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mathedu.2012.51.4.351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Mathematically Gifted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n Mathematics Learnings for Ordinary students  

Kim, Su Kyung (Korea University)
Kim, Eun Jin (Korea University)
Kwean, Hyuk Jin (Korea University)
Han, HyeSook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 v.51, no.4, 2012 , pp. 351-37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the changes of students'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hen we apply to general students MG-CPS model which is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for gifted students. MG-CPS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Kim and Lee(2008) is a problem solving model with 7-steps. For this study, we selected 7 first grade students from girl's high school in Seoul. They consisted of three high level students, two middle level students, and two low level students and then we applied MG-CPS model to these 7 students for 5 weeks. From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most students's describing ability in problem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were improved. Also we observed that high level students had improvements in overall problem solving ability, middle level students in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and guideline planning ability, and that low level students had improvements in the problem understanding ability.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high and middle level classes but in low level class students showed some progress in all 6 factor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knew that the cause of such positive changes comes from the effects of information collection step and presenting step of MG-CPS model.
Keywords
MG-CPS; problem solving skills; affective variabl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상원(2004). 문제설정 수업모형이 문제해결력과 수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3(3), 233-255.
2 이종희. 김기연(2008). 창의적 생산력의 하위 요소 탐색 및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델 개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0(4), 583-601.
3 이종희. 김기연(2010). 수학영재의 창의적 산출물 평가 준거 개발 및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2(3), 301-322.
4 이종희. 김수진(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2(2), 219-237.
5 이종희. 김선희. 김수진. 김기연. 김부미. 윤수철. 김윤민(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50(2), 247-261.
6 이혁재 .임문규(2004). 문제중심보완수업이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 <초등수학교육>, 8(2), 115-128.
7 전평국. 이진희(2002). 수학적 의사소통불안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협동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 논문집>, 13, 495-514.
8 정계섭 역, Hadamard, J. S. (1990). 수학분야에서의 발명의 심리학, 서울 : 범양사출판부.
9 정성건. 박만구(2010).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
10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11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 문음사.
12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New York: Academic Press, Inc.
13 Schroeder, T. L & Lester, F. K. (1989). Developing understanding in mathematics via problem solving. In P. R. Trafton (Ed). New direction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p. 31-56). Reston, VA: NCTM.
14 김경옥.류성림(2009).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1(4), 665-683.
15 권병일. 권준구(2010). 풍산자 고1수학, 서울 : (주)지학사.
16 권오남. 김정효(1997).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초, 중등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초등교육연구, 11, .213-237.
17 구자관(2012). 신통 수리논술1권, 서울 : (주)더텍스트. 김경옥. 류성림(2009).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1(4), 665-683.
18 김부윤. 이영숙(2003). 우리나라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2(2), 137-157.
19 김영남(2002). 구체적 조작물을 이용한 도형 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해결력,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적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 논문집>, 13, 193-214.
20 김응환. 최성은(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21 남승인.류성림(2002). 문제해결 학습의 원리와 방법, 서울: 형설출판사.
22 류희찬 외 5명 공역,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3 박혜진. 권혁진(2010).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05-224.
24 박정(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6(1), 19-31.
25 성상현. 라승균(2007). well-made 통합 수리 논술 구술 10-가,나, 경기도 : 법문사.
26 양은경. 황우형(2005). 수학 학습유형과 문제 해결 전략.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지 A <수학교육>, 44(4), 565-586.
27 우정호 역, Polya, G. (1997).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 천재교육. (원저는 1957년 출판).
28 이강섭. 황동주. 홍지창. 이상원(2002). 뇌 기능 분화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 논문집>, 13, 701-715.
29 이동준. 전재현(2011). 미래로 고1 전국연합기출문제집, 서울 : (주)이룸이앤비.
30 이상원. 방승진(2004). 문제설정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중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 논문집>, 18(2), 16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