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and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on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Kim, Gab So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 Han University) ;
  • Park, Yoon Joe (Dept. of Young Child Care, Education & Welfare, Yeo Ju University)
  • Received : 2018.10.30
  • Accepted : 2018.12.09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and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7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and Gyoungi Province in South Korea. Three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As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of teacher had the relationship with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Second, conscious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 had the relationship with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of early childhood. Conclusion/Implication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as teachers had the high level of ability in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ir emotion preciously, so the elements triggering the situation of problem were identified and captured, and the ability of use of preventive strategies in advance increased. Second, The findings showed that as teachers had the high level of ability in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ir emotion preciously, so the elements triggering the situation of problem were identified and captured, and the ability of use of preventive strategies in advance increased.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의 보육교사 237명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해 도구의 신뢰도 및 변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전문성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 정서활용, 전체 정서지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유아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타인정서인식과 정서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유아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예방전략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예방전략II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 반응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반응전략에는 직업윤리와 사회경제적 지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 사회경제적 지위, 직업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조형숙(2011).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부모-교사 평가 간의 차이 비교. 유아교육연구, 12(2), 171-193.
  2. 구자영(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와 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470-477. https://doi.org/10.5762/KAIS.2017.18.6.470
  3. 권정윤, 윤주희, 김소희(2012).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아문제행동지도에 대한 어려움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16(2), 265-288.
  4. 권혜진(2018). 교사의 정서지능과 문제해결능력이 영유아 문제행동지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숙, 엄정애(2016).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문제행동 관리능력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7(1), 51-71.
  6. 김수연(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연하(2007). 유아 문제행동지도전략 척도-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5), 73-89.
  8. 김혜린(1993). 유치원교사들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은숙, 부성숙(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3(4), 113-135.
  10. 변길희, 김나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효능감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0(4), 21-34.
  11. 송나리, 권정윤(2013). 유아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243-270.
  12. 심숙영(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효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아동교육, 26(3), 187-206.
  13. 안영미(2016). 영아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 발달 수준이 영아문제행동에 대한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연보라(2014).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영아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연주, 이정수, 모아라(2013). 교사의 정서표현, 자기효능감과 유아의 문제행동 대처전략. 아동과권리, 17(3), 349-367.
  16. 이승미(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18.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19. 임영미, 정희정(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77-105.
  20.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21. 조은주(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주현정, 신혜원(2018).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한국보육학회지, 18(2), 1-15.
  23. 차어진, 권연희(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수산해양교육연구, 25(1), 53-64.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1.053
  24. 한석실, 강성숙(2007).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2), 43-54.
  25. 허수윤, 서현아(2016). 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 수준에 따른 교사역할수행과 교사 효능감 경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6(3), 6-22.
  26.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40.x-i1
  27. Campbell, S. B. (2007). 유아의 문제행동(민성혜 역). 서울:시그마프레스(원서 2002 출판).
  28. Lindsay, P., & Lindsay, C. H. (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valued.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6(2), 91-105. https://doi.org/10.1007/BF01083974
  29. Nungesser, N. R., & Watkins, R. V. (2005).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reactions to challenging classroom behavior.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6(2), 139-151. https://doi.org/10.1044/0161-1461(2005/013)
  3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31. Stormont. M., Lewis. T. J,, & Beckner. R. (2005).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s: Applying key features in preschool sett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7(6), 42-49.
  32. Stormont. M., Lewis. T. J., & Smith. S. C. (2005).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Teachers' importance and feasibility ratings.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7(3), 131-139. https://doi.org/10.1177/10983007050070030201
  33.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