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858/eamj.2019.022

Understanding of the Reflection and Contextualization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Hwang, Hye Jeang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researches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almost for 35 years in Korea. Those studies have been quite usually interested in the extreme phenomena such as Topaze Effect, Meta-Cognitive Shift, etc. However, the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and roles of contextualization and decontextualization in the theory of didactic transposition is needed theoreticall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also practically in school mathematics.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managing the efficient instruction on the class, the proper and plentiful role and application of the contextualiz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teacher as well as the learner respectively. By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role of reflec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ntextualization.
Keywords
didactical transposition; Reflection; contextualization; decontextualiz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완 (1991).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 30(3), 71-89.
2 김성경 (2014). 수학수업의 질과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 요소의 관련성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연식, 박영배 (1996). 數學敎授.學習의 構成主義的展開에 關한 硏究.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6(1), 91-110.
4 박지용 (2002). 수학 수업에서 교사에 의한 교수학적 변환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지현 (2012). 교사의 수학적 언어에 반영되는 교수 양식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진영 (2011).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한 점에서 함수의 연속.불연속, 연속함수 정의의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경화 (1996).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6(1), 203-213.
8 이경화 (2016). 교수학적 변환 연구의 동향과 과제. 수학교육학연구, 26(2), 173-188.
9 이경화, 이은정, 박미미, 송창근 (2017).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학연구, 27(3), 469-489.
10 이흔정(2009). 교사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5-166.
11 우정호 (2013).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우정호, 홍진곤 (1999). 반영적 추상화와 조작적 수학 학습-지도. 수학교육학연구, 9(2), 383-404.
13 조성민 (200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 고등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조성민 (2009).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15 정영옥 (1994). Piaget 이론의 수학교육적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4(1), 193-206.
16 정유경 (2014). 한국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 지식의 분석틀 탐색.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황혜정 (2010)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18 황혜정 (2011).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23-142.
19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6).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20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2018). 수학교육학신론2. 서울: 문음사.
21 Skemp, R. 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황우형 역(2000). 수학 학습 심리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22 Brousseau, G. (1997). Theory of the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Balacheff, N., Cooper, M., Sutherland, R., & Warfield, V. (Trans.).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Gudmundsdottir, S. (1988). Knowledge use among experienced teachers: Four case studies of high school teaching.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24 Kilpatrik, Jeremy (1987). George Polya's Influ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magazine, 60(5), 299-300.   DOI
25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Y : Basic Books.
26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