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d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03-227
    • /
    • 2020
  • This study is observed in this paper that how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ual mathematics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nio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ir mathematical beliefs and analyzing their actual mathematics classes in a teaching practic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generally shown in a similar tendency. The beliefs form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belief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have coexisted. Second, the teachers' belief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practices are largely inconsistent. Third, wh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lan and implement their mathematic classes,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guidanc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ir own mathematical beliefs.

예비 수학교사의 통계와 확률론에서의 몇 가지 오개념 (A Study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ome Misconceptions in the Statistics and Probability)

  • 김창일;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69-483
    • /
    • 2018
  •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이 학교수학에서 확률과 통계 교수를 위해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고 교사교육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설문과 평가를 실시하고 이들 간의 회귀분석과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를 통해 난이도에 비해 평가 결과가 낮게 나타난 문항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에 대한 중등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의 내용체계를 연계하여 예비 수학교사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 수학교사들의 확률과 통계 교과목 이해 정도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셋째, 예비 수학교사들이 가진 오개념과 그 원인의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반성적 수업 분석지를 활용한 교육실습에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행동 및 인식 변화 (Changes in Teaching Behaviors and Awarenes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Using Survey on Self-reflection during Education Practices)

  • 권종겸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5-38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nges that occur to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by using survey on the self-reflection during their education practices. For four weeks of the education practice period, the changes to pre-service teachers are analyzed from teaching and learning perspectives. The teaching perspective is sub-categorized into less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n teaching, and the learning perspective is sub-categorized into monitoring on learning, support for learning and evaluation on learning. The analysis shows that significant changes occur in teaching contents from the teaching perspective and in all the sub-categories from the learning perspective. Based on the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are suggested to utilize self-reflection programs during their education practices to promote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ing.

예비수학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문제제기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한혜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3-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교육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예비수학교사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제기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연구에 참여한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문제제기 수업 경험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제기 수업은 문제제기 이론에 대한 교육, 문제제기 활동 체험, 문제제기 수업 지도안 작성 및 수업 수행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설문 조사, 면담, 수업 일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문제제기 수업은 예비수학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 및 문제제기 전략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제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제기 수업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문제제기 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과 문제제기 수업 수행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문제제기에 대한 이해 및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함양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asks on Polar Coordinates

  • Oh, Hye Mi;Park, Jee Hyun;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31
    • /
    • 2013
  •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subject, advanced mathematics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is posing a challenge to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it. At the advanced level,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mental mathema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analyse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solving the tasks specific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ar coordinates. We report how and through what process mathematical tasks that can create disequilibriu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nable reflective thinking and exp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defining reflective thinking in looking back on one's problem 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Journal Writ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289-306
    • /
    • 2009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학 수학 강좌에서 학습 일지를 쓰게 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학 학습에서 학습 일지는 반성적 사고, 개념적 탐구, 정의적 영역의 표출, 자기 주도적 학습 계획, 학습의 기록 등의 역할을 담당했다. 예비교사들은 학습 일지 쓰기를 통해 수학 교수 학습 상황에서 갖게 되는 여러 교육적 관점을 수업 방법, 수업의 조직 및 운영, 평가, 교사의 자세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었으며, 학습 일지 쓰기가 왜 중요한지, 어떻게 지도하며 무엇을 유의해야 하는지도 생각하게 되었다. 학습 일지 쓰기는 예비교사에게 교육적 상황에서 마주치는 여러 사안을 고민하고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경험의 장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 PDF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odification of Derivative Tasks)

  • 김하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711-73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예비교사가 교과서의 수학 과제(Mathematical task)를 어떻게 변형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어떤 학습 기회를 가지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의 미분계수 단원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과제 변형 활동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제는 인지적 노력 수준을 유지하거나 높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들이 미분계수의 개념적 이해를 추구하는 가운데 나타났다. 둘째, 과제 변형 활동은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학생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협업과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졌다.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ing Through the Task Dialogue Activity)

  • 김지수;이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511-536
    • /
    • 2017
  • 수학교실에서 효과적인 논의기반 수업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사는 여러 가지 교수학적 행동을 취할 수 있지만, 그 기반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이다. 교사는 수업 중 유발될 수 있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 해결 접근 방법에 대비하여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교수학적 대처를 사전에 예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학적 담화 조정 능력 신장의 일환으로 Spangler & Hallman(2014)의 과제 대화록 작성하기 활동을 보완하여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 수업에 적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특징을 학생 반응과 교수학적 대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그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에, 그 과제와 유사한 혹은 동일한 수학과제를 가르쳐 본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한 가지 이상의 옳은 문제해결 방법을 예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문제를 옳게 해결한 학생들에 대하여 그들의 문제해결법을 묻는 것 외의 수학적 사고를 탐색하거나 확산할 수 있는 발문을 하는 것에 어려워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 문제해결의 결정적 힌트를 제공하거나 절차적 지식에 치중한 발문을 하여 결과적으로 처음에 제시한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저하시켰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대화록 활동이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능력 신장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wareness and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on Mathematical Concepts: Arithmetic Series Case Study

  • Ilya, Sinitsky;Bat-Sheva, Ilan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215-233
    • /
    • 2008
  • Deep comprehension of basic mathematical notions and concepts is a basic condition of a successful teaching. Some elements of algebraic thinking belong to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question "What stays the same and what changes?" link arithmetic problems with algebraic conception of variable. We have studied beliefs and comprehensions of futur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early algebra. Pre-service teachers from three academic pedagogical colleges deal with mathematical problems from the pre-algebra point of view, with the emphasis on changes and invariants. The idea is that the intensive use of non-formal algebra may help learners to construct a better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ideas of arithmetic on the strong basis of algebraic thinking. In this article the study concerning arithmetic series is described. Considerable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moved from formulas to deep comprehension of the subject. Additionally, there are indications of ability to apply the conception of change and invariance in other mathematical and didactical contex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