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Success factors(CSF)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9초

지식경영 실천기업의 프로젝트 성공요인과 전략 (Key Success Factors and Strategies from KM Practice)

  • 이주희;권태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3권2호
    • /
    • pp.85-101
    • /
    • 2002
  •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e knowledge management(KM) have been perceived still developing in the field. And, the literature shows many key success factors for KM, but, in more conceptual and abstract term. Companies interested in knowlege management demand for practical guidelines. Based o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KM, this study classifies key success factors identified from thirty three success cases, domestic and in other countries. Further, fifteen propositions are suggested and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and project management in KM.

  • PDF

주요성과요인분석과 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철강산업에의 적용사례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 Analysis and its Usage : An Aplication Study to the Steel Industry in Korea)

  • 문태수;신영종
    • 경영과학
    • /
    • 제8권1호
    • /
    • pp.13-25
    • /
    • 1991
  • Over the p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competitive advantage. A sustainable advantage is the key to the survival and growth of a firm.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dependent on efficient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But the correct and complete information, requirements for effective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are frequently very difficult to obtain. In this paper th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method was employed as a means of managerial information requirements analysis for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in Korea's steel industry. CSFs are one of the few areas of activity that must go well to ensure the success of an organization.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 and hierarchy of CSF analysis as a methodology in identifying corporate information needs and concludes with the use and benefit of results of CSF analysis.

  • PDF

균형성과표(BSC)에 의한 건설산업의 주요성공요인과 성과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BSC Perspective of an Exploratory study of Developing CSF/KPI Pool i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 오익진;이정훈;이중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6
    • /
    • 2006
  • In recent years, academic scholars and practitioners have give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including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metrics. The Balanced Scorecard (BSC) is known as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that helps an enterprise to translate strategic objectives into relevant performance within an organization. While the current literatures and management articles offer BSC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re are few reports of detailed validation of using the rationalized sets of CSF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first propose the perceived sets of CSF/KPI using current literatures and validate with a major construction company's executives and senior managers in Korea. The paper then examines whether the perceived sets of CSF/KPI have co-relationships with the firm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tribute in heightening of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in strategic and performance management.

BSC-AHP-IPA를 활용한 바다숲 조성사업의 운영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by BSC, AHP and IPA)

  • 조순제;홍재범
    • 수산경영론집
    • /
    • 제48권1호
    • /
    • pp.31-49
    • /
    • 2017
  •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on a balanced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by using BSC, AHP, and IPA.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ly to analyz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roject and to suggest the future improvement plan. For this purpose, We will first determin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KPI) requir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from the four perspectives of BSC. And, After determining the weight for each of CSF, KPI, and four perspectives of BSC by using AHP, we will measure the project performance. We will also conduct IPA analys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rawn 8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16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four BSC perspectiv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xpert interview survey. Second, as a result of deriving relative importance of BSC perspectives using AHP, customer perspectiv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inancial perspectiv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and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SC perspectives using IPA, customer perspective was the maintenance reinforcement category, financial perspective was the key improvement category,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were gradual improvement category. This study has a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erms of BSC first tri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lead to various discussions for a balanced and comprehensive verification of Marine Forest Creation project performance.

RFID/USN기반 물류/유통 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BSC 프레임워크 (A BSC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RFID/USN based Logistics/Distribution Systems)

  • 박정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2014
  • Many systems using RFID/USN were and are being developed. Some systems are used in practice and some are not. Generally, the main reasons not being used are: The prices of chips are too high considering the effects. The application domain is not appropriate for RFID/USN. So, various skills for higher sensing precision have been introduced like using multiple sensors and avoiding metals which deter sensings seriously. Now, it is time to evaluate systems which were developed using RFID/USN technology. However, no systematic approach has been made for the evaluation. In this paper, a framework using BSC is introduced for the evaluation of systems using RFID/USN. In this framework, some Critical Success Factors(CSF) are derived and some Key Performance Indices(KPI) are developed for each CSF.

IMO 협약이행에 대한 평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Model for the Implementation of IMO Instruments)

  • 최충정;정중식;안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2-548
    • /
    • 2022
  • 해양사고의 감소를 위하여 국제해사기구(IMO) 체약국 정부에서 IMO 협약 및 규정에 대한 이행은 필수적이다. IMO 협약이행코드(III Code)에서는 각 주관청에게 협약이행을 주기적으로 점검 및 평가하여 개선하는 체계를 갖추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성과지표를 평가방법에 포함하도록 요구하고 있음에 따라 회원국은 자국의 협약이행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주관청의 협약이행 수준을 계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대표적인 평가측정 기법인 균형성과표(BSC) 및 핵심성과지표(KPI)를 활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논문의 결과로서, III Code 요건에 BSC 개념을 적용한 III-BSC 관점에서 수립된 비전의 달성을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핵심성공요인(CSF)을 도출하고, 도출된 CSF를 측정할 수 있도록 평가영역별 후보 KPI를 개발하여 4계층의 초기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SMART 기법을 활용한 조사설계를 통해 KPI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연구모형을 완성하였다. 또한, 개발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AHP 분석을 통해 각 계층별 요소의 가중치를 도출하여 BSC 기반 IMO 협약이행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평가모델이 정량적으로 IMO 협약이행 수준을 파악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IMO 회원국들의 협약이행 수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SC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BSC System Implementation in Korean Public Firms: Focused on KOTRA)

  • 김성수;이학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33-257
    • /
    • 2007
  • 1992년 BSC가 소개된 이후로 회사에서 직원의 행동과 목표에 조직의 전략을 조절하는 효과적인 관리도구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비록 사람들은 많은 회사들이 BSC를 통하여 그들의 업무에서 많은 효과성을 높였다고 알고 있지만, 공기업의 경우는 민간기업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경영혁신 도구로서 BSC 구축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공기업들 중에서 KOTRA의 BSC는 초기에 도입되었고,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KOTRA의 BSC 시스템 구축사례를 통하여 성공요인들과 문제점들을 제시하였고, 나아가서는 국내 공기업에서 BSC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는데 좋은 참조모형이 되리라 사료되어진다.

중소기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BSC 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 I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BSC Development of a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Performance Evaluation)

  • 지성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83-9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중소 제조기업인 I사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하고 경영환경에 맞는 BSC를 구축하는 것으로, 다른 중소기업들이 이 사례연구를 통해 BSC 구축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과정과 각 과정별로 중요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BSC가 구축된 이후 기업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요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라 주요 사업부문이었던 RDS에서 새로운 SSS로의 사업전략의 변화를 목표로, 사례기업에 맞는 BSC를 구축하였다. 전사적 차원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전략체계도를 작성하고 각 관점별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및 핵심성과지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전체 뿐 아니라 각 팀별로 스마트차트를 작성하여 관점별 점수와 전략목표, 핵심성공요인, 핵심성과지표의 가중치와 목표점수, 실적, 달성율까지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중소기업 맞춤형 성과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SWOT분석을 이용한 건설CALS의 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 of Construction CALS using SWOT Analysis)

  • 정인수;김남곤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7-340
    • /
    • 2007
  • 건설교통부에서는 건설부문의 정보화를 선도하고자 건설CALS를 시작하였다. 건설CALS는 공공건설부문을 정보화하고 건설인의 정보화마인드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투자대비 비용절감 효과도 큰 반면, 시스템의 노후와와 개발한 시스템의 확산전략 미수립 등의 이유로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현 시점에서 건설CALS의 현주소를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나아갈 바를 정립하고 도입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가 있는 SWOT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건설CALS가 지향해야 할 핵심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건설CALS를 둘러싼 내${\cdot}$외부환경을 고찰하여 25개의 강점, 약점, 기회 및 위협요인을 도출하였으며 SO, ST, WO, WT 기본전략을 수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14개의 핵심성공요인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요인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건설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검증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들은 향후 건설CALS가 나아갈 이정표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성공요인 달성을 위한 중점 추진분야 선정, 세부연구과제 도출 등의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 PDF

IPP 제도의 성공적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Successful Introduction and Operations for IPP Program)

  • 이문수;오창헌;김남호;하준홍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6-92
    • /
    • 2012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공학교육의 새로운 혁신모델로 도입예정인 산/학/관 연계 장기현장실습(IPP) 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 운영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성과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 및 업그레이드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성과평가 논리모델 및 핵심성과 지표는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IPP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성과평가 체계(모델)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평가를 위한 핵심성공요인(CSF) 및 핵심성과지표(KPI)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IPP 프로그램 참여 학생들의 성과평가 프로세스를 포함한 운영성과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운영안을 제시하고 한국형 Co-op 모델인 IPP 제도가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산업체인사 대상 FGI, 한기대 재학생 및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