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s the Realization of Democracy: Lessons for Nuri Curriculum Reform

민주주의 실현으로서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이 주는 교훈: 누리과정 개편을 위한 논의

  • 윤은주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4.12.15
  • Accepted : 2015.02.07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forms in Finland since 1968. The history of Finnish educational system reform was firstly discussed in order to provide 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 curriculum reforms from 1968 to the present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Finnish curriculum reform processes. Secondly, I provided a contour of the history of Finnish curriculum reform,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revis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since the 2000s. Finally, the current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named the "2012-2016/7 National Core Curriculum Reform" was depicted in details: processes, participants, principles etc. In conclusion, th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reform processes provide lessons: long-term reform design, open reform process, and a variety of reform participants including beneficiaries of education and students, which were the ones who have been neglected so far in Korea. In short, the Finnish curriculum reform process can be considered a realization of democracy.

본 연구는 향후 있을 누리과정 개편에 앞서 자칫 재현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선례분석으로서 1960년 대 이후 핀란드 교육과정개편의 역사와 절차를 살펴보고 거기에서 교훈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가 제공한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역사를 고찰하기에 앞서 심층적 이해를 돕기 위해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를 10년 주기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1968년 이후 진행된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2012년부터 시작된 "2012-2016/7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을 기간, 참여대상, 절차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오랜 숙고기간, 아래에서 위로의, 모든 과정이 공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핀란드 교육과정 개편은 다름 아닌 민주주의 실현의 장으로서 전 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이벤트로서 오랫동안 자리매김을 해오고 있었다. 이 글은 정책적 특성만이 아니라 교육적 특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누리과정의 개편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연수 자료집.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김왕근 (2003).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에 관한 연구: 교실 수업 이해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연구, 35(2), 1-24.
  3. 김진숙 (2007).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연구의 과정과 결과. 유아교육연구, 27(1), 5-35.
  4. 박은혜, 신은수, 조형숙 (2012). 세계유아교육과정 동향에 비추어 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방향: 영국, 뉴질랜드,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487-514.
  5. 소경희 (2005). 영국의 국가교육과정 개정 및 시행절차 고찰. 비교교육연구, 15(2), 149-170.
  6. 소경희 (2011).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 국가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1), 87-109.
  7. 신은수, 황은희, 김다영 (2012). 미국, 캐나다, 영국의 유아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사회과학연구, 17, 1-18.
  8. 윤은주 (2013). 핀란드 교육성공 다시 되돌아보기: 교사일상을 중심으로. 스칸디나비아연구, 14, 49-78.
  9. 윤은주, 이진희 (2011). 위에서 아래로의 유아교육 질 향상에 대한 우려: 영국유아교육 개혁의 교훈. 열린유아교육, 16(5), 293-311.
  10. 이윤진, 송신영 (2009). 핀란드 육아정책: 세계육아정책동향 시리즈 7. 서울: 육아정책개발연구센터.
  11. 이정욱, 박진이 (2013). 어린이집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6), 339-365.
  12. 장명림 (2012). 3-5세 누리과정 도입의 의미와 향후 추진과제. 한국교육학회 2012년 학술대회 자료집(89-91).
  13. 정미라, 황석원 (2003). 프랑스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교육학적 논의. 열린유아교육연구, 8(3), 355-375.
  14. 조상연 (2014). 제4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 초등 통합교과의 발생적 의미. 통합교육과정연구, 8(1), 181-214.
  15. 태성란, 황혜정 (2013).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53-272.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핀란드 8월 교육동향. 2012년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동향연구사업. 서울: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17. 한유미 (2013). 스웨덴과 핀란드의 공보육 제도. 스칸디나비아연구, 14, 181-214.
  18. 한유미, 권정윤, 신미자 (2011). 북유럽 아동기와 유아교육. 서울: 한권.
  19. 허경철(2003).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편방식의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1(3), 1-25.
  20. 홍원표 (2011). 오바마 이후 미국 교육과정 정책의 동향과 쟁점: 국가교육과정을 향한 긴 여정과 불확실한 결과. 교육과정연구, 29(4), 137-160.
  21. 홍후조 (2000).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정치학 -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을 중심으로 - . 교육정치학연구, 7(1), 112-133.
  22. 후쿠타 세이지 (2006).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 최고의 학력으로 핀란드 교육의 성공. 서울: 북스힐.
  23. 후쿠타 세이지 (2007). 영국 교육의 실패와 핀란드의 성공. 서울: 북스힐.
  24. Aho, E. Pitkanen, K., & Sahlberg, P. (2006). Policy development and reform principles of basic and secondary education in Finland since 1968. Education working paper series.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25. Department of Education (1983). A nation at risk: The imperative for educational reform. National Commission on Excellence in Education.
  26.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0).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pre-primary education. (2015, February 5). http://www.oph.fi/english/curricula_and_qualifications/pre-primary%20_education.
  27.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4). OPS 2016: Curriculum reform in Finland. (2015, Feb ruary 5). http://www.oph.fi/english.
  28. Karkkainen, K. (2012). Bringing about curriculum innovations: Implicit approaches in the OECD area. OECD working paper.
  29. Meinander, H. 2011). A history of Finland. London: Hurst & Company.
  30. Niemi, H. (2012). The societal factors contributing to education and schooling in Finland. In Niemi, Toom & Kallioniemi (Eds.), Miracle of educatio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finnish schools (pp.19-38). Neverlands: Sense Publishers.
  31. Niemi, H., Toom, A., & Kallioniemi, A. (2012). Miracle of educatio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finnish schools. Neverlands: Sense Publishers.
  32. Sahlberg, P. (2011). Finnish lesson: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NY: Teachers College Press.
  33. STAKES (2003).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Finland. (2015, February 5). http://www.oph.fi/english/curricula_and_qualifications/pre-primary%20_education.
  34. Viti kka, E., Krokfors, L., & Hurmerinta, E.(2012). The finnish national core curriculum. In Nie mi, Toom & Kallioniemi (Eds.), Miracle of educatio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eac hing and learning in finnish schools (pp.83-96). Neverlands: Sense Publishers.

Cited by

  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of primary design education of Finland: Focused on case of N Primary School vol.41, pp.None, 2015, https://doi.org/10.35657/jae.2015.41.0.004
  2.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교사교육 콘텐츠 개발 탐색연구 : 유아교사의 프로젝트 실행과정을 중심으로 vol.36, pp.3,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5.36.3.195
  3. 핀란드 가정과 교육과정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 연구 vol.31, pp.4,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19.12.3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