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Scientific Attitudes and Cognitive Self-esteem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

  • 김희정 (광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세루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윤수인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1.06.30
  • Accepted : 2011.09.1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cognitive self-esteem.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five-years-old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of control group.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physical science activity based on the constructivism for total six weeks. As a result of study, children who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result i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 scientific attitude, cognitive self-esteem.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indicate that we nee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cognition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through teacher's education.

본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및 인지적 자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개 반 각 20명씩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주 5회씩 6주간 구성주의에 기초한 물리과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영역에서는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과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에서는 '솔직성', '객관성', '비판성', '판단유보', '끈기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인지적 자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사물을 탐색하고, 비교, 예측, 조작, 실험하고, 유아-유아, 유아-교사, 유아-자료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과학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인지적 자아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의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교육이 아니라 유아들에게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과학활동이 제공되어야함을 시사함과 동시에 이러한 과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향림(1984). 유아의 과학적 태도 형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1998).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4. 김선영(2001). 유아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아동학회지, 22(4), 271-283.
  5. 김지예(2007). 동화를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희선(1985). 국민학생의 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도 및 과학적 태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나명숙(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놀이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개념과 태도의 변화.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라정숙(2002). 개념변화 교수법에 기초한 과학교사 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 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영란(1999). 구성주의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윤희(2003).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신원정(2003). 구성주의적 심화.보충형 수준별 학습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안부금(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유경숙(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 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기술 및 태도의 차이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경민(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상용(2000).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인지갈등 정도에 따른 과학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현경(2004). 유아 자아개념 검사도구 개발 및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임귀자(201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조연순(1985). 유아를 위한 과학 및 수 교육. 서울: 창지사.
  19. 지성애, 김영옥, 박희숙(2003). 유아의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43-67.
  20. 지성애, 박찬옥, 홍혜경, 김희정, 박유영, 문신혜(2008). 동화에 기초한 과학 극화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6), 127-152.
  21. Althouse, R. (1988). Investigating science with young children.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22. Atkinson, S., & Fleer, M. (1995). Science with reason, Portsmouth, NH: Heinemann.
  23. Bates, E. (1990). Language about me and toy: Pronominal reference and the emerging concept of self. In Cicchetti, & Beeghly, M. (Eds.), The self in trans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Biddulph. F., & Osborne, R. (1984). Making sense of our world: An interactive teaching approach. Hamilton, New Zeal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unit. University of Wailkato.
  25. Coopersmith, S. (1981).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Palo Alto, Calif: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6. Corra, M. (1995). A moving experience. Science with reason. Portsmouth, NH: Heinemann.
  27. Damon, W., & Hart, D. (1988). Self-understand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Elliot, J. (1995). Exploring telephones. Science with reason. Portsmouth, NJ: Heinemann.
  29. Fernandez, T. S. (1994). Interactive teaching: can it survive i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Papers, 18-39.
  30. Gauld, C. F. (1982). The science attitude and science education: A critical reappraisal, Science Education, 66(1), 109-121. https://doi.org/10.1002/sce.3730660113
  31. Harter, S. (1984).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E. M. Hetherington (Ed.),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4ed, Vol. 4).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32.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9-1982. https://doi.org/10.2307/1129772
  33. Kamii, C., & DeVries, G. E. (1978).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Implication of piaget's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4. Lind, K. (1996).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NY: Delmar
  35. Martin, D. J. (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Albany, NY: Delmar.
  36.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Y: Delmar.
  37. MacIntyre, A. (1984). After virtue: A study in moral theory. (2nd e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38. Stickland, R. (1995). Starting science from talking, listening and questioning(chp. 6). Science with reason. Portsmouth, NH: Heinemann.
  39. Waite-Stupiansky, S. (1997). Building understanding togethe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lbany: Delma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