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ents'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by Provided Quantitative Demonstration and Qualitative Demonstration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장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 Published : 2002.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iddle school students'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for the students provided quantitative demonstration and qualitative demonstration after the pre-test. 297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one school in Pusan. Action-reaction problem of mechanics and electric bulbs in parallel problem of electricity were used in the demonstration and the pre-test. Students' cognitive conflict level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developed items by Kwon(1999) et al. We compared cognitive conflict levels between quantitative demonstration group and qualitative demonstration group. In addition to, we compared cognitive conflict levels between students who changed their preconceptions and the students who adhered to their preconceptions.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faith with preconceptions and cognitive conflict levels. The study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students who selected incorrect choice in pre-test showed the higher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in quantitative demonstration group than qualitative demonstration group and students who selected correct choice in pre-test showed higher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in qualitative demonstration group than quantitative demonstration group. Second, students who changed their preconceptions were higher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than students who adhered their preconceptions. Third, students who selected incorrect choice in pre-tes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faith with preconceptions and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and students who selected incorrect choice in pre-tes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faith with preconceptions and levels of cognitive confli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를 하였을 때, 중학교 학생들의 갈등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학교 2학년 297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문항은 역학의 작용반작용 문항과 전기의 전구의 불의 밝기를 비교하는 문항을 사용하였고, 인지적 갈등을 측정하는 검사지는 권혁구(1999) 등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먼저, 정량적 현상제시 집단과 정성적 현상제시 집단의 인지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현상제시 후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과 고수한 학생들의 갈등 점수를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 정도와 갈등 정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선개념에서 오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성적 현상제시보다 정량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선개념에서 정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정량적 현상제시보다 정성적 현상제시에서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선개념을 바꾼 학생들이 고수한 학생들에 비해 갈등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개념의 확신정도와 갈등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정량적 현상을 제시한 집단의 학생들 중 선개념에서 오답을 택한 학생들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선개념에서 정답을 택한 학생들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정성적 집단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난주, 권재술(1998).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학습 절차 모형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61-272
  2. 권재술(1989). 과학개념형성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 1-9
  3. 권혁구(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고등학생의 인지갈등 측정 도구 개발. 한국교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72-486
  5. 김정환(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중학생의 인지갈등 측정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지나(1997).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 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지나, 이경호, 권재술(2000).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 개념 변화 유형. 새물리, 40(2), 84-93
  8. 김지나, 이영직, 권재술(2000).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 개개인의 물리 개념 변화 과정 경로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77-87
  9. 박상석(1999). 과학학습에서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초등학생의 인지갈등 측정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영직(1998). 인지갈등에 의한 고등학생의 물리개념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https://doi.org/10.1002/sce.3730740506
  12. Rowell, J. A., Dawson, C. J., & Lyndon, H.(1990). Changing misconceptions: A challenge to science educ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2), 167-175 https://doi.org/10.1080/09500699001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