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최혜원(2019).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여성가족부(2019).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별첨1) .
|
3 |
제갈민정(2019).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표현 및 자발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4 |
이화자(2009).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 |
김언화(2018). "한부모가정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6 |
황진하(2016). "놀이 활용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통합학급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7 |
김희정(2009). "무기력을 보이는 아동의 미술치료 단일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 |
진아영(2016).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기통제와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9 |
장서연(2013). "아동미술치료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0 |
옥금자(2016). 집단미술치료 방법론(I): 이론과 기법. 서울: 하나의학사.
|
11 |
Rubin, Judith Aron(1978, 2007). Child Art Therapy (25th Edition). Wiley. 이정숙(2009). 아동미술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
12 |
천은영 외(2016). 미술치료. 서울: 동문사.
|
13 |
이진희(2016). "집단표현예술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