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선행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81-186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n employment prepara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86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uth Korea from November 1 to 30, 2016. For data analysis, the study use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mong others. Results: Students with higher grades tended to have major satisfac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P<0.001). Higher parental monthly income was related to higher major satisfaction (P<0.001). Employment prepara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major selection motive, major satisfaction, and instruction particip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encourage dental hygiene students to prepare for employ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better academic environment and develop a variety of employment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I think that the active interest of the country, society, school, and family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전문대학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멘토링의 조절효과- (Effects of Paramedic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Mentoring-)

  • 박대성;김용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24-633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응급구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여 효과적인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D 및 G광역시, J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으로 2019학년 1, 2학에 각각 1회 이상으로 총 2회 이상 일반상담, 진로상담, 출석상담, 학사경고상담을 받은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2019년 12월 2일부터 6일(5일 동안)까지 본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무작위로 추출하여 연구 참여에 서면동의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배부된 30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4부를 제외한 286부를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와 내재적 직업가치관 및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또한 멘토링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개인 및 집단상담이 필요하고,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취업특강, 모의면접 등이 필요하다.

4년제 대학생들의 학년별 취업준비행동 비교연구 -C 대학을 사례로- (A Study on the Comparative study for the Four-year Collegi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Level : The case of C University)

  • 지계웅;한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3-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재학생들의 학년별 취업준비행동 등을 파악하여 취업률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바탕으로 빈도분석 및 대학생들의 학년별 취업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복수전공 선택, 재학 중 직장경험, 어학연수 경험, 재학 중 진로설정, 취업목표 설정, 재학 중 일자리 탐색, 취업활동 참여, 직업관련 교육/훈련, 자격증 취득 등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 모든 항목이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활성화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적극적인 취업의지 고취가 필요하다. 둘째, 어학연수 기회확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셋째, 지방대학의 경우, 학생들의 기초학력 증진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그릿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Gri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Graduate School of Nursing Students)

  • 김은아;우상준;박경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37-445
    • /
    • 2022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역량, 그릿 및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06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분석,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관리역량(r=.41, p<.001)과 그릿의 노력지속성(r=.44, p<.001)이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 그릿의 흥미일관성(r=-34, p<.001)이 취업준비행동과 음적상관을 나타냈다.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에서 자기관리역량(β=.27, p<.01)과 그릿의 노력지속성(β=.22, p<.01)은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영향, 그릿의 흥미일관성(β=-.32, p<.001)은 취업준비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기관리역량 및 그릿의 노력지속성 증진과 함께, 그릿의 흥미일관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간호관련 취업분야를 제시하는 취업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전문대학생의 NCS기초능력군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능력과 수리능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NCS Basic Capability Grou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Mathematical Capability)

  • 성행남;조동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85
    • /
    • 2019
  • The importance of the NCS(National Competitiveness Standards) is growing as the job market shrinks and more institutions require hiring based on NCS. Of the ten domains of NCS', the most relevant one with the performance of all tasks is basic capability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communication capability, mathematical capability)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we set up a process model to comprehen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basic capability grou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r research model testing, 5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communication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But, mathematical capability don't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Nex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 each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Also, interest in the major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employment. The academ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Career self-efficacy and interest in the major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terest in the major was explained through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elf-efficac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dministrative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care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amedic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박대성;김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63-270
    • /
    • 2020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의 결과를 토대로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D광역시, J도 소재 3·4년제 대학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미비한 9부을 제외한 341부를 SPSS ver. 12.0(Window)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취업준비행동에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직업가치관의 내재적 직업가치관, 외재적 직업가치관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성별 및 학년의 특성과 전공선택동기 및 직업가치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집단 상담과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에서 직업가치관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 김경남;임수민;장여영;전다혜;정민주;정지희;조민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50-146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03 to 30, 2020 for 4 weeks. The surve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20 students in grades 3-4 who were enrolled in 6 nursing department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and ha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r=.455, p<.001) and self-leadership(r=.539, p<.001), and major satisfaction(r=-.337, p<.001)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r=-.380,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lf-leadership(β=.424,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β=.170, p=.010),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β=.127, p=.047), employment information(β=.122, p=.023), major satisfaction(β=.137, p=.042) in the order, thes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40.2%.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nursing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trategy to provide a variety of employment information and a strategy for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self-leadership,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is required.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간호대학생의 COVID-19 로 인한 감정,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 (Nursing students' Feelings of COVID-19, Work Valu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신승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75-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COVID-19로 인한 감정, 직업가치관 및 취업준비행동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간호대학생의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개 지역의 졸업학년인 간호학과 4학년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9.0 program으로 분석하였고,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로 인한 감정의 평균점수는 3.61±0.62이었다. COVID-19로 인한 감정과 외재적 직업가치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취업준비행동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COVID-19 등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취업준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취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up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Dental Hygiene Students)

  • 배성숙;문소정;노희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39-447
    • /
    • 2014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을 분석 한 후 취업준비행동과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3, 4학년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빈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취업준비행동을 많이 하였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도 일부 항목에서 존재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남성, 연령증가, 고 학점 집단, 희망 월 급여가 가장 낮은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학교와 성적, 전공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는데 전공에 불만족하는 학생의 진로정체감이 가장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회귀식의 설명력은 약 20%로 낮은 편이었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취업준비행동을 독려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진출로의 모색이 필요하며,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도가 긍정적 관련성을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고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