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Art Therapy Pro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Children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현옥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심리적 적응에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고 보며, 집단미술치료를 연구하여 그 효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미술작업경험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차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 그리고 내면의 욕구를 미술적 표현을 통해 객관화하고 수용 및 해소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능동적인 자기표현, 자발성, 정서표현을 촉진하는 비구조적인 집단미술치료 환경가운데 자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으며, 점차 능동적인 태도 즉, 자발성을 회복하는 경험을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키울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미술치료가 갖고 있는 고유의 독특한 측면들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에게 서로 언어만으로는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High School Girls)

  • 신은미;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313-325
    • /
    • 2018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 S시에 소재하는 S여자고등학교에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양적 및 질적 통합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여고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통합적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양적 분석 시에만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반면, 학교생활적응은 질적 분석 시에만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고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아동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rt Therapy for the Behavior mod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신화정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227-24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challenging behavior of schoolchildren. For this purpose, I selected one class of 4th year student of S primary school, located at Jeongeup city, Jeonlabukdo, and selected 4 study subjects through examination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characters, school life and K - HTP test. With regard to procedure of this study, I carried out art therapy program at the art class for 60 minutes one time a week for 4 months, a total of 17 sessions from Apr. 3, 2007 to July 24, 2007. I made this program with some modification in reference to Arts Therapy Technique (Counpia Remote Training Center, 2005), Group Art Therapy (Choi Seon Nam. Kim Gap Sook. Jeon Jong Kuk, 2007) and the Effects of Peer Group Art Activity on Sociality Skill of Offensive Children (Park Ju Yeon. Lee Byeon In, 2005). For each child,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behavior by K-HTP (dynamic house-wood-human figure test) analysis and by school life(KSD) image analysi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 also carried out qualitative analysis on behavioral feature of each child for each session.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ild A showed positive change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rt treatment program of score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Since he was so active and wanted to obtain good evaluation from anyone that he frequently had quarrel with friends, spoke against others well and beaten others much but was changed and did not speak against others or beat. Second, child B showed clear difference in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rt treatment program of score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However, I observed substantial changes. While he could not speak frankly to others, felt empty in mind and was offensive in personal relations, he was changed, did not have quarrel with others or speak against others that much and improved his relationship with friends or teachers. Third, child C showed positive change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after art therapy program. In comparison of K-HTP image test and school life treatment before and after treatment, he still longed for mothers in mind but found rather stable after treatment. Fourth, child D showed positive chance in score of K-CBCL children. juvenile behavior evaluation scale after art therapy program, but almost no changes in K-HTP image test. But he depicted good relationship and socializing with other friends in school life. While he could not carry his point due to social immaturity and felt depressed, he got more confident. This result of study showed that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correction of schoolchildren.

  • PDF

의미요법을 활용한 통합예술치료가 신입소방공무원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 Therapy Using Semantic Therapy on the Meaning of Life of New Fire Officials)

  • 이근출;박경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integrated art therapy on the life meaning of new firefight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selected 108 newfirefighters to be hired as part of the new training center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Out of 108 participants, consisting of 54 volunteers, conducted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once a week, 60 minutes each, and eight sessions. Research tools carried out pre - and post-inspection testing using a scale of meaning in life. For data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program.The study found that integrated art therapy using semantic therap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The experimental group has made positive changes in its pursuit of meaning, finding meaning, and discovering meaning in life rather than in control groups. In other words, the new fire fighting public officials' ability to positively change in difficult situations,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overcome difficulties was improved. In particular, he showed changes such a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people and life, clarity of purpose and efforts to change him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review the fire school program aimed at fostering firefighters with a balanced body.

자살 위험군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Suicide)

  • 김정란;김희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43-55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 2개 중학교에서 선별 된 학생 중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하였다. 실시전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총 22명 중 11명은 실험집단에 11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2회, 9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살생각 관심군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살생각 관심군 청소년들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살생각 관심군 청소년들의 자존감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주 후 추후 검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대한 개입과 향후 연구의 실질적인 함축적 의미를 제안했다.

미술요법이 노인의 인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t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 최연희;전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3-331
    • /
    • 2013
  • Purpose: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using a collage medium and reminiscence therapy prevented or reversed dementia, prevented depression, and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at high risk for dementia in community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is study used a pre-post design. The subjects consisted of a random sample of women over 65 years of age who had been registered as being at high-risk for dementia at the Public Health Center of the G City, and the Dementia Support Center. Of these elders, 30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3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 weeks. $x^2$-test, t-test, Wilcoxon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program,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can be utilized in community-based nursing practices by identifying and registering those who are at high risk for dementia. The results should prove useful when designing future intervention strategies targeting elderly individuals residing in communities.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Improvement)

  • 김미희;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13-623
    • /
    • 2017
  • 본 연구는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시 00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A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생활적응력 척도에서 3학년 최하수준 학급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4년 10월 1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를 사전 사후로 비교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정서조절과 학교생활적응력 척도 변인의 사후검사 점수의 집단 간 비교에서 사전을 고려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아동의 정서조절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력은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학급단위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아동의 정서변화 과정을 통해 적절히 정서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시에 자연스럽게 학급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또래관계 형성을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학교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Maladjusted Adolescents)

  • 양지원;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61-673
    • /
    • 2015
  • 본 연구는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 K시 K중학교에 다니는 학교부적응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김지은(2005)의 학교생활적응척도로 사전검사 후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2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4년 9월15일부터 2014년 12월 22일까지 사전 사후검사를 포함한 총 12회기의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맨 휘트니 U 검정(Mann 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는 학교부적응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력을 향상시켰으며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engths Perspective Group Art Therapy on Stress, Depression, and Impulsivity of Middle School Male Smoking)

  • 김정희;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37-347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하는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충동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A시에 소재한 2곳 중학교에서 흡연 대상자 15명을 유의표집 하였고 이 중 미술치료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실험집단 8명과 그 외 통제집단 7명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집단의 수가 15명인 점을 감안하여 비모수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는 흡연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z=-2.521, p<.05), 우울(z=-2.527, p<.05), 충동성(z=-2.371, p<.05)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강점 관점 집단미술치료가 흡연 남자 중학생의 심리적인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찾을 수 있고 나아가 흡연 중학생의 심층적인 정서상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리라 본다.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의 우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 조희정;정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7-33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의 우울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충청북도 지방 공무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3월까지이며 실험군 대조군을 무선배정하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1주일 전·후에 K-BDI와 직무만족도 검사를 통해 우울 점수와 직무만족 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을 사용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대조군 대비 실험군 공무원의 우울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대조군 대비 실험군 공무원의 직무만족 상승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충청북도 지방 공무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감을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일 지방 공무원 개인의 정신건강은 물론 공무원 조직의 생산성 및 주민 서비스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집단미술치료가 지방 공무원 개인의 정신건강과 조직 생산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