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3초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 설계 - 방법 및 효과 - (A Design of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for the Struggling Readers: Methods and Effects)

  • 김수연;강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7-180
    • /
    • 2012
  • 이 연구는 생각과 경험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읽기 체험 활동을 통해 읽기부진아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설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교수설계의 ADDIE모형에 따라 그림책을 활용하여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Kolb의 나선형 체험학습 단계를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의 장면에 적용하였다. 체험의 과정을 통하여 정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심의 증대 ${\rightarrow}$ 구체화 ${\rightarrow}$ 명료화의 흐름을 제공하였다. 둘째, 읽기부진아를 위한 체험형 독서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대상자의 사전사후 검증 결과,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되었고, 하위요인별로 학업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읽기부진아를 위한 사회적 환경과 독서 환경 즉, 적절한 독서프로그램이 도서관에서 제공되고 이를 제도화시켜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 읽기부진아의 독서태도를 신장시켜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독서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반고 고등학생의 행복감 구조모형: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 박선향;박정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5-40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happiness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The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happiness integration and the literature review.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231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five general high schools in D city and K Province. The exogenous variables were optimism as personality factors, parenting attitude, academic stress and friend's support as happiness.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self-esteem and resilience as mediating variables, and happiness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14 to March 28, 2019. The AMOS 22.0 and SPSS programs were u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models. Results: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self-esteem and resili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happiness by these variables was 98.1%.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 and double mediation effect of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 As student's optimistic personality,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friend's support improve student's self-esteem and resilience, ultimately positively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factors and try to develop a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Walking Exercise on Physiological index, Physical Fitness, Self 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손조욱;이지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physiological index, physical fitn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ged over 70. Sample and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or eight weeks from the 2nd of July to the 27th of August 200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walking exercise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have walking exercise. The intensity of the walking exercise allowed 50-65% of the maximum heartbeat.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higher flexibility, left grip strength, sense of equilibrium,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lower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alking exercise has the effect of decreasing diastolic blood pressure together with improvement in flexibility, left grip strength, sense of equilibrium,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aged over 70. According to the results presented above, walking exercise can be strongly recommended for improving the health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PDF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 최주영;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87-9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습무동기 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 3학년 14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 값을 활용하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실시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상으로 6회기 운영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무동기의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무동기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했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제시하였다.

비만학생을 위한 전통놀이 중심 비만관리 협동학습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Program for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Theory)

  • 성정혜;최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3-52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on obesity rate, physical fitness, self-esteem, and body image specifically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to November 30, 2012. The subjects included 74 obese children ($Exp.=25^{(a)}$, $Com.=24^{(b)}$, $Cont.=25^{(c)}$) with an obesity rate above 20% at an elementary school in G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8.0, using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Results: The obesity rate (F=4.033, p<.022)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group (Com, Cont), in which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was not implemented. Self-esteem (F=4.310, p<.017) also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physical fitness (Muscular endurance F=1.545, p=.220; Flexibility F=.671, p=.514; Agility F=1.594, p=.210; Speed F=5.386, p<.007, scheffe (a,b

가정폭력 경험 여성의 불안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연구 (Predictors of Anxiety and PTSD in Battered Women)

  • 손정남;차보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64-57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dictors of anxiety and PTSD in battered wome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5 women who were stratified samples according to 15,000:1 from a target population in Korea from November 18, 2004 to February 18, 2005.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Predictors of anxiety were self esteem, stress, state anger, social support, trait anger, negotiation, and psychological viol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55.8% of anxiety. Predictors of PTSD were self esteem, state anger, trait anger, psychological violence, stress, and anger-in. These variables explained 43.2% of PTSD.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ortance of separating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types of violence when taking into account its effects on women's mental health. To promote women's mental health, it is needed to develop self esteem improvement programs, and anger and stress management programs.

  • PDF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using Children's Poem on Maladapted Children in School - A Case Study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 이경옥;최병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71-9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 아동을 대상으로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서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사전검사, 현재 담임 부모님 친구의 의견을 반영하여 학교 부적응 아동으로 판정된 2명의 초등학교 4학년생이다. 주 2회 40분간 12회기에 걸쳐 동시를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을 상담에 적용하며 내담자의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 즉 상담과정에서 대상 아동이 반응한 언어와 행동을 평가한 결과와 부모 친구 교사의 심층면담, 행동관찰평가표, 측정 도구의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자가 개발한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은 학교 부적응 아동의 가정적, 사회적,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등 학교적응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 외에도 동시를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의 독서자료인 동시가 상담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밝혔다. 동시 낭송과 동시 내용이 내담자의 자기개방을 촉진하여 상담자와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상담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끄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 PDF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장애인의 자기주장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 박민희;차영주;유영원;부희옥;이숙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9-351
    • /
    • 2004
  • 본 연구는 원예 치료프로그램 종결 이후에 정신지체 장애인이 자조모임을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의도적인 집단원예 활동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치료를 경험하게 하고,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가지도록 지원하며 자조모임을 형성하여 직업개발과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기 간은 2003년 1월 4일부터 2003년 5월 27일까지였으며 모집기간 중에 선발된 정신지체장애인 10명 중 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랑과 나눔의 재활공동체인 자조모임형성을 목표로 설계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접촉, 시행단계의 원예활동(2단계)과 자조모임을 위한 원예활동(1단계)을 적절히 배치하였으며 ,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원예에 대한 기초 조사표,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자아존중간척도(Self-Esteem Scale), 원예치료평가표, 클라이언트 만족도, 자체 설문지를 치료 전, 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에 대한 기초조사표 평가결과 원예에 대해 꽃가꾸기를 좋아하고, 원예 활동 중 마음이 평 화롭고 편안하다고 대답하였다. 선호하는 색깔은 파란색, 분홍, 노란, 흰색이었고 선호하는 꽃은 장미, 국화, 진달래, 백합 순으로 답하였으며, 채소는 무, 상추와 시금치, 배추 순이었고 과일은 배, 사과, 감과 밀감 순으로 조사되었다.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해 본적이 있거나 해 보고 싶다고 답을 했다 특히 정원수, 자생식물, 허브, 화단, 정원 가꾸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원예활동이 주는 정신적 안정을 느끼고, 기능의 재활이나 회복, 취미 생활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사전사후검사로 실시 한 자아존중감(Self-Esteem Scale)평가결과는 대상자 6명 모두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원예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심고 가꾸는 것을 통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고, 실시한 성과물을 집에 가지고 가게 함으로써 정신지체장애인의 자아 존중 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된다 사후검사로 실시한 클라이언트 만족도 척도의 평가한 결과 대부분이 정신지체장애인이 본 프로그램에 상당한 만족 도를 보였다. 원예 치료평가표 결과는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운동지각능력에서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그 중 참가성 ,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심신의 치료를 경험하$\infty$I 자존감이 향상되며 회원 상호관계를 통한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목표에 대한 높은 달성정도를 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심리적, 신체적, 정서적 치료효과가 높은 향상을 보이고 자신감과 성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한계점은 원예치료사와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주도성의 일부를 성원들에게 이전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집단내 성원을 리더로 세우고 권한부여를 통한 독립적인 자조모임을 이끌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는 조력자로, 원예치료사는 프로그램 진행 자로서 역할을 축소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리더를 세우기 위한 시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대부분이 선천적장애인이었고 선천적장애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대부분이 적극성과 주도성에 제한되었음을 고려하지 못하고 기간 내에 목적을 수행 하고자 했던 것이 부정 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성공적인 자조모임의 모형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과 동시에 집단지도자는 장기적이고 세밀한 개입을 계획하여 점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형 당뇨인 자기주도 캠프가 1형 당뇨병 대상자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Self Lead Camp for Type 1 Diabetes on Depression, Anxiety,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with Type 1 Diabetes)

  • 진철;김미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83
    • /
    • 2017
  • Purpose: It is thought to be crucial to guide diabetic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eir adolescent period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we investigated what positive roles a type 1 diabetic camp program would play on subjects in terms of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self-efficacy.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38 diabetic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ho attended summer camp.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t=3.55, p=.001) and anxiety (t=3.09, p=.004) after attending camp, as well 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t=-3.64,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t=0.14, p=.89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ype 1 diabetic camps are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mong diabetic childre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diabetes programs related to camps be developed.

노인영양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특성 분석-건강증진모델의 요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ttendee in an Elder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Model-)

  • 임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09-621
    • /
    • 1998
  • Although many people initially enroll in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re are many instances of erratic participation and dropouts. Inconsistent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programs minimizes their impact on health promotion. Therefore,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can potential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ts educational strategy. This study used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o examine specific factors influencing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an elder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Elderly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with 147 volunteers (76 males, 71 females), aged 60 to 87, at 5 separate community elderly centers, by public health dietitians from February to April 1997. Some participants dropped out during the program. Overall, 61 people(18 males, 43 females) finished all 7 steps over 2 months. Pre-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trained dietitians. This data included individual cognitive-perceptual factors(perceived benefits of nutrition improvement, importance of health, perceived control over health by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 esteem, perceived health status, concern about health, depression scale and social health scale), which were known to influence the likelihood of health behavior, and modifying factors(socioeconomic variables, biological characteristics, behavioral factor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Male finalists had a significantly lower chance for health locus of control, and better social health status with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compared to males who dropped out. Female finalis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ocus of control regarding food behavior, higher self-esteem, better recognized nutritional status, worse self-recognized health status and lower concern about health than those who dropped 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endees and dropouts in age, BMI$(kg/m^2)$, Nutritional Risk Index, depression scale and daily nutrient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derly nutrition intervention plans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 cognitive and perceptual factors, with interpersonal influence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nutrition in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