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005

The Influence of Father's Personal Variable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s Creative Personality Perceived by Teacher  

Chung, Da Wn (수성대학교 아동미술보육과)
Kim, Jung Hee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1, no.2, 2015 , pp. 5-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 program to educate parents properly. To do so,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ersonal variables and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arches for what variable s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alanced growth of a child among a father's personal variables.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200 children of 3~5 years old enrolled in kindergarten or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mostly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s. The research applied two tools by measuring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and observing test paper for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ANOVA test, Scheff$\acute{e}$ s post-hoc test,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subordinate variables of a child's creative personality, significance difference was discernable partly with the father's salary and education leve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with the father's age. Especially,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father's education level is apparent on the entir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variables, uniqueness and imaginative amusement. Influence Emotional self-awareness shows on entire creative personality variables, uniqueness, diverse interest and imaginative amusement. Emotional awareness in others influences on diverse interest, imaginative amusement. Others emotional control influences positively on entire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re significant method to improve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in the education field.
Keywords
father;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e person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승희 (2007).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성향, 정서지능 및 기질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169-197.
2 강인향 (2009). 어머니 특성변인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민균, 문혁준, 권희경, 성미영, 신유림, 안선희, 안효진, 이경옥, 천희영, 한유미, 한유진, 황혜신 (2012). 개정 아동발달. 서울: 창지사.
4 김경훈, 김형재, 이은림 (2013).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5-32.
5 김기영 (2008). 창의력 문제해결의 힘. 서울: 위즈덤하우스.
6 김상림, 한준아, 권연희 (2013). 보육과정. 제3차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양서원.
7 김은하 (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나순례 (2004). 능력특성 정서지능 수준에 따른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의 차이.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미연 (2003). 환경변인, 창의적 인성, 창의적 사고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원순 (2000). 유아의 창의적 성향에 대한 부모와 교사평가의 타당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육아정책연구소 (2012). 영유아 보육 .교육비용 추정 및 대응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2 윤현석 (1997). 감성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교현 (2012). 부모의 양육태도와 완벽주의 관계: 자존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군현 (1997). EQ IQ 창의력. 서울: 여성사.
15 이병래 (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승희 (2012). 초등학생의 모애착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장미선 (2005).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정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 변인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차춘희 (2003). 유치원의 교육기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3), 319-346.
20 통계청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결과. 서울 : 통계청.
21 Lee, K.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choolers. International Education Journal, 6(2), 194-199.
22 홍미경 (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12-27.
23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창의성의 즐거움(노혜숙 옮김). 서울: 교문사(원판2003).
24 EBS 파더쇼크 제작팀 (2013). 파더쇼크. 서울: 쌤앤파커스.
25 Mayer, J. D., & Salovey, P. (1993).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17(4), 433 - 442.   DOI   ScienceOn
2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Y: McGraw-Hill.
27 Rimm, S. (1983).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er. Watertown, WI: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Inc.
28 Salovey, P., & Mayer, J. D.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Y: Basic Books.
29 Shaffer, D. R. (2002). Development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6th ed.). Thomson Learning, INC.
30 Tafarodi, R. W., Wild, N., & Ho, C. (2010). Parental authority, nurturance, and two-dimensional self-esteem.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51(4), 294-303.   DOI
31 Wilson, K. R., & Prior, M. R. (2011). Father involvement and child well-being.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7(7), 405-407.   DOI   ScienceOn
32 이정은 (2008). 정서지능과 창의적인성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