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에 대한 교육적 고찰 (A Study on the Frames of Statistical Graph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탁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57-173
    • /
    • 2020
  • 일상에서는 통계 그래프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지만,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는 교수학적 맥락에 의해 그 틀이 매우 정형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는 통계 그래프 틀의 교육적인 의의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호주, 그리고 MiC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 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통계 그래프의 틀은 (1) 그래프의 구성 요소에 주목하게 하고, (2) 그래프를 그릴 때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3) 학습 내용을 통계적 문제해결에 적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는 (1)과 (2)에 주목한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MiC 교과서는 (3)에 주목한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제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저학년 수준에서는 표 형태의 그래프 틀을 이용하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축 형태의 그래프 틀로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했던 호주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제시된 분배법칙 지도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with Respect to Distributive Principles)

  • 김미환;이수은;김수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451-467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및 익힘책에 분배법칙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차후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배법칙 지도가 철저한 중국과 일본 교과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 분석을 위한 다섯 가지 준거를 마련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교과서와 익힘책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배법칙을 효율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분배법칙을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명문화하고,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명시적으로 다루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약속'의 내용과 서술 방식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Statements of Definition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7th and the Revised 2007 Curricula)

  • 백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61-278
    • /
    • 2011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는 학습한 내용을 수학 기호와 용어로 나타내기 위하여 '약속'이 제시되어 있다. 본 논문은 제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약속'의 내용과 서술 방식을 비교 분석하여 교수 학습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수 세기 이론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교과서 고찰 -외국 교과서와의 비교를 바탕으로- (A Study on Elementary Textbooks In Terms of Theories on Counting - In Comparison with Foreign Textbooks)

  • 홍갑주;강정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375-396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와 지도서를 '수 세기 이론'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수 세기가 초등학교 수학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과서와 지도서, 이어서 미국, 싱가포르, 중국 교과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들 교과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수 세기 이론의 관점을 전반적으로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연산의 중요한 기초로서 수 세기를 명시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이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지도서는 수 세기 이론을 몇 차례 소개하지만 내용이 제한적이고 이론의 전후 맥락이 선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수 세기 이론의 초등학교 교과서 반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의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Teaching Perpendicularity and Parallelit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김정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1-506
    • /
    • 2019
  • 수학의 기본 개념인 수직과 평행은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이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비하여 축소되어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의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에서 수직과 평행 개념의 지도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4학년 2학기 4. 사각형 단원에서 다루어지는 수직과 평행 수업을 재구성하여 실행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로 변화할 때 단원명 및 차시 구성의 차이가 있었으며, 한국과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는 수직과 평행의 개념 정의 및 활동 내용에서 차이를 드러냈다. 수업의 계획 및 실행에서는 수직과 평행 개념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선 및 평행선 긋는 방법을 탐색하며, 실생활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수학에서 수직과 평행을 의미 있게 지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권미선;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내용을 단위, 단위 사이의 관계, 표준 단위의 필요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와 관련하여 제5차 수학 교과서부터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까지 교과서에 제시된 단위의 표현, 단위의 표기, 단위의 종류, 단위의 기본량의 제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국제단위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물의 무게를 통해 1kg을 정의하는 방식이 국제단위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교과서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위 사이의 관계를 글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는 발문과 그림을 통해 그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단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임의 단위의 불편함을 통해 표준 단위의 보편성, 편리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나 발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단위 제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 초등학교 5,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s between Korea and Canada - Focusing on the Numbers and Operations in 5th and 6th Grade -)

  • 김애경;류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3호
    • /
    • pp.331-344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수학 교과서 중 수와 연산 영역을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한국 초등학교 수학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캐나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수학 교과서의 교과서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고,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학년별 도입 시기 및 초등학교 5, 6학년 수와 연산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한 수학적 개념과 연산을 사칙연산의 종류나 수학 영역에 구애받지 않고,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도입하여 통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실제 사진과 수학, 과학, 기술, 공학, 예술 등의 소재를 사용한 문항 구성 및 읽을 거리로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실제 교구 및 수학 모델의 사용을 통한 충분한 수학 원리 학습, 공학 도구를 사용하여 문제해결 전략에 초점을 맞춘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분수와 소수 학습에 대한 학습 지도 시기나 학습 내용 구성 및 전개 방법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5, 6 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ed on the 5, 6th Grade -)

  • 김은미;임문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80
    • /
    • 2007
  • 한국과 일본은 인접국가로서 역사적으로 관계가 깊고, 문화나 교육적 환경이 비슷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과서를 비교하는 데 있다. 먼저, 남한과 북한, 한국과 인도, 연변의 수학교과서를 비교한 것과 한국과 일본(분수, 평면도형)의 비교연구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비교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을 토대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단원명과 단원체계를 비교하였다. 이어서 양국 5, 6학년 교과서의 영역별 세부내용을 비교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나눗셈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Divis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김연;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38
    • /
    • 2005
  • 수학 교육에서 연산은 여전히 수학 학습의 가장 기본이다. 교과서가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수학적 지식을 변환시켜 놓은 지식의 전달 매체라고 할 때 기초 연산중 하나인 나눗셈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교수학적 원리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1차 교과서와 2차 교과서는 교수학적으로 덜 구조화되어 있으며, 3차 교과서는 새수학의 영향으로 논리적 전개를 바탕으로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차 교과서는 나눗셈의 개념적 지식을 독립적으로 다루기 시작하며 5차 교과서와 6차 교과서는 과정을 제시하는 도식의 사용으로 변화하였다. 7차 교과서는 내용 체계가 단계별로 구조화되었고 학생들이 지식을 구성하는 기회의 제공을 많이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유의미한 학습을 위해 이러한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교실 현장과 교과서의 제작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 PDF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 분석 (An Analysis on Types and Strategies of Estimation in Measurement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8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취급하는 어림재기 유형 및 전략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차후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관련 내용을 일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길이, 들이, 무게, 각도의 어림재기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시간과 넓이의 어림재기도 취급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서 어림재기 전략을 다양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다. 지도서에서는 어림재기 전략으로 참조대상 사용하기 전략, 덩어리로 나누기 전략, 단위로 나누기 전략의 세 가지를 예시하고 있지만, 교과서에서는 그렇지 않다. 셋째, '어림하다'의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에서 '어림하다'가 어림재기의 맥락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넷째, 교육과정에서 시간, 넓이, 부피의 어림재기의 취급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