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3778/kcsa.2022.22.5.081

Effect of Physical Security Level of Companies with National Core Technology on Security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Ye-Jin Jang (국제대학교 경호보안과)
Jeong-Il Choi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look the effect of the physical security level of companies possessing national core technology on security performance and work efficiency. To this end, a survey was set out for about 200 security officers for a month. In the surve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physical security level, the parameter was security performa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work efficiency.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etc. were analyzed for causality through SPSS. As a result, "Physical Security Level ⇒ Security Performance, Security Performance ⇒ Work Efficiency" was adopted, but "Physical Security Level ⇒ Work Efficiency" was reject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curity level affects work efficiency through security performance, which is a paramet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security level did not directly affect work efficiency.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in the future, improving security performance should be a priority.
Keywords
National Core Technology; Physical Security Level; Security Performance; Work Efficiency; Surve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위키백과 : 물리보안 https://ko.wikipedia.org/wiki/ 
2 한충근, "물리보안의 중요성", 보안이야기, SK쉴더스, 2022.10.27. https://blog.naver.com/zxc7967/222911833796 
3 최연준, 이주락,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Vol. 8, No, 1, pp.33-60, 2018. 
4 배춘석, 고승철, "데이터센터 물리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물리보안 위협 분할도(PS-TBS)개발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 29, No. 2, pp.439-449, 2019.    DOI
5 윤대현, 변서희, 서우종, 정창훈, "국가중요시설의 물리적 보안 조직에 대한 보안수준 평가지표 개발", 한국산업보안연구, Vol. 11, No. 1, pp.163-191, 2 021. 
6 채정석, 김현호, "변혁적 리더십, 보안정책 준수의 지, 보안성과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경호.보안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경비경호학회지, Vol. 20, No. 5, pp.243-268, 2021. 
7 백민정, 손승희, "중소규모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인식과 행동이 정보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中小企業硏究, Vol. 33, No. 2, pp.113-132, 2011. 
8 채정석, 최연준, "정부청사 방호관의 직무열의가 조직시민행동을 매개하여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Vol. 66, pp.363-387, 2021. 
9 도충현, 문광민, "조직공정성이 업무효율성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 21, No. 1, pp.43-70, 2022. 
10 이석만, 김현호, "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보안요원의 업무효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Vol. 63, pp.239-261, 2022. 
11 이지훈, 강준모, "직무교육.훈련프로그램이 업무효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주지역 중견 및 대기업의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Vol. 8, No, 2, pp.171-181, 2018.    DOI
12 이대권, 양정훈, 강원선, 박준석, "산업보안 기술보호활동이 보안인식과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해외진출기업(베트남)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 연구, Vol. 11권, No. 1, pp.193-216, 2021. 
13 남궁록, 전용태, "기업 연구시설의 전략적 인적관리와 물리보안 수준이 보안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시큐리티연구, Vol. 63, pp.81-104, 2020. 
14 남궁록, "기업 연구시설의 전략적 인적관리와 물리보안 수준이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02. 
15 정성배, "산업보안 관리활동이 기업의 보안성과와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08. 
16 정충영, 최이규,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2001. 
17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