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운영 실태

  • Received : 2007.10.30
  • Accepted : 2007.12.12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ization in 29 schools that were selected as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9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small-medium enterprises area were specialized in manufacturing industry-based technology and supportive business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based technology was occupied a large portion of 79%. Second, the competition rates for entrance were relatively low in 2006 and 2007 as 1.01. Third, female teachers were occupied 32% among the entire teachers, but there were only 14% among teachers higher than teachers with assignment. Fourth, the possession rate of experimental and practice room was relatively stable as 94% while the possession rate of equipments was somewhat low as 76.4%. Lastly, this study found through analysis that more than 70% of schools were operating other business entities at the same time.

이 연구는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의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된 것으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로 선정된 29개교의 특성화 담당교사와 면담 및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9개교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는 제조업기반기술과 제조업 지원업종으로 특성화하고 있으나 제조업 기반기술 분야가 79%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신입생 지원 현황은 2006, 2007년 모두 1.01의 경쟁률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교원 중 여교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32%였으나 보직교사이상에서는 14%로 매우 낮았다. 넷째, 실험 실습실은 확보율은 94%로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기자재 보유율은 76.4%로 조금 낮았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72.4%의 학교가 다른 사업과 병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중소기업분야 특성화 전문계 고등학교 육성 방향은 다른 사업과의 차별성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선청서. 광주:저자
  2. 경기기계공업교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서울:저자
  3. 경기상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서울:저자
  4. 경남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부산:저자
  5. 계룡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대전:저자
  6. 교육인적자원부. (2007a).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육성 계획. 서울: 저자
  7. 교육인적자원부. (2007b).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육성 사업 학교 선정 시행 공고 요강. 서울: 저자
  8. 교육혁신위원회. (2005). 작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서울: 저자
  9. 군산기계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전북:저자
  10. 군자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11. 금정전자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부산:저자
  12. 대양전자정보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부산:저자
  13. 대전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대전: 저자
  14. 마산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남: 저자
  15.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16. 문학정보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인천: 저자
  17. 삼일상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18. 수원정보산업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 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19. 시화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20. 아포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북: 저자
  21. 연무대기계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충남: 저자
  22. 용산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서울: 저자
  23. 은곡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서울: 저자
  24. 인천디자인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인천: 저자
  25. 인천여자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인천:저자
  26. 일자리만들기 당정공동특위. (2006). 정부부처 및 산업체 위탁 운영 방안. 서울: 저자
  27. 전남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광주: 저자
  28. 제천산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충북: 저자
  29. 진산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충남: 저자
  30. 태백기계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강원:저자
  31. 평택기계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기: 저자
  32. 해운대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부산: 저자
  33. 흥해공업고등학교.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 전문계고 지원 사업 신청서. 경북: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