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e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32초

Chinese Franchise Supermarkets : Future Development and Core Competence-Raising Measures

  • Li, Dong-xin;Kang, Tae-won;Lee, Yong-Ki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2권1호
    • /
    • pp.61-73
    • /
    • 2011
  • Supermarket Franchising, as a relatively new mode of retail business,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two hallmarks of the "Modern Logistics Revolution". After more than ten years of development, franchise supermarkets have been a rising force in retail business in China. As a product of a highly-developed commercial economy, franchise supermarkets mainly deals in foodstuff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featuring low cost, high turnover rate, low prices and diversified inventory. Propelled by the conveniences that come with open shelves and self-service shopping, franchise supermarkets have been growing very rapidly and the rise of many franchise supermarket brands bears testimony to its growth potential and profitability. Meanwhile, in the backdrop of this boom, some franchise supermarkets are going bankrupt.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franchise supermarkets and some factors bearing on their core competencies, so as to close the competitiveness gap with international retail giants.

멘토링의 영향요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Influencing Factors of Mentoring on Nursing Students)

  • 방설영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733-741
    • /
    • 2023
  • The purpose 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mentoring for nursing students, and was conducted with 120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mentor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ore nursing competency, and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64.1%. Since mentoring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a study to develop a structured mentoring program including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core nursing competency, and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to test the effectiveness. In addition, proposes a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variables by dividing mentoring into sub-competencies of career development function, psychological stability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자기관리가 미래핵심 역량과 사회적 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of sports center instructors on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and social skills scales)

  • 최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60-569
    • /
    • 2017
  •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자신만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자기관리 방안이 요구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특히 스스로를 조절하고 통제 및 노력하는 자기관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자질 중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 참여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자기관리가 미래핵심역량과 사회적 기술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우수한 지도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자기관리가 미래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훈련관리, 신체관리 요인은 미래핵심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관리가 사회적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훈련관리, 신체관리 요인은 사회적 기술척도의 자기주장, 자아통제, 협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미래핵심역량이 사회적기술 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래핵심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요인은 사회적 기술척도의 자기주장, 자아통제, 협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지도자들 개개인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자기관리행동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동료 지도자를 비롯한 회원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여 지도자의 자기관리와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취원 유아 어머니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모 참 역량과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영향: 직업유무별 비교 (The Effect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A Comparison of Employment Status)

  • 정계숙;차지량;문지애
    • 아동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5-106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depending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Methods: A total of 238 mothers (98 employed, 130 unemployed)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early childhood institutes participated in a survey measuring three variables. Results an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Second, comparing employed mothers with unemployed mothers, a common variable affecting life satisfaction was social competence, a sub-variable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Further, self-system competence, a sub-factor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or employed mothers, and sharing core values, a sub-variable of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or unemployed mothers.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College: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Core Competence, Time Management, Career Attitude Maturity)

  • 박주영;임효남;김두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31-34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황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에 학습역량, 자기주도적 역량, 사회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 입학예정학생 121명에게 3주간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수행 전 보다 후에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 성숙이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도 학습동기(F=3.45, p=.033), 핵심역량(F=7.35, p=.001), 시간관리(F=9.80, p<.001), 진로태도성숙(F=19.83,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전공수업과 달리 다양한 학습전략을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방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네일 미용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 NCS 기반으로 -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enhancing practical competence of nail beauty - Focu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 임수은;김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3호
    • /
    • pp.414-428
    • /
    • 2022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practice and job competency, reflecting opinions on the required job competence of nail practitioners and professionals related to nail beau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nail experts, the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nail beauty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curriculum profiles that reflect practitioners' needs of job competence in the field. In-depth interviews with 11 field experts and surveys of 154 people were conducted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beginner nail hairdres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isting 38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job competencies were reduced to 21 job competencies. In addition, based on the common opinions of experts who reflect the current trend, two tasks on "eyelashes" and "waxing" were added, and the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23 core competencies.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nail beauty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core competencies investigated a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map for the core competencies of beginner nail technicians and hairdressers. In conclusion, the need for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nail hairdressers is growing, and it can be seen that a curriculum building multi-faceted abilities is needed for their qualifications as experts. This study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hat include marketing elements other than practical skills such as personality and customer response methods in the nail beauty curriculum.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 박공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54
    • /
    • 2019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G도에 소재한 전문대학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은 수행자신감(r=.446,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임상수행능력(r=-.206, p=.001)과 부적상관관계를 수행자신감은 임상수행능력(r=-.346, p<.001)과 부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수행자신감(${\beta}=-.31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 설명력은 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원활한 실습교육을 위해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G/T Experts' Recognition on Educating ICT Core-competenci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 이재호;진석언;신현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3-1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ICT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6]를 기반 모델로 설정하여, 해당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등에 대해 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대규모의 영재교육 담당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전문가들이 지리적으로 전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의견조사지를 제작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빈도분석에 의해 요약, 종합하는 방법으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부 ICT 역량 수준별 비교 등의 집단비교를 위해 x2검증 또는 변량분석(ANOVA)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ICT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의 3대 핵심역량이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각 핵심역량별로 제시된 하위교육목표들을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목표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 형태로서 '산출물 제작 중심 교육'과 '정보기기 활용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역량 중심의 교육목적 체제 분석 (The creative convergent person and the analysis of educational purpose system based compet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743-752
    • /
    • 2017
  • 이 논문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역량중심의 교육목적 체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초·중등학교의 교육목적 체제를 확인하였다. 교육목적은 법률,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각론에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창의융합형 인재상과 교육목적 간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가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에 제시된 교육목적의 전체적인 관계를 살펴보면서 핵심역량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목적 체제에서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법률,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각론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제시된 교육목적이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에 적절하게 되어 있는지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논의 결과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핵심적 사항을 등장한 교육목적은 핵심역량과 교과의 특수역량이고, 단위학교에서 직접적으로 가르칠 성취기준으로 반영되었다. 핵심역량은 학습자 측면에서 보는 교육목적의 일종이며, 이에 따라 교육목적을 보는 시각의 변화도 수반하여야 됨을 확인하였다.

경기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지역착근성 기반 산업생태계 핵심역량 분석 (Analyzing Core Competence for Culture Contents Industry Ecosystem -based on Kyunggi Region-)

  • 김연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72-677
    • /
    • 2016
  • 본 논문은 LQ(Location Quotient) 분석을 기준으로 경기도 권역 특성에 맞는 산업생태계 기반의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을 분석하였다. 매출액 기준의 경우 만화, 캐릭터, 출판, 지식정보 산업이, 사업체 수 지표의 경우 만화, 음악, 게임, 캐릭터, 지식정보 산업, 종사자수의 경우 출판, 만화, 게임, 영화, 캐릭터 산업이 LQ 1.0 이상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 산업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경기지역의 매출액,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의 산업생태계 기초 지표 모두에서 입지분석인 LQ 1.0 이상의 고 경쟁력을 보인 핵심역량을 가진 산업은 만화와 캐릭터산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산업 클러스터의 형성을 통한 지식과 정보, 인력의 흐름은 산업성장을 이끌 수 있으므로 경쟁력 있는 산업군의 파악은 지역 클러스터의 핵심역량강화의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라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