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care teacher

검색결과 639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 이연준;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9-37
    • /
    • 2015
  •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보육교사의 전염성 질환에 대한 지식 및 전염성 질환 아동 관리 실태 (Knowledge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by Daycare Facility Teachers)

  • 박선남;이영란;정영주;김경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5-12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among daycare facility teacher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survey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22 day care facility teachers from 36 daycare center sin one district in Seoul. Results: Seventy three (72.8%) of the participating daycare facility teachers had not received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They recognized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The average knowledge level of infectious diseases was scored as 9.30 on a 0-30 scale, with 0 representing no knowledge and 30 expert knowledge, and compliance level of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was scored as 4.29 on a 0-16 scale, with 0 present no compliance and 16 representing total compliance Confidence of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r=0.24, p=.031) and the compliance level of management (r=0.35, p=.001) were higher with increased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Conclusions: Daycare facility teacher scan lack sufficient knowledge about b infectious diseases. The education about infectious diseases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infectious diseases is indispensable to prevent trans 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daycare facilities.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 황해익;김미진;김병만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7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각 50명씩 1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364회로 나타났으며, 총 21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296회로 나타났으며, 총 18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전문화된 지식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cientific Attitudes and Cognitive Self-esteem)

  • 김희정;김세루;윤수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87
    • /
    • 2011
  •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개 반 각 20명씩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주 5회씩 6주간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에서는 '솔직성', '객관성', '비판성', '판단유보', '끈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인지적 자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물을 탐색하고, 비교, 예측, 조작, 실험하고, 유아-유아, 유아-교사, 유아-자료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과학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인지적 자아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의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교육이 아니라 유아들에게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활동이 제공되어야함을 시사함과 동시에 이러한 과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영아 보육교사의 상해예방을 위한 감독과 자기 효능감 및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ion Behaviors for Injury Preventi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 김혜금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573-58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ffecte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nd whether their self-efficacy acted as a mediating effects on job stress and supervisory behaviors. The participants were 292 childcare teachers for infa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parent supervision attributes scal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data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Baron & Kenny first proposed,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car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elf-efficacy, while the teachers' supervision behaviors and self-efficac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on supervision behaviors.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upervision behavior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behaviors and job stress. The more self-efficacy the childcare teachers had, the more supervision behaviors they performed. The greater their self-efficacy, the more the childcare teachers were able to control job stress. Therefore, by enhancing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their level of supervision behaviors should increase and their level of job stress should decrease.

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수준 및 통합교육의지에 대한 인식 (Assessment of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bout ADHD, Attitude, Stress Level and Intention for Inclusion Education)

  • 최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63-372
    • /
    • 2017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소아청소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장애질환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교육적, 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ADHD 증상아동들은 다른 학생들과 함께 가르치는 교사들의 태도와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은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의 개선과 교사 교육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을 경험한 적이 있는 227명의 초등교사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나이, 성별, 교직경력, 연수시간 등이 지식, 태도, 스트레스 및 교실에서의 통합교육 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성별은 스트레스에, 연수시간은 ADHD 관련지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ADHD 학생의 지도경험, 나이, 성별, 교직경력, 연수시간 등의 요인은 통합교육 의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교사들의 정책적 지원요구사항도 간략히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내용기반 교수법을 근거로 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실시한 교수자의 어려움 (Understanding Instructor's Challenges of Content Based Instruction :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안효진;김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81-20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영어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교수자가 구성한 어려움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내러티브 탐색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관찰, 인터뷰, 학생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이 연구 자료로 수집되었다. 그 결과, 우선, 준비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원어민이 아니지만,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는 압박과 영어로 수학교육내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였다. 수업 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동기 유발을 갖도록 하는 것과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 간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준비와 실행 단계에서 부족했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학과에서 영어로 전공 수업을 하는 상황에서 의미 있고,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찾아보는 것에 기여를 할 것이라 사려된다.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Teachers who Implemented Action Research)

  • 안지혜;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35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교사로 살아가면서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그들의 경험을 드러내고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장연구의 실행과정은 그들의 현장에서 출발하였고, 연구주제, 자신의 관점과 맞는 적합한 연구방법을 고려하게 되며, 현장 속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익숙하게 느껴졌던 현장은 예상치 못한 반응에 낯설게 느껴지기도 하고 연구과정의 불확실성으로 불안하기도 했지만 점차 연구의 탄력을 더하여 드디어는 해냈다는 희열을 맛보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집중과 열정을 통해 타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또한 일상을 의미있게 하는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패가 아닌 새로운 출발로서의 과정의 소중함을 느꼈으며, 폭넓은 관점으로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려 노력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자적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교사들이 충분히 연구자가 될 수 있음과 교사 자신이 이를 자각해나가는 것이 필요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교사용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ity of Pre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s Scale)

  • 유효순;이채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지역의 유아교육기관 20곳에서 표집된 교사 200명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한 서울, 경기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40곳에서 표집된 교사 310명이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본 척도는 다양한 민족알기, 다문화 유아와 상호작용, 다양한 문화알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3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척도의 신뢰도(Cronbach's ${\alpha}$)는 .87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대한 신뢰도는'다양한 민족 알기' .82, '다문화 유아와의 상호작용' .82, '다양한 문화 알기' .74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인식척도 모델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RMSEA=.08, SRMR=.06, NNFI=.90, CFI=.92으로 나타나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교육실제 척도가 적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go-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 한희정;서현아;오소라;하지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43-164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