in self-regulated efficacy task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different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predi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poverty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s.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 한미라;류정림;김신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9-5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Data from 139 nurse students were surveyed in this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They were collected from Oct 1 to 30, 2020,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mediated model for PROCESS macro using the SPSS/WIN 24.0. Results: Self-directed learn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determination (r=.56, p<.001) and academic self-efficacy (r=.63, p<.001). Furthermore, academic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B=0.21, 95% CI=0.12~0.32). Conclusion: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was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future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