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i Curriculu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4초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인성교육 요소 분석 (Analysis on personality education element of discussion activity in the Nuri-curriculum guidebook)

  • 최인숙;안연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29-335
    • /
    • 2019
  • 본 연구는 인성교육 관련 요소가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인성교육 요소를 연령별, 생활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연령별 인성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만 5세, 만 4세, 만 3세 순으로 인성교육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연령에서 배려, 존중, 협력의 인성교육 요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효와 나눔은 다소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누리과정 지도서에 제시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생활주제별 인성교육 요소를 살펴보면, '유치원', '나와 가족', '우리동네', '환경과 생활' 등의 특정 주제에 인성교육 요소가 집중되고 생활주제별로 분포가 고르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인성교육 요소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자료로 균형 잡힌 인성교육 요소가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에 포함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Investig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Curriculum Experienced by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정;정경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323-345
    • /
    • 2020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경력 4년 이상 기독유아교사 10인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탐구하였다. 2018년 4월 4일부터 6월 24일 동안 개별면담(20회)과 집단면담(2회)의 총 22회 면담을 통해 전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를 범주화, 핵심 범주 도출, 자료 해석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송부하여 확인(member check)을 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검증받았다. 그 결과, 기독유아교사의 기독교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을 '교회교육을 누리과정에 적용', '누리과정을 교회교육에 적용', '교회교육과 누리과정 통합을 위한 학습자 이해'로 분석했다. 기독유아교사가 경험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탐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바람직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방안 모색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구강보건 관련 교육활동 분석 (Analysis on educational activity related to oral health contained in teachers guidebook of the Nuri curriculums)

  • 이성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05-111
    • /
    • 2018
  • 본 연구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구강보건 관련 교육활동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구강보건 관련 교육 활동의 분포, 형태 및 유형, 누리과정 관련요소 내용범주 및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구강보건 관련 교육활동 수는 총 29(1.37%)로 조사되었다. 활동형태는 대 소집단 활동이 15(51.72%), 자유선택 활동이 14(48.27%)로 나타났다. 활동유형은 대 소집단 활동에서 이야기 나누기가 7(24.13%)로 가장 많았고 자유선택 활동에서는 음율 영역이 4(13.79%)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누리과정 관련요소(5대 영역)는 전체 연령에서 신체운동 건강이 22(34.38%)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편성시 구강보건 전문가가 참여하여 구강보건 관련 교육활동이 더 많아지고 보다 균형 있고 실제적인 활동으로 재편성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활동의 내용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3~4 Year 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eachers)

  • 조숙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77-198
    • /
    • 2015
  • 본 연구는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준거에 의해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별, 생활주제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만3세 유아 '안전교육' 내용은 총 136개였으며 그 가운데 대 소집단활동에서 71개(52.2%)를 나타내었고 만4세는 총 124개를 보인 가운데 대 소집단 활동에서 58개(46.8%)를 나타내었다. 둘째, 만3세는 '생활도구'에서 25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21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는 '건강과 안전'에서 33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질병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12개의 활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만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 '안전교육' 활동을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하며 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각종 연수를 계획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유아 '안전교육'에 필요한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체험시설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긴다.

누리과정 중심의 그림책 활용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through Nuri curriculum)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55-62
    • /
    • 2017
  • 본 연구는 그림책 속의 인성요소를 분석하여 누리과정 중심의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그림책은 유아들에게 가장 친숙한 매체이며,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내의 인성요소(배려, 존종, 협력, 나눔, 질서, 효) 6가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분석한 인성요소를 참고하여 본 프로그램에 활용될 그림책 12편은 문학성, 예술성, 교육성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그림책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내 인성요소에서 각 2차시의 교육계획안을 고안하여 총 12차시로 고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교사 2인과 유아교육과 교수 2인의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추후 유아교육현장에서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각 연령 당 12차시의 활동을 적용한 후 효과검증이 요구되며, 유아들이 본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인성요소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유아인성교육 학습지도안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민주주의 실현으로서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이 주는 교훈: 누리과정 개편을 위한 논의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Lessons for Nuri Curriculum Reform)

  • 윤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73-393
    • /
    • 2015
  • 본 연구는 향후 있을 누리과정 개편에 앞서 자칫 재현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선례분석으로서 1960년 대 이후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의 역사와 절차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가 제공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역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를 10년 주기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1968년 이후 진행된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2012-2016/7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을 기간, 참여대상,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오랜 숙고기간, 아래에서 위로의, 모든 과정이 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다름 아닌 민주주의 실현의 장으로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이벤트로서 오랫동안 자리매김을 해오고 있었다. 이 글은 정책적 특성만이 아니라 교육적 특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개편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mponents for Early Childhood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rived from Expert Delphi Research

  • Jeong, Yeojin;Kim, Mijin;Chang, Taegwon;Yun, Sukyo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9-135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kindergartener horticultural education by deriving objective components of horticultural education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and then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when creating horticultural programs in the regular curriculum. Methods: A total of 32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indergarten directors, horticultural therapy professors, and horticultural therapists were selected as the Delphi panel. Of the 32 selected, only 29 answered all three rounds of the surveys. For the first round of the survey,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in the second and third rounds closed-ended questionnaires were used.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under the category of the goals of horticultural education, there were 7 items related to the current problems of horticultural education, 16 items related to the need for horticultural education in the smart age, 18 item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and 5 items related to the areas most suitable for horti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Nuri Curriculum. Results in the category of the implementa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indicated that 2 items related to horticultural education hours, 3 items related to the venue for horticultural education, 2 items related to the activity types applicable to the Nuri Curriculum, and 4 items related to the obj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erived. As the current problems of horticultural education, the following items were identified: event-oriented activity (M = 4.24) and lack of kindergarten teachers'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gardening education (M = 4.21). The results related to the necessity of horticultural education indicated the following items: education on respect for life through caring (M = 4.59),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ability (M = 4.55), directly experience of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M = 4.55), and development of the five senses (M = 4.55). Finally, within the direc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nurturing the desire to live with nature (M = 4.50), and learning about life (M = 4.44) was identified, which had higher averages. Within th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most consistent with horticultural education, nature exploration (M = 4.69) and the integration of all areas (M = 4.59) were derived as priorities. Also,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horticultural education, the following items were derived as the priority from the expert group: 30-40 minutes (M = 4.14) and 40-50 minutes (M = 4.14) for class periods, outdoor garden in a kindergarten(M = 4.66) for the venue of gardening education, outside play (M = 4.59) for the activity type, and vegetable crops (M = 4.55) for the objects of gardening activities.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goal and implementation of kindergartner horticultural education were objectively derived through collecting opinions of expert pan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implemented.

어린이집 보조교사의 역할기대 및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Expec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 조주연;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3호
    • /
    • pp.1-14
    • /
    • 2016
  •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assess role expectations and job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at daycare centers. In order to describe participants' experiences,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Van Manen's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findings showed that childcare teaching assistants suffered a gap between their role expectations and reality. They felt diverse emotions and doubt about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interactions with teachers in charge, directors, parents, and children. The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achieve better quality childcare programs. The implications to support the Nuri curriculum teaching assistants system were discussed in depth.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Language Activity Contents for Young Children from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Age 3-5)

  • 한선아;곽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11-52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12, 2013년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언어교육 활동의 내용분석을 통해 유아 언어교육에 대한 시각을 재조명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2013년도에 발행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생활주제별로 3세 10권, 4세 11권, 5세 11권의 총 32권에 제시되어 있는 언어교육 활동 966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기준은 내용체계별, 활동유형별에 따라 언어교육 활동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체계별 하위영역의 구성은 말하기, 듣기, 읽기와 쓰기의 순으로 언어교육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유형별 구성은 '동화 시', '이야기나누기', '언어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언어교육 활동에 대한 내용체계와 활동유형이 한두 가지 활동에 편중되어 있으며, 연령에 따라서도 비중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언어교육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고, 유아 언어교육과 교사용 지도서의 올바른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Drawback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of Nuri-educators)

  • 권은희;성영혜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187-200
    • /
    • 2012
  • 우리나라는 2012년 3월부터 만5세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무상으로 교육 및 보육서비스를 통합한 국가수준 공통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함으로써 양질의 교육 보육경험을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2013년부터는 3월부터는 3 4세 유아들에게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효과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을 구비한 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이다. 그럼에도 현재 유아교사 양성시스템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고 자격기준, 명칭, 교육연한, 교육커리큘럼, 양성기관 등도 모두 달라 유아교사의 균등하고 수준 높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의 확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일원화, 셋째,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일원화 및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일원화, 넷째,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 재조정, 다섯째, 유아교사의 직무영역과 내용 및 기준의 명확화 및 이에 준한 커리큘럼 체계화, 여섯째, 유아교사 양성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