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개도에 관한 교수학적 고찰

Didactical Contemplation on the Development Figure

  • 투고 : 2014.05.07
  • 심사 : 2014.06.16
  • 발행 : 2014.06.30

초록

초등학교에서 처음 도입되는 전개도는 교육과정에서 목적적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어 한정된 개념이미지가 형성되고 있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전개도의 정의도 하나가 아니다. 그리고 다루어지고 있는 소재들 사이의 정의 요소에 대한 비교 분석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전개도는 다양한 교수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단편적인 활용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과정 밖 교육소재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러한 교육적 학문적 매체의 전개도 정의를 고찰하여 전개도 정의를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전개도의 정의와 지도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교수학적 고찰 과정에서 대두된 세 가지 논점을 통하여 전개도의 본질적이해와 목적성 그리고 전개도의 교수학적 활용방안에 대해 생각해 본다.

Because a development figure is treated restrictively in elementary school, not only there are brought out the concept image, but also the definition of the development figure in textbook in not unique. Furthermore, sinc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finition element' between the materials in textbook are nor carried out, its educational value as well as the teaching for concepts and objectives does not give rise to public discussion. In this note, we will investigate the definition and teaching of the development figure in Korea and Japan. And through three viewpoints of its definition and related debate, we will conside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objectiveness of a development figure, and suggest its mathematical application. This study will promote teachers's critical and didactical insight for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