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education class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5초

체육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생들의 신뢰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rust and Class Satisfaction)

  • 조태수;전용배;문선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526-53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analyzing the factors needed for students' positive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developing the leadership skills needed for effective class guidance by analyzing what relationship there exists between a physical education teacher-exerci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trust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class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 between a physical education teacher-exerci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udents' trust, it was found that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u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harisma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 physical education teacher-exercis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subordinate factor in class satisfaction-a sense of accomplishment while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u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valuation. Third, as for the trust in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class satisfaction, the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valuation.

플립러닝을 활용한 교육이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on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 김도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4-90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on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therapy student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72 physical therapy students (experimental group=36, control group=36).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flipped learning and lecture-style learning were provided in a class titled Acticities of Daily Living and Practice.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flipped lear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flipped learning education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 academic motiv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Flow and Satisfaction of Colleg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한건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051-7059
    • /
    • 2014
  •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몰입과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와 G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중 교양체육수업에 참여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3개 대학에서 총 300명을 표집 하였다. 배부된 300부의 설문지 중 총 264부가 회수 되었으며(응답률 88%), 이들 중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무응답 혹은 오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6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03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교양체육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수업 몰입은 교양체육수업 만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수업 몰입, 만족도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 교양체육수업 이외에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여가스포츠 참여 수준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을 활용한 교양체육수업에 따른 재미요인, 수업만족 및 운동지속행동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njoyment Factor, Class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ation Behavior Through Convergence)

  • 김동환;신이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79-588
    • /
    • 2016
  • 본 연구는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속한 4개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 자료로 사용이 가능한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요인추출 및 문항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중 주성분분석과 베리맥스 회전 방식을 선택하였다. 신뢰도 분석에는 크론바 알파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수업만족과 운동지속행동 요인에 대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양체육수업의 재미요인 중 교수행동, 체육성적, 체육환경, 운동능력, 운동지속행동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의 수업만족 중 운동지속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교수행동, 체육성적 요인이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및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ing types of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to Class Satisfaction, Class Flow and Physical Education Attitude)

  • 천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97-408
    • /
    • 2021
  • 본 연구는 교양체육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체육 참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수자의 교수유형이 수업만족, 수업몰입, 체육교과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있다. 경인지역과 충청지역에 소재한 대학에서 대면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양체육 수강생 221명을 표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8부를 제외한 21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내적일관성계수 산출,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양체육 수업의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만족(교육만족, 환경만족, 심리사회만족,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체육 교수자 교수유형은 수강생의 수업몰입(수업몰두, 목적경험, 의식일치, 도전, 통제, 통합)에 영향을 미치며, 교양체육 교수자의 지도유형은 수강생의 체육교과태도(대인관계, 신체활동, 능동참여 적극수행, 건강과 체력, 긍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교양체육수업의 교수유형은 교양체육에 대한 수강생의 긍정적 정서(수업만족, 수업몰입)나 자세(체육교과태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양체육 지도자의 역량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양체육수업의 만족이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융합적 분석 (The Converged Analysis of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 박재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57-26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체육수업의 만족도가 대학생활만족도 및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업지속의도를 높이는 효과적 대학정책 수립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교양체육수업에 참여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85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의 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는 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수업만족도는 학업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체육수업만족도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학업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 이용국;최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503-512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체육교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브루타(Havruta) 수업이 전문대학교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vruta class on learning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in a clas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2-75
    • /
    • 2021
  • Background: The world has entered the age of bio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ncouraging students to test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e to become information fluen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education system is also changing in order to adapt to the times. As a part of thi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 is a core goal of many nation states, and Israel's Jewish education methods are attracting attention; havruta (or chavrusa) is one such method. This study aims to effects of havruta class on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in a clas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Design: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The subjects were 95 students in College A. The learning attitudes questionnaire were us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class satisfaction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habits about physical therapy of learning attitudes (p<.05) and class methods and content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p<.05), class interest of class satisfaction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vruta class improves learning attitudes and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follow-up study is needed to apply the havruta class in various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A Study on Software Education Donation Model for the Social Care Class

  • Lee, Won J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39-24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donation model for the social care class. The types of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ocial care class are in the order of after school classes, club activities, creative experiences, and regular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effective to precede visual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block coding and to conduct curriculum convergence with SW and HW at the beginning,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carrying out text programming education like Python. Software education for social care class The contribution activity model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uch as geographically difficult area, multicultural family areas, orphanage, reformatory, and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are all very high at 96%.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the social care class In the donation model, the lecturers consist of responsible professors, lecturers, and assistant instructors. Software training for the social care class is effective on a year-by-year basis, so that students can feel authenticity and trus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focus on visual programm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and text programm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oftware education donor matching system that helps efficient management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s by efficiently matching schools (consumer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software education donors(suppliers).

교양체육수업 참여 대학생의 참여가치와 성향 및 수업 참여행동에 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articipating Value & Propensity and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75-384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수업 참여성향과 수업 참여행동과의 융복합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교에서 실시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에서 적절하지 않은 26부의 자료를 제외한 총 274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 참여가치는 참여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체육수업 참여 학생들의 참여성향은 수업 참여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