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Fathers

아버지의 사회.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

  • 김경훈 (동주대학교 특수아동과) ;
  • 김형재 (동주대학교 특수아동과) ;
  • 이은림 (동주대학교 특수아동과)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ir fathers. The subjects were 264 young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Busan,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MANOVA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according to education, income level or career of their fathers.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education, income level and career of their fat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ppiness according to education, income level and career of their fathers. Therefore, their father's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re the best variables in order to predict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세 104명과 6세 160명, 총 264명 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학력, 소득수준, 직업을 조사하였고, 담임교사에 의해 그들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이 측정되었다. 자료 처리는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의 차이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대한 사회 경제적 지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행복감은 아버지의 학력, 소득수준 및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을 예측하는데 아버지의 사회 경제적 지위, 즉 학력, 소득수준, 직업이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주, 김영주(2006). 부모의 영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차이.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4), 113-133.
  2.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1(2), 163-186.
  3. 강민수(2001).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국승희(2001).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모델 개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길경숙(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47-164.
  6. 김경희(1999).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계연, 유강재(2009). OECD 국가 행복지수 산정결과로 본 우리나라의 행복 수준. 보건.복지 7, 1-8.
  8.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9.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10. 김성범(2011). 가족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연미(2007).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청구학위논문.
  12. 김의철, 박영신(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13.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1999).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1-14.
  14. 노명희, 박상희(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 107-127.
  15. 박영선(2006).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내부-외부 통제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안현지(1999).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오채영(2010). 가족기능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병래(1998).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연숙, 이순형, 유가효, 조재순(1991). 기혼 취업여성이 지각하는 가정, 직업생활 갈등 및 부적응 증상과 생활만족. 가정관리학회지, 9(2), 209-224.
  20. 이윤옥(2004). 5-6세 유아의 가정환경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육, 31(1), 231-251.
  21. 이정화(2005).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장미선, 문혁준(2006).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1-21.
  23. 전신현(1996).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5, 63-82.
  24. 정미숙(2005). 유아의 정서 지능과 가정환경 변인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정현정, 문혁준(201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21-42.
  26. 추미란(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배경변인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한정현, 심미경(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아버지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생애학회지, 1(1), 19-31.
  28. Andrew, F. W.,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n'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29. Boncher, M. K.(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York.
  30.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ing in America. New York: McGraw-Hill.
  31. Clemente, F., & Sauer, W. J. (1976). Life satisfaction in the United States. Social Forces, 54, 621-632. https://doi.org/10.1093/sf/54.3.621
  32.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3. Diener, E., Sandvik, E., Pavot, W., & Fujita, F. (1992). Extrover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U.S. national probability samp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6, 205-215. https://doi.org/10.1016/0092-6566(92)90039-7
  34. Diener, E. & Suh, E.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 189-216. https://doi.org/10.1023/A:1006859511756
  35.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USA: Bantom Books.
  36. Hafstrom, Jeanne L. & Dunsing, Marlilyn M., (1973). Level of living: Factors influencing the homemaker's satisfaction,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2), 119-132.
  37. Hayes, M. P. & Stinnet, N. (1971).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ome Economics, 33(9), 669-674.
  38. Kurdek, L. A. (1991). The relations between reported well-being and divorce history, availability of a proximate adult, and gend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Febrary), 71-78. https://doi.org/10.2307/353134
  39. Layard, R. (2005).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London: Allen Lane.
  40. Matras, J. (1975). Social Inequality, Stratification and Mobilit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41.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p. 3-31). New York: Basic Books.
  42. Olszewski-Kubilius, P., Kulieke, M. J., Willis, G. B., & Krasney, N. (1985). The family as educator questionnaire. Evanston, IL: Center for Talent Development, Northwestern University.
  43. Reker, D. L. (2003).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or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security and their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Trent. Canada.
  44. Rosenberg, M., Schooler, C., Schoenbach, C., & Rosenberg, F. (1995). Global self-esteem and specific self-esteem: Different concepts, different outcom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141-156. https://doi.org/10.2307/2096350
  45. Seligman, M. (2006). 긍정심리학: 진정한 행복 만들기. (김인자 옮김). 서울: 물푸레. (원본발간일 2002년).
  46.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47. Salovey, P., Dedell, B. T., Detweiler, J. B., & Mayer, J. D. (2000). Current directions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earch. In M. Lewis & J. M. Haviland-Jones(eds.), Handbook of emotions. New York: Guilford Press.
  48. Turner, J. H., (1984). Social Stratification: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49. Veenhoven, R. (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F. Strack, M. Argyle, & N. Schwarz(Eds.),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 7-26).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