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CD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낮은 지터를 갖는 지연고정루프를 이용한 클럭 발생기 (A Clock Generator with Jitter Suppressed Delay Locked Loop)

  • 남정훈;최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9권7호
    • /
    • pp.17-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낮은 지터를 갖는 지연고정루프를 이용하여 좀 더 정확한 출력을 갖는 클럭 발생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클럭 발생기에 사용된 지연고정루프는 열 개의 지연단을 가진 전압제어지연단(VCDL)을 사용하며, 기준 지연단의 출력신호와 이전 지연단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위상차에 해당하는 만큼의 전압을 발생시켜 지연단의 제어전압으로 인가된다. 이 제어전압은 지연단의 출력신호의 위상이 흔들림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출력신호의 지연정도를 조절하여 위상변화를 보상하며, 지연고정루프 출력신호 및 체배 된 출력신호의 지터를 감소시킨다. 제안된 클럭 발생기는 1.8V $0.18{\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100MHz를 입력신호로 인가 할 경우 1GHz의 신호가 출력 되도록 설계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출력 신호의 peak-to-peak 지터 값은 3.24ps이었다.

A Reset-Free Anti-Harmonic Programmable MDLL-Based Frequency Multiplier

  • Park, Geontae;Kim, Hyungtak;Kim, Jongsu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3권5호
    • /
    • pp.459-464
    • /
    • 2013
  • A reset-free anti-harmonic programmable multiplying delay-locked loop (MDLL) that provides flexible integer clock multiplication for high performance clocking applications is presented. The proposed MDLL removes harmonic locking problems by utilizing a simple harmonic lock detector and control logic, which allows this MDLL to change the input clock frequency and multiplication factor during operation without the use of start-up circuitry and external reset. A programmable 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VCDL) is utilized to achieve a wide operating frequency range from 80 MHz to 1.2 GHz with a multiplication factor of 4, 5, 8, 10, 16 and 20. This MDLL achieves a measured peak-to-peak jitter of 20 ps at 1.2 GHz.

군지연 시간 정합 CMOS 마이크로파 주파수 체배기 (Group Delay Time Matched CMOS Microwave Frequency Doubler)

  • 송경주;김승균;최흥재;정용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771-77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변형된 시간 지연 기법을 이용한 마이크로파 2차 주파수 체배기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주파수 체배기에서는 입력 신호와 지연된 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군지연 시간 부정합을 전압 제어 지연 선로(VCDL)를 이용하여 보상하였다. 가변 슈미트 트리거를 이용한 군지연 시간 정합과 신호 파형의 성형(waveform shaping)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기본 주파수($f_0$)와 3, 4차 고조파 성분들이 충분히 제거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출력 단자에서는 오직 2 체배된 주파수 성분($2f_0$)만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제안된 주파수 체배기는 1.15 GHz의 기본 주파수에서 설계되었고 TSMC 0.18 $\mu m$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입력 신호 전력을 0 dBm 인가하였을 때, 2차 체배된 출력 주파수 성분의 측정된 전력은 2.57 dBm이었다. 2차 체배된 주파수 성분에 대해 $f_0,\;3f_0$, 그리고 $4f_0$ 성분의 제거율은 각각 43.65, 38.65, 그리고 35.59 dB이다.

A 0.12GHz-1.4GHz DLL-based Clock Generator with a Multiplied 4-phase Clock Using a 0.18um CMOS Process

  • Chi, Hyung-Joon;Lee, Jae-Seung;Sim, Jae-Yoon;Park, Hong-June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64-269
    • /
    • 2006
  • A $0.12GHz{\sim}1.4GHz$ DLL-based clock generator with the capability of multiplied four phase clock generation was designed using a 0.18um CMOS process. An adaptive bandwidth DLL with a regulated supply delay line was used for a multiphase clock generation and a low jitter. An extra phase detector (PD) in a reference DLL solves the problem of the initial VCDL delay and achieves a fast lock time. Twice multiplied four phase clocks were generated at the outputs of four edge combiners, where the timing alignment was achieved using a coarse lock signal and the 10 multiphase clocks with T/8 time difference. Those four clocks were combined one more time using a static XOR circuit. Therefore the four times multiplication was achieved. With a 1.8V supply, the rms jitter of 2.1ps and the peak-to-peak jitter of 14.4ps were measured at 1.25GHz output. The operating range is $0.12GHz{\sim}1.4GHz$. It consumes 57mW and occupies 450*325um2 of die area.

가변 클록 발생을 위한 DLL 주파수 합성기 (A DLL-Based Frequency Synthesizer for Generation of Various Clocks)

  • 이지현;송윤귀;최영식;최혁환;류지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153-115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DLL(delay locked loop)에서의 프로그램 가능한 새로운 주파수 합성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해서 PLL(phase locked loop)이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locking 시간이 빠른 DLL 역시 주파수 합성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DLL의 경우 주파수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따로 주파수를 체배하는 블록이 필요하다. 기존의 DLL에서 사용된 주파수 체배기는 주파수를 체배하는 배수가 한번 정해지면 바꿀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체배기는 입력주파수에 대해서 6배에서 10배까지 선형적으로 주파수를 체배할 수 있다. 제안된 DLL의 동작 주파수 범위는 600MHz에서 1GHz까지 이다. $0.35-\mu\textrm{m}$ CMOS 공정을 이용해 HSPICE simulation 하여 동작을 검증하였다.

지연 고정 루프 기반의 지터 억제 클록 발생기 (A Jitter Suppressed DLL-Based Clock Generator)

  • 최영식;고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261-1266
    • /
    • 2017
  • 지연 시간 전압 분산 변환기 (DVVC) 및 평균 회로 (AC)가 있는 지터 억제 지연 고정 루프 (DLL) 기반 클록 발생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클록 발생기는 지연고정루프에서 무작위로 발생하는 지터와 회로의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지터를 억제하도록 하였다. 지연 시간 전압 분산 변환기는 각 지연단의 지연 차이를 감지하고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평균회로는 두개의 연속되는 지연 시간 전압 분산 변환기의 출력 전압을 평균화 한다. 지연 시간 전압 분산 변환기 및 평균 회로는 연속적인 지연단의 지연 시간을 평균화하고 모든 지연단의 지연 시간을 동일하게 만든다. 또한 루프필터 출력 전압의 변동을 줄이기 위해 부궤환 기능으로 효과적인 작동을 하는 스위치가 있는 커패시터가 도입되었다. One-poly six-metal $0.18{\mu}m$ CMOS 공정으로 제작 된 DLL 기반 클록 발생기의 측정 결과는 13.4 ps rms 지터특성을 보여준다.

130 nm CMOS 공정을 이용한 UWB High-Band용 저전력 디지털 펄스 발생기 (Digital Low-Power High-Band UWB Pulse Generator in 130 nm CMOS Process)

  • 정창욱;유현진;어윤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784-79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UWB의 6~10 GHz 주파수 대역을 위한 디지털 방식의 CMOS UWB 펄스 발생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펄스 발생기는 매우 적은 전력 소모와 간단한 구조로 설계 및 구현되었다. 이 펄스 발생기는 가변되는 shunt capacitor 방식으로 구성된 CMOS delay line을 사용하여 중심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게 하였고, Gaussian Pulse Shaping 회로를 이용하여 FCC 등에서 제시하는 UWB 스펙트럼 규정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측정결과, 가변 가능한 중심 주파수는 4.5~7.5 GHz까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였고, 펄스의 폭은 대략 1.5 ns였다. 그리고 10 MHz의 PRF 조건에서 310 mV pp의 크기의 펄스 신호를 보여주었다. 회로는 0.13 um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고, 코어의 크기는 $182{\times}65um^2$로 매우 작은 크기로 설계되었으며, 평균 소모 전력은 1.5 V 전원을 사용하는 출력 buffer에서 11.4 mW를 소모하고, 이를 제외한 코어에서는 0.26 mW의 매우 작은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2세대 AiPi+ 용 DLL 기반 저전력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설계 (A Design of DLL-based Low-Power CDR for 2nd-Generation AiPi+ Application)

  • 박준성;박형구;김성근;부영건;이강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8권4호
    • /
    • pp.39-5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패널 내부 인터페이스의 하나인 2세대 AiPi+의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Clock & Data Recovery)를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속도는 기존 AiPi+ 보다 빠른 1.25 Gbps 로 향상되었으며 다중 위상 클록을 생성하기 위하여 Delay-Locked Loop(DLL)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 내부 인터페이스의 저전력, 작은 면적의 이슈를 만족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를 설계하였다.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Harmonic-lock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파수 검출기 구조를 제안하여 기존 주파수 검출기(Frequency Detector)의 복잡도, 전류 소모, 그리고 외부 인가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전압 제어 지연 라인(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에서 상승/하강 시간 차이에 따른 에지의 사라짐 현상을 막기 위해서 펄스 폭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펄스 폭 오류 보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제안하는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는 CMOS 0.18 ${\mu}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면적은 $660\;{\mu}m\;{\times}\;250\;{\mu}m$이고, 공급 전압은 1.8 V이다. Peak-to-Peak 지터는 15 ps, 입력 버퍼, 이퀄라이저, 병렬화기를 제외한 클록-데이터 복원 회로의 소모 전력은 5.94 mW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