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영재 초등학생들의 지적 배경 조사

  • 박상우;정병훈;박종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5
    • /
    • 2002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센터에 선발된 학생들의 가정 환경, 지적 선호, 장래 희망, 지적 과외 활동 등으로 구성된 지적 능력의 배경을 조사하고, 지적능력에 대한 수용 태도와 그 태도를 나타내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의 가정은 대체로 경제적으로 교육을 시키는데 어려움이 없었으며, 지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환경을 갖고 있었다. 과학영재 학생이 순수과학자가 되기를 희망하는 경우 이들은 과학과목을 좋아하고, 과학 책을 즐겨 읽으며 남학생일 경우가 많았다. 지적 능력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수용 태도는 대체로 지능에 대한 자신감은 크지 않았지만 학습을 통하여 지식이 많아지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의 요인으로 자기의 지능에 대한 다른 사람의 높은 기대, 과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여유, 학습에 의해 지능과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지능에 대한 자신감과 상황 참여에의 적극성 등 4가지 요인을 정의하였다.

수.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for the Gifted in Mathematics or Science)

  • 강지연;이재호;진석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69-48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과학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와 관련하여 영재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초등학교급 수학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받고 있는 영재학생 및 이들의 학부모, 그리고 이들의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이들에게 실시된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수학 과학영재교육기관에서의 예술교육 필요성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확인, 수학 과학영재교육기관에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의 프로그램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통한 교육요구 확인, 수학 과학영재교육기관에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어떤 방법으로 운영되어야 할지에 대한 의견 확인 등을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해 보면, 수학 과학 영재교육원에서의 예술교육 실시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우호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과학과 예술을 통합교과로 개발하여 교육하는 것을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예술교육 보강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영재학생들의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경험 (Gifted Students' Differentiated Experiences in Science Classes)

  • 박민정;전동렬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531-546
    • /
    • 2011
  • 영재학생에게 적합한 세분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교, 학원, 영재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수업에서의 세분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서울 지역의 특정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는 중학교 2학년 학생 90명이 세분화 경험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장소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영재원에서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 받은 경험 있는 반면 학교에서는 주로 교과서를, 학원에서는 자습서를 활용하여 수업을 받고 있었다. 또한 학교나 학원에서 형성평가를 자주 치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속도가 빠른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 없는 활동이나 복습 및 문제풀이에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주로 학교 과학 수업을 통해 스스로 흥미를 탐색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흥미를 바탕으로 집단을 구성하는 노력은 영재원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의 선택과 수업 내용을 미리 익힌 학생을 위한 교사의 준비에 대한 응답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학생 영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한성희;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97-11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l)gifted middle school students'perception about Support fr~mpe ople around them, (2)the types of social support, (3)the number of support, and (4)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above and the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On the whol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ed social support and their adjustment to school of life was higher than that of average students'. The rriore the students perceived support and help around them, the more they adjusted to their schlml life. The better important relationship was that of teachers' support and the student.,' adjustment to shool life. Namely, when the students perceived their teacher(support, their adjustment to a new school was greater. This study brmrght to atterltion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tudents' specific character. In additio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 students was to be encouraged.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sim}2006$년도 연구물 분석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 한기순;양태연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38-36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영재교육 관련 연구물의 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변화상을 분석하고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등 영재 교육 관련 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학술지와 함께 한국학술정보원의 자료 중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총 35종의 학술지에서 521개의 논문과 49개의 박사 학위 논문이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영재관련 논문을 크게 연구 주제와 연구대상, 연령 및 학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도별 추이도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며 그 다음으로는 영재성의 요인 및 발달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예상대로 수학/과학 영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언어영재와 예술영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2005년 들어 미성취 영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학년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보다 초등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2004년에 들어 유아영재에 대한 연구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와 상관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에 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 음악, 미술, 무용영재를 중심으로 (A Study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Gifted Students in Arts)

  • 이현주;이미나;이화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47-570
    • /
    • 2010
  • 본 연구는 예술영역(음악, 미술, 무용)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예술영재들의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의 탐색을 위해 59명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학생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별 특성과 관련해서는 예술영재의 재능 특성과 예술적 재능이 발현되는 과정 및 예술적 성장 요인에 있어서 분야별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들은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있어서는 공교육 차원보다는 사교육차원의 교육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과 무용분야의 교육비용이 미술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술영역에서의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예술영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차후 우리나라 예술영재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Who are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Parent and Teacher Perspectives

  • Bicknell, Brend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63-73
    • /
    • 2009
  • This paper reports on student, parent, and teacher perspectiv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The data are extracted from a two-year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d multiple perspectives, school policy documents and program provision for 15 mathematicall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ged from 10 to 13 year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identification and program provision.

  • PDF

과학영재교육에서의 상대론적 개념에 대한 학생 사례 분석 (An investig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relativity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 배새벽;김영화;김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71-91
    • /
    • 2004
  • 고등학생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상대론 교육을 위해, 과학영재학교로 지정된 부산과학고등학교의 학생 사례 분석을 통한 상대론적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를 제시한다. 특수 상대론이라는 현대 물리 분야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이해도 변화 및 가능한 원인들을 조사하였다. 사전 조사와 사후 조사의 비교 분석에 의하면, 상대론적 개념들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가 교육을 통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 사례 분석을 통해 상대론적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및 오개념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상대성 원리의 타당성, 광속 불변의 원리가 고전 물리학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낮은 이해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개념들에 대한 조사는 고등학생 과학영재의 올바른 개냄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고안에 여러 가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TEAM Education for the Gifted)

  • 안혜란;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401-42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의 융합인재교육(STEAM; 이후 STEAM교육으로 통일)의 연구 동향과 영재교육에서의 STEAM교육 연구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영재 STEAM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영재 STEAM교육의 연구를 위한 개선점을 제언하는데 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교육 연구는 최근 2~3년간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STEAM교육 연구에서 영재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STEAM교육 연구와 영재교육에서의 STEAM교육 연구 모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영재교육에서의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과학중심 연계형 융합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술영역은 미술이 융합된 프로그램 중심에서 차츰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5가지 융합 요소를 모두 포함한 형태가 가장 많았다. 학습형태는 STEAM 준거 교수학습모형이 가장 많이 개발되었으며 영재의 특성에 맞는 학습 모형을 적용한 다양한 학습 형태가 연구되고 있다. 프로그램 적용 연구로는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영재 심화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교사와 영재아의 평가 비교 연구

  • 장영숙;조석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5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degree of students' improvement in terms of creativity after participating in enrichment programs for the gifted. Two topics in each of the Language Art and Mathematics were implemented to gifted students in grade 2 and 3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 province and one privat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12 times during the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gifted students could monitor their performances very well and the evaluation of their creativity were consistently more positive than that of their teachers who taught them. They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regarding their creativity in mathematics than in Language Art. The results imply that young gifted children can evaluate their creativity reliably and consistently. Therefore, the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consider their own evaluation about their creativity in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In the following studies, it is necessary to have pro- and post-test data on creativity collected by diverse methods and to include older students as subjects to see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eneralizable to older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