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초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진로결정상태 유형 분석 (Career decision status type analysis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임나영;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0-63
    • /
    • 2015
  •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상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대상별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경로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상태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배경 현황,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상태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10문항), 사회적 지지(26문항), 진로결정수준(4문항)등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6권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진로결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모지지와 친구지지는 진로결정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모두 진로결정 편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진로결정과 감정 상태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다각적인 방향에서 충분한 진로상담이 선행된 후 직업 교육을 실시해야만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만족도 분석 (A Satisfaction about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 Support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이명훈;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만족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특성화 고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과 학부모이다. 13개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특성화 고교 가운데 임의로 10개의 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재학생 750명, 학부모 300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1일부터 9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학생용 642부, 학부모용 252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고교 학생의 학교에 대한 만족은 높았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교과지도', '진로 지도 및 상담', '교사와의 관계' 순으로 높았다. 둘째,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고교 학생의 학교에 대한 만족은 학생의 특성 중 학년, 성적,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서도 전체 학교만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영역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의 '진로 지도 및 상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교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고교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는 학교의 '교과지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시설', '학교와의 관계', '진로 지도 및 상담' 순으로 높았다. 넷째, 서울시교육청 지원형 공업계 고교 학부모들의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에 대한 만족은 학교 설립 유형이나 학부모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실태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 배선아;오동규;금영충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9-86
    • /
    • 2007
  • 이 연구는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의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된 것으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로 선정된 29개교의 특성화 담당교사와 면담 및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9개교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는 제조업기반기술과 제조업 지원업종으로 특성화하고 있으나 제조업 기반기술 분야가 79%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입생 지원 현황은 2006, 2007년 모두 1.01의 경쟁률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교원 중 여교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32%였으나 보직교사이상에서는 14%로 매우 낮았다. 넷째, 실험 실습실은 확보율은 94%로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기자재 보유율은 76.4%로 조금 낮았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72.4%의 학교가 다른 사업과 병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 방향은 다른 사업과의 차별성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에 대한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 함승연;은태욱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770-78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perception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Research subjects and region were teachers and sophomore students of each one of Meister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and Gwangju reg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research areas. Research area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estions aspects, operational and enforcement aspects and sid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Teachers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15 items and students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8 items. Further the research were interviewed research and targets were teachers and students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samples(N=719) of teachers and students were drawn from 2 high school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cep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more items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as appropriate tha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more CBT system as appropriate tha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garded more items of level of difficulty, degree of completion, validity than Meister high school teachers.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4-6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40명의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409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전공 전망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차원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전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취업준비도는 보통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취업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 취업정보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취업준비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의 관계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모두에 적용되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특성화고의 태양광 추적 제어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법이 학습자의 과제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Task Performance Ability of Project Method to Develop Solar Tracking Control System in Specialized High School)

  • 한유진;김방희;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3-1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y the effect of project method on the task performance ability in development of a solar-tracking-control-system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2 classes of technical high school in Jeonbuk are chosen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project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by traditional instruction. Project method was designed by 4 stages-selection of goal,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ccording to these stages, experimental group's students carried out the project that developing solar tracking control system in solar 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ject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in planning ability for task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ability, subordinates of task performance ability. However,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and evaluation ability on task performance, others in subordinates, it is not clear that the project method is more effective.

전문교과 교육과정에 대응하기 위한 공업계고등학교 공간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 (An Estimating Space Program of Technical High School for Future Educational Curriculum)

  • 이상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2호
    • /
    • pp.12-29
    • /
    • 2008
  • The problem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recovering essential functions of technical high school and identification to supply stable and quality human resources in technical sector. An adequate space programming for technical high school is needed to educate effective skil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education direction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article covers principals of technical school's construction plan and directions and, based on this, suggest the way of estimating the scale in construction plan of technical school. Through this research, systematic and reasonable space planning can be possible.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development directions of society and education and an objective standard in a newly reformed the 7th Stage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is limited to technical high school among kinds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purpose is to redefine the role of technical school that face identification crisis currently, comparing to the past, and to suggest a more effective space planning. The research limits the space to classes for specialized subjects, a core space for education in technical school among diverse spaces.

  • PDF

특성화 고등학교 BIM 교육 현황 분석 및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on and Analysis of BI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 정지원;김진호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1-30
    • /
    • 2017
  • In order to meet current AEC(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industrial demand, BIM related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s study module in archite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has been created and it has been applied into the NCS-based curriculum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from March 2016.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BIM education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o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and current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questionnaire survey of related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Final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ase of BIM education in 'S' Technical High School where BIM education is carried out.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points in conclusion: 1) Updated curriculum reflecting NCS and industrial demand is necessary, 2) Continuing BIM education for teachers and financial support is necessary to get the qualified teaching capacity, 3) Curriculum reflecting BIM's possibilities needs to be developed across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s to maximize its effect.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강철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가능성과 기대 효과, 그리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전문교과 교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를 기반으로한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이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한 반면, 2016학년도부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 산업체 직무 기반의 교육목표 및 내용 설정, 산업체 직무 기반의 평가, 교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역량 향상,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한 반면,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 측면에서는 실습기자재 재정비 및 확충, 실습수업의 대상 학생을 15~20명 수준으로 감축, 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 교원 수급 지원, 산학협력에 기반한 현장 중심 교육의 내실화, 학습모듈 등 NCS 기반 교재의 정규 교과서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관기관의 지원 방안 측면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취업 지원 및 현장 교육의 제공, NCS 능력단위별 현장 교수 지원,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터한 현장 실무 교육프로젝트의 제공, 산업체의 직무능력 평가제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Teacher's Recognition and Needs about STEA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 성용구;김방희;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8-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16개 시 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750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655매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611매(보통교과 234매, 전문교과 377매)의 응답지를 바탕으로 실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교과 교사에 비해 전문교과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TEAM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보통교과 교사가 전문교과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요구에서는 보통교과 교사는 참고자료 보급을, 전문교과 교사는 동일 교과 간 STEAM 수업 및 자료 공유 시스템 마련이 최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 재정적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행정적 업무경감이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