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king Status Indicato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Locking 상태 표시기를 이용한 저잡음 고속 위상고정 루프 (A Fast Lock and Low Jitter Phase Locked Loop with Locking Status Indicator)

  • 최영식;한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82-586
    • /
    • 2005
  • 본 논문은 locking 상태에 따라서 루프대역폭이 변화하는 Phase Locked Loop (PLL)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PLL은 기본적인 PLL 블록과 NOR Gate, Inverter, Capacitor, 그리고 Schmitt trigger로 이루어진 Locking Status Indicator(LSI) 블록으로 구성되었다. LSI는 Loop Fille.(LF)에 공급되는 전류와 저항 값을 locking 상태에 따라 변화시켜서 unlock이 되면 넓은 루프대역폭 가지는 PLL로, lock이 되면 좁은 루프대역폭을 가지는 PLL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PLL은 짧은 locking 시간과 저 잡음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제안된 PLL은 Hynix CMOS $0.35{\mu}m$ 공정으로 Hspice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40us의 짧은 locking 시간과 -76.1dBc 크기의 spur를 가진다.

A DLL Based Clock Synthesizer with Locking Status Indicator A DLL Based Clock Synthesizer with Locking Status Indicator

  • Ryu Young-Soo;Choi Young-Shi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3호
    • /
    • pp.142-145
    • /
    • 2005
  • In this paper, a new programmable DLL (delay locked loop) based clock synthesizer is proposed. DLL has several inherent advantages, such as no phase accumulation error, fast locking and easy integration of the loop filter. This paper proposes a new programmable DLL that includes a PFD(phase frequency detector), a LSI(lock status indicator), and a VCDL(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to generate multiple clocks. It can generate clocks from 3 to 9 times of input clock with $2{\mu}s$ locking time. The proposed DLL operating in the frequency range of 300MHZ-900MHz is verified by the HSPICE simulation with a $0.35{\mu}m$ CMOS process.

시간 차 감지기를 사용한 고속 위상고정루프 (Fast locking PLL with time difference detector)

  • 고기영;최혁환;최영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1-69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시간 차 감지기와 LSI(Lock Status Indicator)를 사용하여 빠른 위상고정 시간을 갖는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1.8V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H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의 동작을 검증하였다.다음은 요약문입니다.

  • PDF

Early-late 감지기를 사용한 고속 단일 커패시터 루프필터 위상고정루프 (Fast locking single capacitor loop filter PLL with Early-late detector)

  • 고기영;최영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39-34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Early-late detector, Duty-rate modulator, 그리고 LSI(Lock Status Indicator)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와 빠른 위상고정 시간을 갖는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작은 용량을 가진 하나의 커패시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칩의 크기를 결정하는 루프필터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크기를 최소화 하였다. 기존의 전하펌프와 달리 2개의 전하펌프를 사용하여 하나의 커패시터를 사용하더라도 2차 루프필터를 사용 한 것과 같은 전압파형을 만들어 줌으로써 위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 2개의 전하펌프는 UP, DN신호 위상의 빠르기를 감지해주는 Early-late detector와 일정한 비율의 파형을 만들어주는 Duty-rate modulator에 의해 제어된다. LSI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빠른 위상고정시간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1.8V $0.18{\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고, H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회로의 동작을 검증하였다.

다중 전하펌프를 이용한 고속 위상고정루프 (A Fast Locking Phase Locked Loop with Multiple Charge Pumps)

  • 송윤귀;최영식;류지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2호
    • /
    • pp.71-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전하펌프를 이용하여 빠른 위상고정 시간을 갖는 새로운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 루프는 세 개의 전하펌프를 사용하여 루프필터의 실효 커패시턴스와 저항을 위상고정 상태에 따라 각 전하펌프의 전류량 크기와 방향 제어를 통해 증감시킬 수 있다. 위상고정루프의 위상고정 상태에 따라 루프 대역폭을 제어하여 빠른 위상고정 시간을 갖는 위상고정루프를 설계하였다. 또한 전체 칩 영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커패시터의 크기를 제안된 구조로 최소화하였다. 저항과 커패시터를 모두 포함한 29.9KHz의 대역폭의 위상고정루프를 $990{\mu}m\;{\times}\;670{\mu}m$ 크기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 루프는 3.3V $0.35{\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851.2MHz 출력 주파수에서 측정된 위상 잡음은 -90.45 dBc/Hz@1MHz이며, 위상고정시간은 $6{\mu}s$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두 개의 입력을 가진 VCO를 이용하여 루프필터와 스퍼 크기를 줄인 위상고정루프 (A Loop Filter Size and Spur Reduced PLL with Two-Input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최영식;문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68-107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위상고정 상태에 따라 활성화 되는 루프가 다르게 설정하고,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전압제어발진기를 사용하여 스퍼를 억제함과 동시에 루프필터의 크기를 줄이는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동작 상태에 따른 안정도 분석을 통하여 위상고정 후에는 위상고정루프가 안정적으로 동작되게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루프 필터의 커패시터는 위상고정루프에서 큰 면적을 차지한다. 두 개의 전하펌프에 의한 동시 충 방전 동작을 통해 커패시터의 유효커패시턴스를 증가시켜 루프필터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서로 반대 위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신호를 입력으로 가지는 전압제어발진기로 스퍼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었다. 위상고정 상태를 알려주는 LSI(Locking Status Indicator)를 사용하여 위상고정 시간은 $80{\mu}s$가 되도록 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1.8V의 공급전압과 $0.18{\mu}m$ CMOS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저항 및 커패시턴스 스케일링 구조를 이용한 위상고정루프 (A Phase Locked Loop with Resistance and Capacitance Scaling Scheme)

  • 송윤귀;최영식;류지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4호
    • /
    • pp.37-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전하펌프를 이용하여 저항과 커패시턴스 크기를 변화시키는 구조의 새로운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세 개의 전하펌프를 사용하여 루프필터의 실효 커패시턴스와 저항을 위상고정 상태에 따라 각 전하펌프의 전류량 크기와 방향 제어를 통해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좁은 대역폭과 작은 루프 필터 저항 값을 가능하게 하여 좋은 잡음 특성과 기준 주파수 의사 잡음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제안된 위상고정루프는 3.3V $0.35{\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851.2MHz 출력 주파수에서 측정된 위상 잡음은 -105.37 dBc/Hz @1MHz이며, 기준 주파수 의사 잡음은 -50dBc이다. 측정된 위상고정시간은 $25{\mu}s$이다.

낮은 잡음 특성을 가지기 위해 이중 루프의 구조를 가지는 위상고정루프 구현 (Design of Dual loop PLL with low noise characteristic)

  • 최영식;안성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19-8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위상 고정 루프를 병렬 형태로 이중 루프를 구성하였다. 두 개의 루프를 통해서 전달 특성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대역폭을 만든다. 대역 폭의 형태는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위상 고정 루프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위상고정루프는 두 가지 필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두 개의 기울기 값을 가지는 전압제어 발진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정확한 위상 고정을 위하여 위상 고정 상태 표시기를 사용하였다. 전체적인 위상 고정 루프가 안정적인 동작하기 위하여 각 각의 루프가 각각 $58.2^{\circ}$, $49.4^{\circ}$의 위상 여유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루프를 합쳤을 때에도 $45^{\circ}$이상의 안정적인 위상 여유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제안된 위상 고정 루프는 1.8V 0.18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 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이중 루프를 가지고 위상고정루프의 구조가 원하는 출력 주파수를 생성하며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Preventing Varus Deformity in Senile Patients with Proximal Humerus Fractures and Poor Medial Support

  • Kim, Young-Kyu;Kang, Suk-Woong;Kim, Jin-W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4호
    • /
    • pp.216-222
    • /
    • 2016
  • Background: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ibular strut allograft augmentation of proximal humerus fractures to prevent varus deformity in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with insufficient medial support.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locking plate fixation with adjunct fibular strut allograft augmentation in 21 patients with proximal humeral fracture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ge (65-year-old or older); presence of severe medial comminution; inadequate medial support; and those who could participate in at least a one year follow-up. The average age was 76.4 years. We analyzed each patient's Constant score, our indicator of clinical outcome. As radiological parameters, we analyzed time-to-bone union; restoration of the medial hinge;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ly post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humeral neck-shaft angles;; and anatomical reduction status, which was assessed using the Paavolainen method. Results: A successful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at an average of 11.4 weeks. We found that the average Constant score was 74.2, showing a satisfactory outcom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humeral neck-shaft angles between the immediately postoperative time-point and at the final follow-up was $3.09^{\circ}$. According to the Paavolainen method, the anatomical reduction was rated excellent. The medial hinge was restored in 14 of 21 patients. Although we did not find evidence for osteonecrosis, we found that a single patient had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of screw cut-out. Conclusions: Fibular strut allografting as an adjunct treatment of proximal humeral fractures may reduce varus deformity in patients with severe medial commin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