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nceptual Diagrams of Education for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 황해익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미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연구원) ;
  • 김병만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10.20
  • Accepted : 2013.12.22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analysis of the conceptual diagra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cation for happiness in an effort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guidelines of this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0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Out of them, 50 teachers each were selected from the kindergartens and the daycare centers. The conceptual diagrams drawn up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numbers of superordinate concept,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happiness, superordinate concepts appeared 364 times in the conceptual diagram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re were 21 superordinate concepts overall in their diagrams. Second, concerning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happiness, superordinate concepts appeared 296 times in the conceptual diagrams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re were 18 superordinate concepts in total.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a better knowledge on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happiness tha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what they considered valuable in relation to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happiness.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행복 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지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각 50명씩 1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364회로 나타났으며, 총 21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내용에서 어린이집 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총 296회로 나타났으며, 총 18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의 개념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전문화된 지식체계로 발전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저자.
  2. 김경옥(1997).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사의 인지과정 연구. 교육과정연구, 15(2), 1-18.
  3. 김민정, 김정원(2010).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2), 5-28.
  4. 김병만, 김미진(2013. 유아교사의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39-262.
  5. 김정주(2001). 개념도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진(2003).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명희(2012).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4), 117-132.
  8. 박상희, 이효숙(2007). 예비유아교사의 협동적 개념도 활동이 동작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83-204.
  9. 박숙경(2002). 현실요법을 적용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은혜(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1. 박창현, 박찬옥(2012).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회, 16(3), 245-270.
  12. 박현주(1993). 교사의 사고과정의 성격과 근거. 교육과정연구, 12, 188-202.
  13. 서혜은, 손유진(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23-344.
  14. 성원경(2007). 실습 전.후 및 초임시기의 유치원 교사 지식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신득렬(2000). 행복과 교육. 교육철학, 18, 191-208.
  16.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2008). 유아문학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17. 심성경, 이효숙, 임선옥, 박순이, 허은주, 박지애(2003). 유아음악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4(4), 71-88.
  18. 안부금(2002). 구성주의 개념도 전략을 통한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증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2), 1-20.
  19. 윤정아, 박은혜(1998).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교사교육, 15(2), 107-127.
  20. 이경민(2009)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65-181.
  21. 이경실, 강재희(2006). 유아동작교육 내용에 대한 현직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유아체육학회지, 7, 109-127.
  22. 이기범(2009). 한국의 교육문화와 아동.청소년의 행복. 한국청소년연구, 20(1), 365-392.
  23. 이성아(2005).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송이, 손원경(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25. 이정욱(1998). 유아 교사교육과 개념도의 활용. 덕성여자대학교 논문집, 6, 155-173.
  26. 이현옥, 최상순, 김정주(2005).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6(2), 177-194.
  27. 이호영(2006).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에 관한 개념도 분석.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효숙(2004). 협동적 개념도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4), 331-349.
  29. 이효숙(2007). 예비유아교사와 경력유아교사 간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연구. 교육종합연구, 4(2), 67-78.
  30. 이효숙(2009). 실습 전 후 예비유아교사의 동작 교육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 육아지원연구. 4(2), 141-158.
  31. 조혜영, 황인주(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32. 최관경(2003). 행복과 행복교육. 교육사상연구, 12, 17-49.
  33. 최관경(2007). 교육 목적관의 비교연구: 성공과 행복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21(3), 201-235.
  34. 홍민경, 이경화(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32(3), 241-255.
  35. 홍은숙(2012). 행복한 학교를 위한 교육적 성찰. 도덕교육연구, 24(3), 241-265.
  36.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37.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연구. 아동학회지, 33(5), 201-219. https://doi.org/10.5723/KJCS.2012.33.5.201
  38. 황해익, 최혜진, 김병만(2012).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주의 및 학과만족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405-435.
  39. Ben-Shahar, T. (2007).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NY: McGraw-Hill.
  40. Beyerbach, B. A.(1988). Developing a technical vocabulary on teacher planing: Preservice teachers' concept map.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 339-347. https://doi.org/10.1016/0742-051X(88)90032-7
  41. Fredrickson, B.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 218-226.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42. Grossman, P. L. (1995). Teachers' knowledge. In L. W. Anderso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2nd ed.). UK: Elsevier Science.
  43. Hoggard, L. (2006). 행복.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저는 2005년).
  44. Houle, W. (1981). Case methods in the education of teacher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17(1), 7-15.
  45. Lyubomirsky, S. (2012).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 (원전은 2008년에 출판).
  46. Morine-Dershimer, G. (1991). Tracing conceptual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9(1), 15-26.
  47. Noddings, N. (2008). 행복과 교육 (이지헌, 김선, 김희봉 역). 서울: 학이당. (원전은 2003년에 출판).
  48.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NY: University Press.
  49. Ramey, S. L., & Ramey, C. T. (2000). Early childhood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In J. Waldfogel & S. Danziger (Eds.), Securing the future: Investigating in children from birth to college(pp.122-150).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0. Schwartz. B., Ward, A., Monterosso, J., Lyubomirsky, S., White, K., & Lehman, D. (2002). Maximizing versus satisfying: Happiness is a matter of cho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2), 1178-1197. https://doi.org/10.1037/0022-3514.83.5.1178
  51. Seligman, M. E. P. (2009).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김인자 역). 경기: 도서출판 물푸레. (원전은 2004년에 출판)
  52. Seligman, M. E. P. (2011).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우문식, 윤상운 역). 경기: 물푸레. (원전은 2011년에 출판).
  53. Seligman, M. E. P. & Pawelski, J. O. (2003). Positive psychology: FAQs. Psychological Inquiry, 14, 159-163.

Cited by

  1.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Flourishing in Child Care Teachers vol.37,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4.169
  2.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vol.10,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201
  3.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vol.11, pp.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4.019
  4.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행복 프로그램이 유아행복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vol.12, pp.5,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017
  5. 우수교수의 동작수업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지식변화와 수업의 특성 탐색 vol.14, pp.2,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2.019