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school girl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1초

부모의 성취압력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on the youth group's stress)

  • 조혜미;김성실;임혜경;한성현;송미라;손부순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1호
    • /
    • pp.67-7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necessarily basic data of the ideal growth of the students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student's stress due to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The sample of this study are In students consisting of 51 boys and 49 girls in the 3rd grade classes of "J" middle school located in Siheung city, Kyungki-do. The observed material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level of stress. Based on the observed data, the frequency, correlation, and t-test have been ga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is shown more by the boy's achievement pressure($44.2{\pm}9.9$) than the girl's achievement pressure($39.939{\pm}11.089$), among the high level students. 2.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is shown more the high($43.0{\pm}10.7$) and middle($42.9{\pm}11.8$) level students than the low($39.7{\pm}8.00$) level students. 3. The stress of male students was high in the Solving Problem stress factor with by the mean of $15.1{\pm}3.7$, and the stress of female students was high in the Self-Control stress factor with the mean of $13.3{\pm}3.9$. 4. The stress of high, middle, low level student was high in the Solution of Matter stress factor with the mean of $14.2{\pm}3.9$. 5. The results were the main cause of the stress than th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수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MG-CPS)을 일반학생의 수학 학습에 적용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ally Gif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n Mathematics Learnings for Ordinary students)

  • 김수경;김은진;권혁진;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51-375
    • /
    • 2012
  •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the changes of students'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hen we apply to general students MG-CPS model which is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for gifted students. MG-CPS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Kim and Lee(2008) is a problem solving model with 7-steps. For this study, we selected 7 first grade students from girl's high school in Seoul. They consisted of three high level students, two middle level students, and two low level students and then we applied MG-CPS model to these 7 students for 5 weeks. From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most students's describing ability in problem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improved. Also we observed that high level students had improvements in overall problem solving ability, middle level students in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and guideline planning ability, and that low level students had improvements in the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high and middle level classes but in low level class students showed some progress in all 6 factor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knew that the cause of such positive changes comes from the effects of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nd presenting step of MG-CPS model.

도시 및 농촌 여고생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이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n Nutrient Intake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 박은숙;이유숙;주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7-176
    • /
    • 1996
  • 대도시 지역으로 서울과 부산에 사는 여고생 164명중 소도시 지역으로 전주시와 익산시 여고생 289명, 농촌지역으로 전북 삼례읍과 김제군 여고생 252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식, 식습관, 영양소 섭취 상태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고생들의 영양지식에 대한 인지도는 대도시 80.1%, 중소도시 83.9%, 농촌 76.0%이며, 정확도는 대도시 62.0%, 중소도시 64.2%, 농촌 56.3%로 영양지식의 정확도와 인지도가 p=0.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양지식 점수의 분포는 총 30점 만점 중 16-20점 사이가 대도시 53.1%, 중소도시 51.9%, 농촌 57.1%로 가장 많았다. 영양지식 점수는 30점 만점중 대도시 여고생 14.90점, 중소도시 16.16점, 농촌 12.84점, 식습관 점수는 26점 만점 중 대도시 12.5점, 중소도시 11.8, 농촌 10.3점으로 p=0.01수준에서 지역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영양지식과 식습관의 상관관계는 중소도시 여고생의 경우 p=0.01수준에서 유의적이며, 대도시 여고생의 경우는 p=0.05수준에서 유의적 이었고, 상관계수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각각 0.063, 0.168, 0.012로 낮게 나타났다. 식 습관 점수가 good군에 속하는 대 상자는 도시지역 여고생의 수가 더 많았으며, 영양지식 점수는 도시 여고생에 비하여 농촌 여고생의 영양지 식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식습관 점수가 fair군에 속하는 대상자의 영양지식 점수는 도시거주 대상자의 영양지식 점수가 농촌 대상자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농촌거주 대상자의 식습관이 도시 거주 대상자의 식습관에 비하여 양호하지 못하며, 영양지식 점수 역시 대도시 중소도시에 비하여 농촌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1일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 섭취량은 대도시 1813.4 kcal, 중 소도시 1787.6kcal, 농촌 1832.6 kcal로 권장량의 86.4%, 85.1%, 87.3%를 섭취하였으며, 단백질 섭취량은 대도시 75.4g, 중소도시 71.2g, 농촌 65.5g, 지방의 섭취량은 대도시 46.7g, 중소도시 43.3g, 농촌39.1g이었고,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대도시 278.6g, 중소도시 283.9g, 농촌309.8g이었다. 단백질, 인, 비타민 A 비타민 C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 모두 권장량보다 많이 섭취하고 있으며, 나이아신은 대도시 지역 여고생만 권장량보다 더 섭취하였고, 에너지, 비타민 B$_1$, 비타민 B$_2$는 연구대상자 모두 권장량보다 미달되게 섭취하였으며, 특히 칼슘과 철분의 섭취량은 권장량보다 많이 미달되었다. 단백질, 지방은 대도시 여고생이 농촌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며, 나이아신은 대도시 여고생이 중소도시 및 농촌 지역 여고생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대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관계가 있고,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의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그러나 중소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의 상관관계가 높으나, 식습관이 영양소 섭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의 상관관계가 낮으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의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영양교육은 지역적인 특수성과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 PDF

스크래치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 효과 (The Effect of a Programming Class Using Scratch)

  • 조성환;송정범;김성식;백성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75-384
    • /
    • 2008
  • 프로그래밍 교육이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함양시켜주는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프로그래밍 교육은 기본 문법과 구조를 이해하고 프로그램 사용법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노력을 요구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프로그래밍 학습을 기피하거나 포기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우기 쉽고, 직관적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스크래치'를 이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게임제작 프로그래밍 수업을 12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수방법에 있어서 메타인지 사고를 활성화하기위해 '자기질문' 방식을 가미한 시범-실습 수업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크래치를 이용한 게임제작 프로그래밍 수업은 메타인지에 있어 남녀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에 있어서는 여학생 집단에 긍정적 영향을 주지 못했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77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 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 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의 개념변화에 따른 개발요인 설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Factor Establishing According to SBCD's Conceptual Change)

  • 이재철;최화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83-1991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중심교육과정개발(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이하 SBCD)의 개념변화에 따라 개발상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문헌분석과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고찰하였다. 전 세계적인 추세와 국내외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현재 SBCD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비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개발요인들을 폭넓게 조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SBCD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수용정도에 따라 폭넓게 구분될 수 있다. 둘째, SBCD에 대한 국가와 단위학교의 이해가 상이했다. 셋째, 개발요인은 3가지 영역(인적 내용 환경영역)의 9가지 요인(직 간접 기타 참여요인, 정규 방과후 특별 교육과정, 지원체계, 교육환경, 분위기)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효과적인 SBCD를 시도하려는 이해당사자들을 위해 SBCD의 개념변화에 따른 개발요인들을 다각적으로 고찰한 본 논문은 향후 지속적인 SBCD의 갱신과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체육수업 설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기대요구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Expectance Demand on The Design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 이정흔;오병돈;조민행;유영설;이명선;조병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5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expectance demand towards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ethords : 392 participants randomly selected from one girls' middle school and one girl's high school in each of five tracts and then selected two classes from each of the schools.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simple questionnaire about their views on the present physical education teaching. Results : Results showed that about one third of the participants would not choose physical education if the program were offered as an optional subjec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anked psychomotor domain as the top priority among the various learning objectives. Male students favored soccer and basketball while their counterparts liked badminton and volleyball. Over three-fourths of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tudents' opinions should be considered when teachers plan their program.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hould be designed with considerations for professional values, societal changes as well as students' expectance on the design of physical education.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김남은;채정현;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3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의 분석 및 부산지역 여자 중학교 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교육 요구도를 바탕으로 안전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주제선정기준에 의해 7가지 통합 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별로 주제망을 구성하여 가정과 '안전'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는 1954년에 제정된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표기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교육 요구가 가장 높게 나온 내용요소는 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과 대처방법이고 자살예방 및 대처방법, 집단따돌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게 나온 항목이 정리정돈이고 42개 모든 항목에서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식생활안전, 청소년의 성과 안전,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안전, 가족생활과 안전, 주생활과 안전, 청소년의 자아와 안전, 사회 환경과 안전의 7가지 통합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에 따라서 3~6개씩 총 28개의 소주제(35차시 분)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교실현장에서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교수 학습 과정안 총 28편(35차시분량),과 다양한 학습자료 (PPT 28개, 동영상자료 25편, 읽기자료 4편, 학습지 61개, 활동지 14개, 평가지 16개, 테스트지 3개, 참고자료 2개, 학습자료 모형 4개(냉장고 모형, 토론신호등, 식판모형과 음식스티커, 푸드마일리지 카드)로 총 157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7개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이 있기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의생활과 안전, 갈등과 안전, 직업생활과 안전, 소비생활과 안전 주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함께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행동 및 태도변화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서울시 고등학생의 안전교육 실태 및 요구도 조사 (Needs Accessment of Safety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민아;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33-162
    • /
    • 2001
  • Unexpected accidents in school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every year, and student's mistaken was the first reason of the accident. To preventing the students from Unexpected accidents in school, safety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strong facilities to have much more strong protecting forces for the accidents.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of safety is needed most of all, and especially, strengthening safety education in school is needed. Hereby,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actual condition and demand of safety education. It also conducted a survey with the target of 1,255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Seoul from April 20 to May 19,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n the general features of the subject of the survey,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occupied 50.8% and 49.2% each, and boys' high school (34.3%), girls' high school(32.2%) and co-ed(33.5%) participated in balance. In the location, north from Han river occupied 54.6%, south were 45.2%. 2. According to the status of experiencing an accident, boys were more experienced then girls(p〈0.05). From the section, home accident(56.8%) occupied most followed by school accident, traffic accident, sports accident and poisoning. The accident happening most often in detailed category is sports accident such as basket ball, foot ball and dodge ball.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ubject's using a school health facility shows that boys students use it more often than girl students(p〈0.01) 3. In attitude toward safety, the subject showed lower interest in safety issues than other social issues. But attitude in seriality of safety problems were high. Also, they responded ‘individual citizen’(63.1%) as the one who should make efforts for safety. Regarding knowledg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in attitude toward individual safety, 42.2% answered ‘they know a little’ and 32.6% of respondents say ‘they do not know’. To a question of the degree of the subject's following safety rules, 36.4% were answered ‘keeping’ and the group using a school health facility shows more ‘keeping’ the others(p〈0.05). 4. To a question of asking if they have experienced safety education, 51.2% answered ‘yes’. Teachers who mainly take care of safety education are answered as training teacher(48.7%). As for education time, training class(51.3%) is said to have safety education most followed by health-related event and PE(Physical Education). Frequency of education shows once or twice a session (62.8%) most often, but in case of co-ed school, 5-7times a session or more(20.1%) are being practiced. Looking at education time, 1-2 hour(s)(22.1%) or for a short time(22.1%) during class are being practiced. As an education method, instruction(43.8%) and video education(32.5%) are being practiced, and when it comes to education evaluation method, ‘not practiced’(70.0%) answered. To the question if they are satisfied with school safety education, they answered more ‘no(43.1%)’ than ‘yes(6.7%)’, and the reason is that safety education class is just for formality's sake, and the fact they already know is being repeat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s composed of school safety, home safety, and first aid. 5. It is turned out that 56.5% of the total boy students and 61.1% of the total girl students recognize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To the question if safety education is needed in an elementary and middle education course, 46.4% of the subject answer answered' it's necessary'. The most reason for their answers are ‘safety edu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life’. 6. Regarding the requested time of safety education is ‘one hour a week’ by 55.9%. For safety education, safety education teachers(38.7%) are answered to be the most proper. As a request for safety education, video education is answ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30.6%), followed by practical skills, lecture and discussion(p〈0.05). Demand of educational evaluation, practical skills, interview and observation are answered to be needed. To the question if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he way of demanded safety education, 41.9% of respondents answer ‘have a mind to participate in’ (41.9%). To benefits followed by completing safety education, 72.0% of respondents answer ‘agree’, and 24.7% ‘do not agree’, which means lout 4 disagrees with completing safety education. 7. Looking at demand of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subject, ‘our position for the person who has handicapped’ was answer to the most.

  • PDF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장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Students'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by Provided Quantitative Demonstration and Qualitative Demonstration)

  • 김지나;최혁준;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21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를 하였을 때, 중학교 학생들의 갈등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297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문항은 역학의 작용반작용 문항과 전기의 전구의 불의 밝기를 비교하는 문항을 사용하였고, 인지적 갈등을 측정하는 검사지는 권혁구(1999)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먼저, 정량적 현상제시 집단과 정성적 현상제시 집단의 인지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현상제시 후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과 고수한 학생들의 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 정도와 갈등 정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선개념에서 오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성적 현상제시보다 정량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선개념에서 정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량적 현상제시보다 정성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이 고수한 학생들에 비해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정도와 갈등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정량적 현상을 제시한 집단의 학생들 중 선개념에서 오답을 택한 학생들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선개념에서 정답을 택한 학생들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정성적 집단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