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Organizational Fi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6초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영향요인: 개인-환경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 석향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1-3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Empirical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son-environment fi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factors affecting this relationship were also examined. Methods: Participants were nurses working in 4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or Busan.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27 and Aug. 10, 2012 and for the final analysis, 393 data sets were used. The fitness of models were tested using AMOS 19.0. Results: The fitness of the modified model showed high compatibility with the empirical data. In the modified model, organizational climate, professional self-concepts and person-organization fi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essional self-concepts, personality,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significantly affected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ut person-job fit was not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unted for 49.8% and turnover intention for 39.9% of covariance in these factors. Conclusion: Nursing strategy for enha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s and person-organizational fit should be planned by nursing managers.

The Effects of Employees' Person-Environment Fit in the Foodservice Industry on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

  • Jung, Hyo Sun;Yoon, Hye Hyun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9-84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ssociations among person-environment fi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e study was administered to 306 Korean employees. Th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person-environment f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heir turnover intent. Thus, this study found an indirect influence via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ployees'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KTX기장의 개인-환경적합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KTX Driver's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김태성;허찬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645-653
    • /
    • 2012
  • 본 연구는 KTX기장의 개인-환경(직무,조직,동료)적합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환경적합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환경적합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대부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직무적합성은 직무만족에, 개인-동료적합성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또한 대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조직적합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KTX기장의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개인-환경적합성을 높임은 물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방안 마련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임상간호사의 개인-환경적합성(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과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Evironment Fit(Person-Job Fit,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 Supervisor Fit)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Nurses')

  • 권정옥;강정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B, U 광역시 2개의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50명을 편의추출 하여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SPSS WIN 20.0과 AMO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착근도에 유의하게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있는 변수는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으로 나타났고 직무착근도를 76.3% 설명하였다. 이직의도에 유의하게 직접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직무착근도로 나타났으며,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은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착근도는 이직의도를 3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을 높여주면 직무착근도가 높아지면서 이직의도가 줄어들어 이직률을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인-환경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조리사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업 몰입, 조직 몰입,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on Occup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ooks)

  • 제민지;김영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0-63
    • /
    • 2010
  •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개인-조직 적합성과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업 몰입, 조직 몰입, 그리고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조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 외식업 근무 조리사를 대상으로 총 210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AMOS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조직, 개인-직무 적합성은 직업 몰입과 조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조리사들의 직업 몰입은 이직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리사들의 조직 몰입은 아직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리사들의 이직 의도를 밝히는데 직업 몰입과 조직 몰입의 매개 역할을 이해하고, 선행변수로 개인-직무 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이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밝힘으로써 이직 의도를 원인을 본질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PDF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의 근무환경에서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erson-Job Fit on Organizational Devia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mbers' Work Settings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오창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101-1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정서몰입과 근속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직원 5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 정서몰입,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은 조직일탈행동에 부적영향을 직접 주며, 이들 중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직무부합이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직무만족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몰입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을 통해 조직일탈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조직 메모리 제공과 개인-직무,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역량을 매개로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Memory Affordance and Person-Job, Person-Organization Fi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Mediating Absorption Capacity)

  • 권재현;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274-284
    • /
    • 2020
  •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 수준이 그 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조직 메모리 제공이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의 수준에 따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흡수역량이 매개로 했을 때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317명을 대상으로 설문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조직 메모리 제공이 충분한 조직은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조직 메모리 제공은 개인-조직 적합성을 매개할 '때 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흡수역량을 매개할 경우는 개인-조직 적합만이 긍정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 조직 IT 구축환경과 구성원들의 조직과 직무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실증함으로써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보건소 간호사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n the Public Health Center Nurses :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 박시현;권동연;남혜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8-19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erson-job fit as the basis for a better job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45 public health center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verified for use by SPSS & AMOS 22 ver. to target to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First, the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s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mediated effect for nurse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nurses in government service containing permanent and temporal employees was the adjustment effe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 nurses to perform tasks related to person-job fit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In addi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good.

ERG요인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RG Factor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Job Fit)

  • 장준호;경성림;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3-28
    • /
    • 2021
  • 본 연구는 ERG 구성요소들인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ERG 구성요소들이 직무적합성을 매개로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조직애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핵심 변수로 직무적합성의 매개역할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내 공기업, 서비스업, 제조업, 유통업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ERG 세 개 하위요인들은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는 모두 직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적 합성은 조직애착 수준을 높여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개인직무적합성은 ERG 세 개 하위요인과 조직애착간의 관계에 있어서 모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중에서 직무적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 요인에 관한 연구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individual and team-level effects on psychological capital)

  • 한주희;임규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5호
    • /
    • pp.91-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fit(PO fit) and person-job fit(PJ fi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Present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naly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s. This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basis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and provide the foundation to integrate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to the actual organiz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domestic organizations and composed 47 team-level and 244 individual-level data.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ling(HLM)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 fit and PJ fi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t both team-level and individual-level.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the member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as follows. Positive relationships of psychological capital with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variables,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to magnify the strength of members in the actual operation at the organization level. Such the manag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be suggested as a new approach method for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goals and vis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