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ing Through the Task Dialogue Activity

과제대화록 작성하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 Received : 2017.07.10
  • Accepted : 2017.08.12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ays in which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ticipate 1) students' responses to specific mathematical tasks which are chosen or devised by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as requiring students' higher cognitive demand and, 2) their roles as math teachers to scaffol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o achieve the goal, we had our pre-service teachers to engage in an adapted version of Spangler & Hallman-Thrasher(2014)'s Task Dialogue writing activity whose focus was to develo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ility to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ussion. 14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junior at the time enrolled in the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ourse were subjects of the current study. In-depth analysis of both Task Dialogues which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rote and audiotapes of the group discussions while they wrote the dialogues sugges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ticipated how students would approach a task based on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Second, they were challenged not only to anticipate more than one correct students' responses but to generate questions for the predicted correct-responses to bring forth students' divergent thinking. Finally, although they were aware that students' knowledge should be the crucial element guiding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in teaching, they tended to lower the cognitive demands of tasks by providing students with too much guidance which brought forth the use of procedural knowledge.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as it provides insights as to what to attend in designing teacher education course whose goal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ability to effectively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ussion.

수학교실에서 효과적인 논의기반 수업을 구현하기 위하여 교사는 여러 가지 교수학적 행동을 취할 수 있지만, 그 기반은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이해이다. 교사는 수업 중 유발될 수 있는 학생들의 다양한 문제 해결 접근 방법에 대비하여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교수학적 대처를 사전에 예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학적 담화 조정 능력 신장의 일환으로 Spangler & Hallman(2014)의 과제 대화록 작성하기 활동을 보완하여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교육 수업에 적용하였고, 이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특징을 학생 반응과 교수학적 대처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학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그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에, 그 과제와 유사한 혹은 동일한 수학과제를 가르쳐 본 과거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한 가지 이상의 옳은 문제해결 방법을 예상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고, 문제를 옳게 해결한 학생들에 대하여 그들의 문제해결법을 묻는 것 외의 수학적 사고를 탐색하거나 확산할 수 있는 발문을 하는 것에 어려워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맞추어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에 대한 교수학적 대처를 예상할 때 문제해결의 결정적 힌트를 제공하거나 절차적 지식에 치중한 발문을 하여 결과적으로 처음에 제시한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을 저하시켰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대화록 활동이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예상하기 능력 신장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2014).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학교수학, 16(3), 567-584.
  2. 김지수(2017). 과제대화록 작성을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예상하기 특징 분석: 학생의 반응과 교수학적 대처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권나영(2014).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교수-학습개념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3), 321-335.
  4. 권오남, 박정숙, 박재희, 박지현, 오혜미, 조형미 (2013). 예비교사 교육에서 레슨 플레이의 활용가능성 탐색. 학교수학, 15(4), 819-832.
  5. 김성희, 방정숙(2005).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6. 김상화, 방정숙(2010).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23-545.
  7. 김선희(2012).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학연구, 22(2), 277-292.
  8. 김선희(2013).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수학교육, 52(4), 465-481.
  9. 김하림, 이경화(2016).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미분계수 과제 변형. 학교수학, 18(3), 711-731.
  10. 박미혜, 방정숙(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실험 적용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163-183.
  11. 방정숙, 김정원(2013).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초등 교사의 5가지 관행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1), 143-164.
  12. 서은미(2015). 5가지 관행을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연결하기 관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심상길(2015). 마이크로티칭에서 예비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수업 행동과 변화. 수학교육논문집, 29(4), 643-660.
  14. 심상길, 윤혜순 (2012). 마이크로티칭에서 수학예비교사들의 수업 행동과 변화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51(2), 131-144.
  15. 심상길, 이강섭(2013). 예비수학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수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수학교육, 52(4), 517-529.
  16. 이미연, 오영열(2007). 수학적 과제가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17(4), 395-418.
  17. 이봉주(2013).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포트폴리오 활용, 수학교육, 52(2), 175-190.
  18. 이봉주, 윤용식(2014).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 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수학교육, 53(3), 399-412.
  19. 이상희, 이수진(2016). 수업시연 기반 수학교과교육학 수업 모델 탐색. 교사교육연구, 55(3), 363-376.
  20. 이은정, 이경화(2016).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와 수학수업에서 실제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8(4), 773-791.
  21. 이종희, 김선희(2002).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에 관한 실태 조사. 학교수학, 14(1), 63-78.
  22. 이지현(2013). '정의'를 재발명을 상상하다. 학교수학, 15(4), 667-682.
  23. 이지현(2014). 예비교사들은 0.99...<1라는 주장을 어떻게 반박하는가?. 학교수학, 16(3), 491-502.
  24. 이지현, 이기돈(2015). 맞다 틀리다의 단순한 심판을 넘어. 수학교육학연구 25(4), 549-569.
  25. 이혜림, 김구연(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수학교육학연구, 23(3), 353-371.
  26. 한선영(2015).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5(4), 599-615.
  27. Bogdan, R.,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5th Ed.). Boston: Pearson.
  28. Cobb, P., & Steffe, L. P. (1983). The constructivist researcher as teacher and model builde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4(2), 83-94. https://doi.org/10.2307/748576
  29. Confrey, J. (1990). Chapter 8: What constructivism implies for teach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4, 107-210.
  30. Hackenberg, A. J. (2010). Mathematical caring relations in a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1), 236-273.
  31. Henningsen, M., & Stein, M. K. (1997). Mathematical tasks and student cognition: Classroom-based factors that support and inhibit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3), 524-549. https://doi.org/10.2307/749690
  32. Spangler, D., & Hallman-Thrasher, A. (2014). Using Task Dialogue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to Orchestrate Discourse. Mathematics Teacher Educator, 3(1), 58-75. https://doi.org/10.5951/mathteaceduc.3.1.0058
  33.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455-488. https://doi.org/10.3102/00028312033002455
  34. Stein, M. K., & Smith, M. S. (1998). Mathematical tasks as a framework for reflection :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268-275.
  35. Smith, M. S., & Stein, M. K. (2013).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방정숙 역).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11년 출판).
  36. Thompson, A. G. (1984).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ing to instructional practic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5(2), 105-127. https://doi.org/10.1007/BF00305892
  37. Tzur, R. (1999). An integrated study of children's construction of improper fractions and the teacher's role in promoting that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0(4), 390-416. https://doi.org/10.2307/749707
  38.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39. Zazkis, R., Liljedahl, P., & Sinclair, N.(2009). Lesson Plays: Planning teaching vs. teaching plann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9(1), pp.40-47.
  40. Zazkis, R., & Sinclair, N. (2013). Imagining mathematics teaching via scripting tasks. International Journal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Retrieved from http://www.cimt.org.uk/journal/zazki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