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dactical transposi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교수공학 친화적, 실용적, 교수학적 변환의 실제적 연구(10-나 삼각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A Practical Study on Didactical Transposition in the Highschool Trigonometric Function for Closer Use of Manipulative, and for More Real, Principle Based)

  • 이영하;신정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1호
    • /
    • pp.111-129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학문적인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변형하는 일, 즉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didactical transposition)에 관한 것으로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편된 13종의 10-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함수 단원의 내용 배열순서 및 설명방식을 분석하고 그 결과, 교수법적 어려움과 서술의 논리성 및 학생의 이해를 함께 고려할 때, 나타나는 교수학적 변환의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를 위한 대안적 교수학적 변환의 방법이나 실제적인 어려움 해소 방안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해 13종의 수학교과서 10-나 단계 삼각함수 단원의 설명방식의 차이를 위주로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최근의 교수법 이론과 암묵적으로 비교하여 새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데 개연적이나마 도움이 되리라고 예상되는 대안적 내용서술 지도방안(부채꼴, 삼각함수의 그래프, 성질, 주기, 사인법칙에 대한 내용을 위주로)을 제안하였다.

  • PDF

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Didactical Contemplation on the Development Figure)

  • 정영우;김부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85-301
    • /
    • 2014
  •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되는 전개도는 교육과정에서 목적적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한정된 개념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전개도의 정의도 하나가 아니다. 그리고 다루어지고 있는 소재들 사이의 정의 요소에 대한 비교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전개도는 다양한 교수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단편적인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과정 밖 교육소재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교육적 학문적 매체의 전개도 정의를 고찰하여 전개도 정의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전개도의 정의와 지도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교수학적 고찰 과정에서 대두된 세 가지 논점을 통하여 전개도의 본질적이해와 목적성 그리고 전개도의 교수학적 활용방안에 대해 생각해 본다.

  • PDF

컴퓨터 환경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가능성 (Possibility of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in Computer-based Environment for Mathematics)

  • 이종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475-484
    • /
    • 1998
  • In this paper, we give descriptions that the choices made in the Knowledge modelling or representation in Computer Evironments can modify the meaning of this knowledge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the didactical transpostion. Thus, they are likely to have effects on learning. These problems and phenomena are consequences of general constraints of computer and an algorithms built-in computers. Students may not learn the knowledge intended by teacher. Teacher is always on the alert for the changable mathematical knowledge in computer-based environments. It is an important role of teachers in new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 PDF

교수학적 변환에서의 배경화와 반성에 관한 이해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on and Contextualization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2호
    • /
    • pp.259-275
    • /
    • 2019
  • The researches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almost for 35 years in Korea. Those studies have been quite usually interested in the extreme phenomena such as Topaze Effect, Meta-Cognitive Shift, etc. However, the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and roles of contextualization and decontextualization in the theory of didactic transposition is needed theoreticall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lso practically in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e efficient instruction on the class, the proper and plentiful role and application of the contextualiz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teacher as well as the learner respectively. By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role of reflec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ntextualization.

초등 수학에서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 익히기 및 연산 사이의 연결 분석 (An Analysis of Mastering Concept and Connection with Operations in Natural Number and F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노은환;정상태;김민정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3-588
    • /
    • 2015
  • 초등학교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교수학적 변환이 불가피하다. 수학에서는 덧셈과 곱셈은 이항연산, 뺄셈과 나눗셈은 단항연산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초등에서는 사칙연산 모두를 이항연산으로 취급하는 교수학적 변환을 시도한다. 그런데 사칙연산의 개념을 '익힌다는 것'은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는가가 더 중요하게 부각된다는 점에서 개념을 이해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을 개념 익히기(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있는지와 연산 선택의 문제)와 연산 사이의 연결이라는 두 가지 관점으로 분석하여, 자연수와 분수의 사칙연산 지도와 관련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수의 나눗셈에서는 상황을 바탕으로 연산을 선택하지 않고 곧장 분수의 곱셈과의 연결을 시도했다는 것과 분수의 나눗셈을 그 자체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5학년 2학기와 6학년 1학기에 걸쳐 제시되어 있는 분수의 나눗셈을 통합해야 한다는 것 등이 그것들이다. 이는 후속 교과서 개발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4학년 수학에서의 '무늬 만들기' 내용의 분석과 비판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Designing Patterns' in 4th Grade Mathematics)

  • 박교식;박문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27-842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무늬 만들기'의 교수학적 변환과 각색의 실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무늬 만들기에서의 그 무늬는 일반적으로 벽지무늬가 아니다 그것을 만드는 방식도 벽지무늬를 만드는 방식과 같지 않다. 벽지무늬 만들기가 아니라는 점에서 보면, 새로운 무늬 만들기의 맥락은 '투명 스티커 붙이기'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특정을 전제로 해서 단위조각의 모양, 새로운 무늬 만들기의 방법, 단위조각 이어 붙이기의 규칙에 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단위조각의 모양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 아니면 안된다. 주어진 단위조각을 사용하여 새로운 무늬를 만들 때, 만드는 방식의 규칙성만 제시할 수 있으면 실제로는 어떤 규칙이라도 무방하다. 주어진 단위조각으로 만드는 새로운 무늬와 벽지무늬 사이의 관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그 둘이 서로 무관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무늬 만들기가 '잘못된 초등화(Freudenthal, 1973)'의 한 모습일 수도 있다.

  • PDF

특성화고교에서의 효과적인 수학교육 방안 (An Effective Method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 이승화;김동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569-585
    • /
    • 2015
  • Many mathematics teachers in characterization high schools have been troubled to teach students because most of the students have weak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they are also lack of preliminary mathematical knowledges. Currently many of mathematics teachers in such schools teach students using worksheets owing to the situation that proper textbooks for the students are not available. In this study, we referred to Chevallard's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based on Brousseau's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for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Our lessons utilizing worksheets necessarily entail encouragement of students' self-directed activities, active interactions, and checking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of the goal for each class. Through this study, we recognized that the elaborate worksheets considering students' level, follow-up auxiliary materials that help students learn new mathematical notions through simple repetition if necessary, continuous interactions in class, and students' mathematical activities in realistic situations were all very important factors for effective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문제해결' 관점에서의 GSP활용 (A Study on the GSP in the Viewpoint of Problem Solving)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1호
    • /
    • pp.111-125
    • /
    • 2002
  • In this study, we studied some examples using GSP(Geometer's SketchPad)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at is explained by G. polya. After reconsidering examples, we tried to show that using GSP can help student's intuitive thinking, investigative activities, reflective thinking. Especially, in the three phase of problem solving(understanding the problem, devising a plan, looking back), mathematics teachers may using GSP in order to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Besides, we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to use GSP more adequately in the teaching and Beaming mathematics. First of all, Mathematics teachers using GSP in their class must have ideas how to use it. And they have to be careful on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computer-based learning. They also have to lead students move from activities with GSP materials to carrying out the problem solving plan and reflection activities.

  • PDF

표본표준편차의 교수학적 분석 (A Didactic Analysis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 이경화;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45-459
    • /
    • 2005
  • 제 7차 교육과정의 '수학 I '과 '확률과 통계'에서는 표본표준편차가 수학적으로 각기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학교 수학에서 표본표준편차를 정의하는 문제는 표본 표준편차가 갖는 통계적 의미의 분석과 더불어 학교 수학 내에서 모평균의 추정과 관련하여 표본표준편차가 갖는 수학적, 교수학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함께 필요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가르칠 지식으로서 표본표준편차와 관련된 몇 가지 이슈를 모평균의 추정과 관련하여 실제 교수 상황과 교육과정의 전개방식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학문적 지식으로서 표본표준편차의 특성을 일반통계학 교재들을 분석함으로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본과 미국, 영국 교과서에서 택한 표본 표준편차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을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우리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Focused on 1~2 Grades)

  • 장혜원;김동원;이환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759-783
    • /
    • 2013
  • 학문적 수학으로부터 학교수학으로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은 중요한 과제이며, 특히 수학과에 새로 도입된 학년군제를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학년군제는 교육과정 운영상의 유연성뿐만 아니라 수학과 교과 내용의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학년군에 따른 성취기준은 학년제일 때에 비해 다소 통합적인 선정이 불가피하였고, 따라서 통합적으로 진술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이 빠지지 않고 교과서에 담겨져 교육과정의 의도대로 구현되었는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파악을 위해 1~2학년군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른 교과서 분석, 교과서 소단원별 학습목표에 따른 성취기준과의 연계 분석, 용어와 기호와 관련한 교과서 분석, 수학적 과정과 관련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교수학적 논의로부터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