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each subordinate factor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level of intelligence and gender. The subjects consisted of 104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the Kangnam area. These children were given two tests, Multimensional Cognitive Abilities Tests for Children(MCAT-C) and Emotional Intelligence Test(E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ntelligence(IQ)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e were som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IQ) and regulation of emotion(the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regulation of emotion(the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gender. Girls received relatively higher scores than boys i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regulation of emotion(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지능과 정서 지능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능의 수준과 성별에 따라 정서 지능이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봄으로써 일반 아동 교육 및 효과적인 영재 교육과정의 개발과 구성을 위한 이해의 바탕을 시사받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 6세 유아 104명을 대상으로 지능과 정서 지능의 관계 및 지능 수준과 성별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지능과 정서 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능을 상$.$$.$하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정서 지능 총점과 감정이 입, 정서 조절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정서 지능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 지능 총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각 하위 요인별로는 감정이입, 정서조절에서 여아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경우 지능과 정서 지능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능과 정서 지능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자, EQ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및 EQ와 IQ의 상관성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7
  2. 곽윤정, 정서 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 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7
  3. 김정진, 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0
  4. 문용린, 종합적성 . 진로진단검사, 서울 : 대교출판부, 1997
  5. 종합적성 . 진로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 대교출판부, 1997
  6. 정서지능 연구의 현재와 미래, 1998년도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 1998, 11월
  7. 박정옥, 나의 지능, 서울 : 상조사, 1995
  8. 송인섭 . 문정화 . 박정옥, 종합인지능력검사, 서울 : 학지사, 1995
  9. 종합인지능력검사 검사 요강 및 실시요강, 서울 : 학지사, 1995
  10. 심미경, 아동의 정서인식 능력의 발달 및 인지능력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86
  11. 오숙영, 인지지능과 감성지능의 교육적 효과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996
  12. 오영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7
  13. 윤현석, 감성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97
  14. 윤혜정, 아동의 정서이해 발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5
  15. 이군현 . 박정옥 . 김언주, 과학영재의 감성지능에 관한 연구, 한국영재학회, 1997
  16. 이시자, 유아의 지적 발달에 잇어 IQ와 EQ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96
  17. 이정림, 아동의 타인 정서추론 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87
  18. 지영해, 지능 . 학업성적 . 대학수학능력시험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7
  19. 최정윤, 정서와 정서표현에 대한 아동의 이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3
  20. 황정규, 인간의 지능, 서울 : 민음사, 1984
  21. Block, J., On the Relation Between IQ, Impulsivity and Delinquenc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1995
  22. Gardner, H.,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ark : Basic Books, 1983
  23. Multiple intelligence :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 Basic Books, 1993
  24. Guilford, J. P., The Analysis of Intelligence, N.Y : Mc Graw - Hill, 1971
  25. Six factors of Behavioral cognition : Understanding other people,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12(4), 1975
  26. Hom, J. L., & Cattell, R. B., Refinement and test of the theory of fluid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7, 1966
  27. Mayer, J. D., &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990
  28.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nstruction and regulation of feelings,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4, 1995
  29.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1996
  30. Emotional intelligence, paper presented at the Sejong Culture Center, Seoul, Korea, 1996. November
  31. Palfai, T. P., & Salovey, P., The influence of depressed and elated mood on deductive and indeductive reasonmg,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13, 1993
  32.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 Another way to be smart? paper presented at the Sejong Culture Center, Seoul, Korea, 1996, November
  33. Salovey, P., &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elf-regulation of affect, In D. M. Wegner & J. W. Pennebaker(eds.), Handbook of mental control, NJ : Prentice Hall, 1993
  34.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paper presented at the Sejong Culture Center, Seoul, Korea, 1996, November
  35. Salovey, P., & Sluyter, D. J.,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 educational implications, 1997
  36. Salzman, S. A.,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asoning aomng Intellectually Talented and Intellectually Typical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March, 27-31, 1989, ERIC: ED 307315
  37. Sayler, M. F., & Brookshire, W. K., Social, Emotional and Behavior Adjustment of Accelerated Students, Students in Gifted classes, and Regular Students in Eighth grade, Gifted Child Quarterly, 37(4), 1993
  38. Shoda, Mischel & Peake,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 Identifying diagnostic condi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6, 1990
  39. Sternberg, R. J., Beyond IQ :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40. Intelligence applied : Understanding and increasing your intellectual skill, NY : HBJ Publisher, 1986
  41. Thurstone, L. L., Primary mental abilities, Psychometric Monographs, 1,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