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의 정서 지능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의 성별 차이 및 관계 분석 (Kindergart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Giftedness)

  • 장영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85-10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영재성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영재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5세 유아 2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아의 정서지능은 남아의 정서지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났다. 둘째, 유아의 영재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영재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영재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IQ뿐 아니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변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의 자기정서의 이용은 유아의 영재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이는 유아의 영재성은 유아가 높은 성취를 위해서 스스로를 동기화하고 인내심을 가지며 노력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한 유아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오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rror Sources and Reliability Estima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Using Generalizability Theory)

  • 김경철;최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65-571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정서지능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오차 분석을 통해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하는 도구의 적절성을 검증하고 유아 대상의 검사도구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도구 관련 정보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5세 14학급 198명의 담임교사 14명과 어머니가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한 자료이다. 이병래[14]의 유아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활용하여 평가자, 평가문항, 평가대상 유아, 검사도구 그리고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분산추정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아의 정서지능 개인차가 평가결과에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위요인중 '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조절능력' 등은 단일국면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아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교사뿐 아니라 부모도 평가자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일부 하위 요인의 경우에는 오차변인의 비율이 크게 나와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도구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앞으로 정서지능 평가도구의 제작 및 활용시 적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을 것이다.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신미리;박정옥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97-11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지능과 정서 지능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능의 수준과 성별에 따라 정서 지능이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일반 아동 교육 및 효과적인 영재 교육과정의 개발과 구성을 위한 이해의 바탕을 시사받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 6세 유아 104명을 대상으로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및 지능 수준과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능을 상$.$$.$하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정서 지능 총점과 감정이 입, 정서 조절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 지능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 지능 총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각 하위 요인별로는 감정이입, 정서조절에서 여아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경우 지능과 정서 지능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능과 정서 지능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 김은경;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 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자녀의 정서지능 (The Effects of Maternal Acceptance Attitudes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s on Peer's Interactions)

  • 안효진;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12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와 자녀의 정서지능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5세 유아를 둔 부모 145명과 유아의 담임선생님이 본 연구에 참여를 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지는 SPSS 17을 사용하여, F 검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선 유아의 정서 지능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정서 수용태도는 여아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을 할 때 만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긍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유아의 성과 유아의 정서 지능이었으며, 자녀의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유아의 연령과 유아의 정서 지능이었다.

아버지의 사회.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Fathers)

  • 김경훈;김형재;이은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2
    • /
    • 2013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세 104명과 6세 160명, 총 264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학력, 소득수준, 직업을 조사하였고, 담임교사에 의해 그들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이 측정되었다. 자료 처리는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대한 사회 경제적 지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행복감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을 예측하는데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즉 학력, 소득수준, 직업이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소집단 소조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mall Group Plastic Artistic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arly Young Children)

  • 김영주;최임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37
    • /
    • 2007
  • 본 연구는 소집단 소조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검사로 이병래(1997)의 정서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집단 소조활동을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유치원의 조형활동을 주 2회 8주간 총 15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제 6차 교육과정의 조형활동을 같은 기간에 실시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소집단 소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소집단 소조 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 요인 중 자기정서 인식능력, 자기정서 조절능력, 자기 동기화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소집단 소조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 인식능력과 대인관계 기술능력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소집단소조활동을 실시하여 유아로 하여금 소집단내에서 의사소통과 협동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개인적으로나 혹은 큰 집단으로 조형활동을 하는 것보다 정서지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 지능 간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Theory of Mi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안효진;김상림;이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79-202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지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38명 씩, 총 76명을 대상으로 내용교체과제, 위치이동과제, 그리고 틀린 믿음과 제로 마음이론을 측정하였으며, 그들의 교사들에게 이들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SPSS 18을 사용하여,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성차, 마음이론, 정서 지능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라 마음이론 전체점수와 위치이동과제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능력의 전체점수와 협조성, 참여성, 순응성, 지도성에서 차이가 났고, 정서지능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차이가 났다. 또한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사회적 능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나, 참여성과 순응성에서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정서지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타인조절 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가장 영향력을 미쳤다.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and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on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 김갑순;박윤조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7-1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의 보육교사 237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해 도구의 신뢰도 및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전체 정서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과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예방전략I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반응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ther's Personal Variable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s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by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0
    • /
    • 2015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유아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위한 아버지의 변인을 탐색하여 적절한 부모교육 및 부모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3-5세 유아 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 측정 도구와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교사용 관찰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ANOVA 검증과 Scheff$\acute{e}$의 사후분석, 적률상관분석,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봉과 학력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하위변인과 전체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반면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와 하위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아버지의 학력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전체와 독특성, 그리고 상상유희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정서 인식은 창의적 인성 전체와 독특성과 다양한 관심, 그리고 상상유희성에, 타인정서인식은 다양한 관심과 상상유희성에, 타인정서조절은 독특성과 창의적 인성 전체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증진시키는 의미 있는 방법임을 시사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