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3~4 Year 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eachers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활동의 내용 비교 분석

  • Received : 2015.10.15
  • Accepted : 2015.12.1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 comparison analyzing the contents of child 'safety education' in Three-four-year-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eachers related activity type and activity form, life theme based on the criteria of analysis. First, the number of contents of child 'safety education' included in the 3 year 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eachers was 136, and among them, 71(52.2%) were from in big and small group activity. Total 124 contents were in 4-year old group and showed 58(46.8%) contents in big and small group activity.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Three-four-year-old Nuri curriculum handled highest number of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Twenty-five activities from 'appliances' among a total of 127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included and included 21 activities in contents of 'safety for object, tool, and apparatus.' Thirty-three activities among 'health and safety' among a total of 131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includ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chil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safety for disease' contents. It will be hope to suggest some of the providing child 'safety education' of Three-four-year-old in education fiel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various training related to child safety education. Moreover,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posing necessary manual and program for child 'safety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safety experience facility.

본 연구는 만3세와 만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준거에 의해 활동유형 및 활동형태별, 생활주제별로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만3세 유아 '안전교육' 내용은 총 136개였으며 그 가운데 대 소집단활동에서 71개(52.2%)를 나타내었고 만4세는 총 124개를 보인 가운데 대 소집단 활동에서 58개(46.8%)를 나타내었다. 둘째, 만3세는 '생활도구'에서 25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물건, 도구, 기구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21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4세는 '건강과 안전'에서 33개의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 '질병에 대한 안전'의 내용에서 12개의 활동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만3, 4세 연령에 따른 유아 '안전교육' 활동을 전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하며 유아 '안전교육'과 관련된 각종 연수를 계획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유아 '안전교육'에 필요한 매뉴얼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체험시설을 확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은복 (2000). 유아의 안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과정 모색. 유아교육학논집, 4(2), 53-70.
  2. 곽은복 (2004). 유아의 안전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예방 교육프로그램의 모형 설계. 유아교육학논집, 8(3), 63-79.
  3.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치원 지도서 : 건강과 안전. 서울: 두산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혼합연령(복식)학급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7. 교육부 (2000).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지도자료. 서울: 교육부.
  8. 권덕하, 한성림, 김혜경 (2011).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6(2), 183-194. https://doi.org/10.5720/kjcn.2011.16.2.183
  9. 김경희 (2007). 안전 동요를 중심으로 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2(1), 149-167.
  10. 김명, 김옥수, 조미숙, 홍양자 (2008). (통합적 접근을 통한)건강과학의 이해.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1. 김성희 (2000). 유아 안전 교육. 서울 : 창지사.
  12. 김영자, 박영희 (2010).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연구. 교육과학논문집, 16, 1-30
  13. 김인정 (2012). 보육시설 안전교육 안전사고 실태와 담임교사들의 안전교육 범위와 방법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4), 125-136. https://doi.org/10.12812/ksms.2012.14.4.125
  14. 남혜경 (2002). 보육시설의 영유아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진단과 프로그램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도남희 (2015). 유아기의 행복감 수준과 증진 방안: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발달지원.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박미경 (2011).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및 안전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박미영, 조희숙 (2009). 유아교사의 안전환경 관리 정도 및 안전교육 실천 정도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의 차이. 교사교육연구, 48(2), 1-19.
  18. 박용길 (2003). 유치원 안전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2(5), 619-634.
  19. 박은미 (2012). 영상매체를 활용한 재난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은혜, 조성연 (2009). 영유아의 질병관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정도.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235-250.
  21. 박해미, 신현주 (2006). 유아교육기관 및 보육시설이 평가인증 지표 비교연구: 건강과 영양,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보육정책연구, 2(2), 125-146.
  22. 박혜란 (2009). 유아 유괴 예방프로글램 효과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배정이 (2003). 어린이의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지식 및 발생 사례 분석 연구. 인문논총, 18(1), 629-642.
  24. 백서윤 (2013). 영유아교육시설 유형과 규모에 따른 교사의 안전교육 실태와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부성숙 (2013). 한국, 미국(NAEYC), 호주(QIAS)의 유아교육 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 '건강.안전 영역'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8(2), 77-105.
  26. 안전행정부 (2014). 안전행정통계연보. 서울: 안전행정부.
  27. 어린이집안전공제회 (2013). (2013 어린이집)보육교직원 안전교육. 서울: 어린이집안전공제회.
  28. 오가실, 심미경, 최은경 (2008).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자신감, 실천. 아동간호학회지, 14(2), 155-162.
  29. 오가실, 심미경, 최은경 (2009).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5(1), 5-14.
  30. 오효선 (2012).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아안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오효선, 홍혜경 (2013). 농촌지역 특성을 반영한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41-69.
  32. 원혜경, 조숙영 (2015). 유아 안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자료집.
  33. 유구종, 한명옥 (2015). 유아교사를 위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시안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17-344.
  34. 윤선하, 정윤경 (2012). 영유아기 어머니들의 안전지식, 안전인식과 안전실천과의 관계 연구. 육아지원연구, 7(1), 115-133.
  35. 윤선화 (2012). 유아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화재안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6(2), 112-122. https://doi.org/10.7731/KIFSE.2012.26.2.112
  36. 이기숙, 장영희, 배소연, 박희숙 (1997).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서울: 양서원
  37. 이상팔, 이순우 (2014).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38. 이송이, 송원경 (2014).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39. 이정원 (2014). 영유아 육아지원기관, 과연 안전한가.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0. 정미라, 박수경, 강은영 (2014). 실내 및 실외놀이에 대한 만 5세 유아들의 인식.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23-51.
  41. 정미라, 배소연, 이영미 (2007). 영유아를 위한 건강 및 영양교육. 서울: 양서원.
  42. 제미순, 유수경 (2013). 지역사회 및 학교조직의'협력'에 기초한 아동 영양교육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 나타난 참여 교사의 경험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49-173.
  43. 조남숙 (2011). 영유아의 가정과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안전교육에 관한 고찰. 한양논총, 15, 279-299.
  44. 조형숙, 배정호 (2014). Action-Learning에 기초한 영유아교사 건강교육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431-459.
  45. 조형숙, 유은영 (2011).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유아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건강소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99-624.
  46. 통계청 (2010). 사망원인통계연보. 대전: 통계청.
  47. 하나미 (2000). 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 분석 및 대책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한혜승 (2004). 유치원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홍순옥 (2014).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Allshouse, M., & Eichelberger, M. (1993). Childhood injury: A current perspective. Pediatric Emergency Care, 9(3), 159-164. https://doi.org/10.1097/00006565-199306000-00012
  51. Aronson, S. S. (2002). Healthy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 NAEYC.
  52. Ast, M. E. (1995). Preschool children's conceptualization of safety and moral ru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USA.
  53. Briggs, F. (1991). Child protection program can they protect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67, 61-72. https://doi.org/10.1080/0300443910670106
  54. Briggs, F., & Hawkins, R. M. (1994). Follow-up study of children of 5-8 years using child protection program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0, 111-117. https://doi.org/10.1080/0300443941000108
  55. Coates, L. (2012). Children at risk: Fire safety in schools. Five-Redbill Then Tunbridge Wells, 2, 40-41.
  56. Coppens, N., & McCabe, B. (1995). Promoting children's use of bicycle helmet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9(2), 51-58. https://doi.org/10.1016/S0891-5245(05)80002-1
  57. Hughes, K. (1992). Food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ssouri Extension University, USA.
  58. Kolbe, L. J. (2005). A framework for school health programs in 21st century. Journal of School Health, 75(6), 226-228.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5.00028.x
  59. Lubchenco, A. (1982). Good measure of safety: Safety in the home day care program. Day Care and Early Education, 10, 19-23. https://doi.org/10.1007/BF01616796
  60. Moran, K. (2010). Watching parents, watching kids: Water safety supervision of young children at the beach. Uman Kinetics, 3(4), 269-277.
  61. Morrison, G. S. (1998). Where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today(7th ed). NJ: Prentice-Hall Inc.
  62. Peterson, L., & Mori, L. (1985). Prevention of child injury: An overview of targets, method, and tactics for psychologis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 586-595. https://doi.org/10.1037/0022-006X.53.5.586
  63. Roderick, L. M. (2004). The ergonomics of children in playground equipment safety. Journal of Safety Research, 35(3), 249-254. https://doi.org/10.1016/j.jsr.2004.05.001
  64. Scott, R. J. (1992).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for preschool-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abama University, USA.
  65. Sewell, K, H., & Gains, S, K. (1993). Developmental approach to childhood safety education. Pediatric Nursing, 19(5), 464-466.
  66. Smith, P. K. (1994). The war play debate. In J. H. Goldstein (Ed.), Toys, play, and child develop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Sosin, D., & Dyck, P. (1993). Surface-specific fall injury rates on Utah school playground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3(5), 733-735. https://doi.org/10.2105/AJPH.83.5.733
  68. Tessier, K. (2010). Effectiveness of hands-on education for correct child restraint use by paren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2, 1041-1047 https://doi.org/10.1016/j.aap.2009.12.011
  69. Uchida, N., & Kobayashi, A. (2010).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ranger danger. Japanese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4), 134-135.
  70. Williams, A. F., & Lund, A. K. (1992). Injury control: What psychologists can contribute. American Psychologist, 47, 1036-1039. https://doi.org/10.1037/0003-066X.47.8.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