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업무성과

검색결과 1,911건 처리시간 0.033초

프랜차이즈 요식업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Franchise Restaurant Employees on Business Performance)

  • 윤강석;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2호
    • /
    • pp.7-13
    • /
    • 2017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요식업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프랜차이즈 종사자의 채용관리가 경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평가관리(p<.05, ${\beta}=1.887$)가 업무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경력관리(p<.05, ${\beta}=1.715$)는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업무향상과 채용관리(.441), 업무향상과 평가관리(.476)는 p<.01 유의 수준으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무성과와 채용관리(.375), 재무성과와 평가관리(.356), 재무성과와 경력관리(.371)는 p<.05 유의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요식업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채용관리, 경력관리, 평가관리가 업무향상, 재무성과에 대한 특성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특성요인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모호성과 사용자 참여가 S/W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biguity and User Participation on S/W Project Performance)

  • 홍명헌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0-242
    • /
    • 2004
  • S/W 개발 프로젝트는 실패 위험이 매우 높다. 중요한 실패 원인 중의 하나는 업무 모호성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참여시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업무의 모호성과 사용자참여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 문헌들로부터 업무 모호성, 사용자 참여, 프로젝트 성과에 관한 변수들의 관계를 찾아내어 연구 모델과 가설을 제시한다.

  • PDF

서비스 산업에서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Work IT-Resources on the Work Effici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Service Industry)

  • 이민우;김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89-97
    • /
    • 2015
  • 최근 융복합 IT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업무형태로 스마트워크가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기업에서 스마트워크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틀로서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사용하여 서비스 산업에서 스마트워크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파악된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인 기여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려는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으로도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검증결과 스마트워크 IT자원 중 IT인프라와 IT스킬이 개인 업무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업무어플리케이션과 IT스킬이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이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서비스산업에서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실제업무에 적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이는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 획득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업무성과와의 관계 연구 : 트랜스엑티브 메모리역량의 매개효과와 사용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n Transactive Memory Capabilities and Moderating effect on Time)

  • 이미란;김용원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09-118
    • /
    • 2016
  • 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SNS도 발전하고 있지만 SNS에 대한 연구는 개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재미와 오락을 위해 SNS를 이용하고 업무에는 유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SNS가 업무 영역까지 긍정적인 효과가 파급되지 않는다면 SNS의 발전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업무적 관점에서 SNS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 SNS몰입, 매개변수로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 조절변수로 SNS사용시간, 그리고 종속변수로 업무성과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SNS몰입은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과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SNS몰입이 트랜스엑티브메모리 역량에 영향을 미칠 때 SNS사용시간이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행적으로 SNS를 오랜 시간 이용하는 것이 업무와 무관하거나 방해된다는 의견과는 달리 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실증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며 선행연구들은 SNS가 성과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고려하지 못한 매개변수가 있을 것이라 추정하고 새로운 기억방식인 트랜스엑티브메모리역량이 실제로 SNS와 성과간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고 있음을 실증했다.

정보속성이 재난관리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Quality of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in Disaster Management Operation)

  • 정덕훈;심형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85-91
    • /
    • 2008
  • 최근 발생하는 재난의 규모와 발생유형이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로 진행됨에 따라, 수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국가의 위기 상황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재난관리체계가 요구된다. 체계적인 재난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보의 공유와 협조체계가 필요하며, 전제조건으로는 정보가 중요한 자원이라는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재난과 같은 혼란 상황에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혼란으로부터 탈피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올바른 정보라 할 수 있으며, 올바른 정보는 높은 불확실성과 상호의존적인 재난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재난 발생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속성과 재난관리 업무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Wang과 Strong(1996)의 4가지 정보속성을 설정하고, 재난관련 담당자들에서 설문지를 통해 통계적으로 업무성과간의 관계 여부를 검증하였다.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T Resources on the Work Effici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Mobile Smart-Work Environment)

  • 이민우;오민정;김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165-176
    • /
    • 2016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IT 융복합 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한 기업에서 기업 내부의 IT자원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하여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스마트워크 IT자원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파악된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문적 의미를 가지며, 제조업, 서비스업, 물류/유통산업, 금융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워크의 유의미성을 기업의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는지를 파악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연구 결과, IT인프라와 IT스킬이 개인 업무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IT스킬이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업무 효율성과 연대협력업무 효율성은 기업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산업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IT 융복합 기술을 통한 모바일 스마트워크 환경을 구축하여 기업 내부의 IT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효율성과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업무특성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사용 성과;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구철모;정재은;조근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95
    • /
    • 2007
  •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기업 조직의 사회적 네크워크를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각 커뮤니케이션 정보시스템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업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또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도입, 예를 들면, 메신저와 무선 화상통신과 같은 발전은 매체 풍부성 이론으로 아직까지 적용 검증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업무적 특성과 미디어 활용 그리고 업무성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서베이를 통하여 소중대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회귀분석으로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업무 특성은 미디어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이며 사회적 영향과 친분관계는 두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활용은 각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 PDF

SNS의 사용이 팀의 협력과 의사결정의 질 및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on the Team Cooperation, Quality of Decision Making and Job Performance)

  • 김윤미;정동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80-190
    • /
    • 2014
  •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누구라도 손쉽게 전달하고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에는 개인적 홍보나 생각의 나눔을 위한 도구로서 SNS를 사용해 왔지만, 최근 SNS 사용자의 증가와 그 사용속도의 증가 추세에 따라 기업들이 팀의 협력이나 의사결정에 직접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의사결정의 질이나 업무성과를 제고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활성화는 이미 사람들이 인터넷 매체를 통해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 경험을 많이 누리고 있음을 제시한다. 그러나 한국의 조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SNS가 구성원들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기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이 실제 SNS을 통한 참여를 통해 기업에서 SNS의 활용과 참여가 업무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이들의 영향관계에서 팀의 협력 및 의사결정의 질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NS의 참여가 높을수록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의 인과관계에서 팀의 협력과 의사결정의 질이 중요한 매개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실제 구성원들의 업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직장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활용도를 높여서 업무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또한 SNS의 참여는 팀의 협력과 의사결정의 질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Security Level of Companies with National Core Technology on Security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 장예진;최정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1-8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물리보안수준이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안요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 독립변수는 물리보안수준, 매개변수는 보안성과, 종속변수는 업무효율성으로 선정하였다.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분석, 판별타당성분석 등을 SPSS를 통해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리보안수준 ⇒ 보안성과, 보안성과 ⇒ 업무효율성"는 채택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 ⇒ 업무효율성"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물리보안수준이 매개변수인 보안성과를 거쳐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물리보안수준이 직접 업무효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안성과를 높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주택 설비공사 계획업무의 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truction Planning Tasks on Project Cost and Schedule Success in Residential Projects)

  • 김대영;임형철;김대영;허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의 주목적은 공동주택 설비 계획 단계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을 파악하고 성과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계획업무를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계획업무의 성과지표에 대한 영향 분석을 위하여 설비공사의 계획업무를 크게 5개의 주요업무로 구분하고 각각을 공정계획(P1~P6), 시공계획(C1~C5), 환경관리계획(E1~E4), 품질관리계획(Q1~Q5), 안전관리계획(S1~S5)으로 명명하고, 각각의 주요 업무를 세분화 시켜 총 25개의 세부 계획업무로 분류하여 원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주요 업무를 세분화 시켜 총 25개의 세부 계획업무로 분류하여 원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따른 중요도를 비교하여 유의도 0.05 이하에 대해 원가뿐만 아니라 공기의 성과지표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중요 공사의 계획업무를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