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ngagemen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 감성지능, 학업탄력성과의 관계 :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Eng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Resilicence of Nursing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 Regulation)

  • 정미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68-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와 학업탄력성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습참여와 감성지능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J지역 3개교 간호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는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 감성지능, 학업탄력성 그리고 자기조절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감성지능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가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는 것과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학업참여, 감성지능과 자기조절도 함께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학생의 부정적 심리성향과 학업열의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Negative Psychological Tenden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안민정;노주연;장혜주;최주혜;한도헌;한수진;송지은;황윤영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7-7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ts affecting factor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one national university. Negative psychological tendency (i.e. Type D personality), academic eng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ssess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ents was $21.61{\pm}2.40years$ and 56.6% were male students. Approximately, one third (n=67, 34.2%) of the students had Type D personality. The average scores of academic eng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3.01{\pm}1.14$ and $3.46{\pm}0.50$, respectively.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Type D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a}=.64$, p<.001; ${\beta}=-.13$, p=.021, respectively). This model explained 53.6% of the varia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that Type D personality and academic engagemen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one in a negative way, the other in a positive way.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need to make efforts to include interventions and strategies that increase academic engagement and change negative psychological dispositions such as D-type personality i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curriculum.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에 관한 종단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math self-efficacy, and math class engagement : Using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5년(중1)부터 2017년(중3)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 적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와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 상·하위집단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수업참여를 매개하여 수학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교사는 이와 같은 특성을 교수·학습전략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수학자기효능감 향상 및 수학수업참여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정주헌;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1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및 전략적 학급경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수업몰입 측정도구(21문항)와 교사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25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1개교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비해 감정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몰입 요인과 감정몰입 요인에서 1학년 학생이 2, 3학년 학생 보다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보통 수준이며, 평가적지지, 도구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학생의 수업몰입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그 설명력 모두 높은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수업몰입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의 정서적지지가 높은 상관도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만족감을 갖게 하여, 정서발달과 자아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대학생의 학업소진이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Effect of academic burnout on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study engagemen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owth mindset)

  • 오미평;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31-239
    • /
    • 2024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소진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중국의 한 전문대학교에서 유의표집한 대학생 5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첫째, 학업소진은 성장 마인드셋, 학습몰입 및 학업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성장 마인드셋, 학습몰입과 학업자기효능감은 서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업소진이 학습몰입을 경유하여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업소진이 학업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는 상황에서 학습몰입과 성장 마인드셋을 적용하여 학업자기효능감를 보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운동능력믿음, 학업열의 및 자기핸디캡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xercise Ability Beliefs,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김승용;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03-31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운동능력믿음과 학습열의 및 자기핸디캡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37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운동능력믿음의 증가된 믿음은 학습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고정된 믿음은 학습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가된 믿음은 자기핸디캡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고정된 믿음은 자기핸디캡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열의는 자기핸디캡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육 수업장면에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및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ask-Solv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임현묵;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5곳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3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전체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태도는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열의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태도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태도와 과제해결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come Expectancy and Academic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42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영향력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기대는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결과기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학생의 가족수업 참여도와 부모자녀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in Family Educ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 주현정;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56
    • /
    • 2022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학생이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정도와 부모자녀관계 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세종시 소재 중학생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족수업 참여도와 회복탄력성, 부모자녀관계 변인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가족수업 참여도와 부모자녀관계 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수업 중 학습자의 참여 정도에 따라 자신의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부모와의 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만의 회복탄력성 향상으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되는 메커니즘이 검증됨을 보여주어 가족수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 박새록;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26-83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2020년 1학기에 진행된 실시간 쌍방향 강좌를 수강한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사회적 실재감, 학습 몰입,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과 학습 몰입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사회적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 몰입은 자기조절학습과 지각된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지만, 학습 몰입을 매개로 하여 지각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설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